제한 시간(부모)

Time-out (parenting)
타임아웃, 칼 라르손의 그림

타임아웃(time-out)은 허용할 수 없는 행동이 발생한 환경에서 일시적으로 사람을 분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행동변경의 한 형태다. 목표는 그 사람을 풍요롭고 즐거운 환경에서 제거하여 기분 나쁜 행동을 소멸시키는 것이다.[1] 대부분의 소아과 의사들과 발달 심리학자들이 효과적인 훈육의 형태로 추천하는 교육 및 양육 기법이다. 흔히 코너(공통 용어 코너 시간을 정함) 또는 타임아웃 중에 서 있거나 앉을 수 있는 유사한 공간을 지정한다. 이러한 형태의 규율은 서양 문화권에서 특히 인기가 있다.[2]

영국에서는 이 벌을 종종 장난꾸러기 의자장난꾸러기 의자로 알려져 있다. 이 용어는 미국에서 두 개의 리얼리티 TV 시리즈인 슈퍼나니와 유모 911 덕분에 유명해졌다.

역사

타임아웃의 개념은 아서 W. 스테이츠가 딸(그리고 그 후의 아들)과 함께 연장된 작업에 의해 발명,[3] 명명, 사용(Child Magazine, 2006, "유년기를 바꾼 20명"[4] 참조)되었고, 1958년부터 시작된 행동분석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아동발달의 다양한 측면을 다루었다. 그는 나중에 응용 행동 분석과 행동 치료를 위한 기초를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들을 소개했다. (증표보상제도는 그에 의해 또 다른 발명이었다.) 미취학 아동들의 독서 학습을 다루는 여러 연구들에 관한 Statats의 대학원생 조교인 Montrose Wolf는 그가 창의적인 연구 프로그램을 시작했던 워싱턴 대학에 갔을 때 그 배경을 사용했다.[5] 울프는 훈련 방법을 자폐아로 확장하는 데 스타츠의 타임아웃 절차를 널리 이용하기 시작했다(어린이의 행동 치료를 다루는 1964년 간행된 연구 참조).[6][7]

Statats는 1962년 2살 난 딸의 훈육을 묘사했다. "나는 그녀를 침대에 눕히고 그녀가 울음을 멈출 때까지 그곳에 있어야 한다는 것을 표시했다. 만약 우리가 (그녀의 행동이 부적절한) 공공장소에 있다면, 나는 그녀를 데리러 밖으로 나갈 것이다."[8]

적용

Staats의 경우, 부적절하게 우는 것과 같은 아이의 잘못된 행동이 끝나면서 시간 초과 기간이 종료되었다. 그는 긍정적인 감정환경에서 덜 긍정적인 것으로의 제거를 매우 가벼운 처벌로 간주했다. 다음과 같이 타임아웃에 대한 다양한 사람들의 의견을 덧붙였다.

타임아웃은 2종류의 처벌 절차로 학교, 대학, 사무실, 클리닉, 가정에서 흔히 사용된다.[9] 시간 외출을 구현하기 위해, 보호자는 부적절한 행동을 억제하고 문제 행동을 하는 것이 아이의 환경에서 강화 품목과 사건에 대한 접근성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것임을 가르치기 위해 보통 5분에서 15분 사이의 짧은 시간 동안 아이를 보강 활동에서 제외시킨다.

타임아웃은 의자, 계단, 코너, 침실 또는 재미있는 물건, 활동 및 사람에 대한 접근성이 저하되거나 방해받지 않는 다른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이 절차는 1종(긍정적 처벌)인 아이의 잘못된 행동에 대해 질책, 소리 지르거나 때리는 것과 같은 다른 처벌보다 바람직하다. 아이들을 위한 타임아웃 타임은 보통 아이들이 책을 읽거나 장난감을 가지고 놀거나 음악을 듣거나 TV를 보는 시간 대신 자신이 종사했던 용납할 수 없는 행동에 대해 생각하는 시간이다. 시간 초과 시 어린이 자신의 몸에 심각한 부상을 입히려고 시도하거나, 어린이의 침실에 있는 물건을 파손하거나, 다른 유형의 부적절한 행동을 하는 등 받아들일 수 없는 다른 행동을 하는 것은 어린이에 대한 접지와 같은 추가적인 징계를 초래할 수 있다.

연구 결과, 15분이 아이를 보강재로부터 제시간에 보호해야 하는 최대 시간이라는 것이 밝혀졌다.[10] 그러나, 짧은 기간도 행동 변화에 효과적일 수 있다.

이 징계 기법이 가장 효과적이고 원하는 결과를 내기 위해서는 아이는 가만히 앉아 있을 수 있는 나이가 되어야 하며 일정 기간 동안 그 자리에 있어야 한다. 또한, 발달 심리학자에 따르면, 부모들은 장난감, 좌절, 배고픔, 수면 부족과 같은 잘못된 행동을 야기할 수 있는 것을 결정하기 위해 각각의 상황을 평가하고, 처벌 비상사태가 사용되기 전에 근본적인 필요를 다루어야 한다. 그들이 문제 행동을 줄이려고 할 때마다, 부모들은 그들이 원하는 대체 행동을 가르치고 강화시키고 있다는 것을 확실히 해야 한다.[11] 부모는 아이가 왜 시간 외출을 당하는지, 그리고 아이가 강화 환경으로 돌아가거나 시간 외출을 당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도 명확히 설명해야 한다(그러나 너무 많은 설명을 하면 '잘못된 어른 주의'의 결과로 원치 않는 행동을 강화시킬 수 있다).[12] 게다가, 유명한 발달 심리학자 캐슬린 스타센 버거는 타임아웃은 짧게 유지되어야 한다고 제안하면서, 일반적인 지침인 타임아웃을 제안한다: 아이가 타임아웃을 유지해야 하는 기간은 아이의 나이와 상관관계가 있어야 한다. - 아이 연령의 각 해는 타임아웃의 1분을 구성한다.[2]

타임아웃은 짧은 시간 동안 양성 철근 배근 제거에 기초한 한 가지 동작 제어 방법이다.[13] 전술적 무시, 계획적 무시와 같은 같은 계층의 덜 정교한 방법 또한 부모/자녀들의 관심이 부정적인 행동에 대한 긍정적인 강화인 경우에 효과적일 수 있다. 이 등급의 방법은 아이가 좋은 행동에 대해 상당한 양의 긍정적인 강화(찬양, 주의)를 받는 경우에 더 효과적이다. 모든 처벌 절차는 다른 문제 행동을 유발하거나, 관계를 손상시키거나, 탈옥 또는 회피 행동을 유발할 수 있다. 이것과 다른 윤리적 이유로, 행동 분석가들은 처벌 절차의 사용을 고려하기 전에 문제 행동을 줄이기 위해 차등 강화 및/또는 소멸 절차를 사용하기 위한 모든 옵션을 다 소모한다.

효과

몇몇 연구들은 타임아웃이 다른 긍정적인 육아법이 사용될 때 공격적이고 비호환적인 행동을 줄여주는 특히 효과적인 징계 전략이라는 것을 보여준다.[14] 아이들은 긍정적인 경험을 통해 강화력을 찾을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타임아웃은 효과적이 되려면 "타임인"과 연계되어야 한다.

타임아웃을 끝내는 전략에는 차이가 있다. 타임아웃을 지지하는 일부 지지자들은 타임아웃 기간 동안 아이로부터 침묵과 정적을 주장하지만, 그러한 요구조건은 아이가 타임아웃 기간이 끝날 때에만 평화롭게 앉아 있다는 것 뿐이라는 "해제-컨설팅"을 사용하는 것이 더 쉽다. 아이들이 분노와 좌절감을 "시스템 밖으로" 얻거나 그들의 행동에 대해 생각하는 데 타임아웃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긍정적인 강화로 인한 타임아웃은 원하지 않는 대상 행동의 재발을 줄일 수 있다는) 운영자 행동 원칙에 근거하는 것과는 다른 방식으로 타임아웃을 사용하고 있다.

도날드슨과 볼머의 연구에서, 고정된 지속 시간 제한과 방출 우발 시간 제한의 효과를 비교했다. 고정된 지속시간 조건에서는 아이들이 총 4분 동안 타임아웃으로 보내졌고 타임아웃 세션 동안 문제 행동을 했는지 여부를 타임아웃에서 해제되었다. 방출 우발 조건에서는, 아이들이 타임아웃의 마지막 30초 동안 문제 행동을 하는 경우 타임아웃에서 해제되지 않았다. 타임아웃은 총 30초 동안 문제 행동 발생이 없거나 타임아웃이 10분대에 이를 때까지 연장되었다. 결과는 두 가지 타임아웃 절차 모두 피험자의 문제 행동을 줄이는 데 성공적이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방출 우발상황의 피험자도 장기간 타임아웃에 머무르는 것이 득이 되지 않았다. 게다가, 그 결과는 성공적인 타임아웃 절차를 위해 단지 4분만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15]

타임아웃의 효과는 또한 아이의 나이, 기질, 정서적 웰빙에 따라 각각의 아이에 따라 다르다.[2]

2019년 9월 미시간대학이 발표한 연구에서는 시간외를 이용해 아이들을 훈육하는 것이 아이들에게 해롭지 않고 부모와의 관계에도 해롭지 않다는 결론을 내렸다. 8년 간의 연구는 시간 초과로 징계를 받은 어린이들이 증가하는 불안감이나 공격성을 보이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다.[16]

단점들

타임아웃에 대한 비판론자들은 토마스 고든, 가보르 메이트, 알피 콘, 알레타 솔터 등이 있는데, 이들은 이 접근방식이 단기적인 준수로 이어질 수 있지만 다른 형태의 처벌과 동일한 불이익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17][18][19][20][21][22] 이 저자들에 따르면, 타임아웃의 사용은 도덕적인 행동을 강화하거나 아이들에게 유용한 갈등 해결 기술을 가르치지 않으며, 행동의 근본적인 원인을 다루지 못한다. 나아가 아이의 행동을 통제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강제로 고립되고 사랑의 철수에 의해 부모·자녀 유대가 손상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자녀에게 불안감이나 불안감이 생길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Daniel J. Sigel의 신경과학 연구에 따르면, 타임아웃을 사용함으로써 생기는 잠재적인 심리적 결점 외에도, 아이의 뇌 발달에도 위험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뇌스캔에서는 (처벌 중 고립에 의해 발생하는) 관계적 고통이 신체적 학대와 같아 보일 수 있다"면서 "반복된 경험은 실제로 뇌의 물리적 구조를 변화시킨다"[23]고 설명했다. 그러나 시겔 박사는 이 성명에서 물러서며 타임지가 자신의 메시지를 왜곡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나중에 "적절한" 타임아웃 사용은 긍정적인 피드백과 부모와의 연계가 뒤따르는 생각의 육아 전략의 일부로 사용되었던 상호작용에서 오는 짧고 자주 일어나지 않는 휴식을 필요로 한다"고 명확히 했다. 이는 합리적일 뿐만 아니라 많은 아이들에게 도움이 되는 연구로 뒷받침되는 전반적인 접근법이라고 말했다.[24]

호주유아정신건강협회는 특히 3세 미만 아동의 경우 타임아웃 사용이 부적절하다고 판단되는 입장문을 발표했는데, 이는 대부분의 전문적 조언과 일치한다.[25]

타임아웃의 사용은 특별한 도전에 대처하는 가정에서 신중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 약물을 남용하는 어머니들을 위한 부모 개입 프로그램에 대한 검토에서, 연구원들은 훈육에 대한 행동 접근법(시간 초과 및 보상 사용 등)을 강조하는 프로그램들이 "우리는 엄마와 아이의 상호작용을 측정할 수 있는 개선이나 아동발달 촉진에 성공적이지 못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부모/자녀 관계를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춘 애착에 기반한 접근법이 이들 가정의 아이들의 행동을 변화시키는 데 있어 행동적 접근법보다 더 성공적인 것으로 나타났다.[26]

다른 연구들은 훈육에 대한 전통적인 행동 접근법(타임아웃과 보상의 사용 등)이 조기 학대나 방임으로 인한 애착장애를 가진 양육에 있어 어린이들에게 도전적일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수양부모는 이러한 아이들의 애착과 정서적 문제를 해결하는 훈련의 혜택을 전통적인 양육 기법처럼 잘 받는다.[27]

타임아웃은 일부 학교에서 폭력이 될 정도로 오용되어 왔기 때문에 교육 전문가들을 위한 적절한 훈련이 중요하다. 아이들이 울거나 숙제를 끝내지 못하는 등의 행동으로 장기간 독방에 감금된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28][29] 이것들은 타임아웃의 적절한 사용에 대한 예가 아니다.

참고 항목

참조

  1. ^ Smith, Donald E. P (1981). "Is Isolation Room Time-Out a Punisher?". Behavioral Disorders. 6 (4): 247–256. doi:10.1177/019874298100600407. JSTOR 23881717. S2CID 142094161.
  2. ^ a b c Berger, Kathleen Stassen (2014). An Invitation to the Life Span. New York: Worth Publisher.
  3. ^ "The man who developed timeouts for kids stands by his now hotly-debated idea - The Washington Post".
  4. ^ R. Straus (October 2006). "20 People Who Changed Childhood". pp. 107–14.
  5. ^ Staats, A.W.; Staats, C.K.; Schultz, R.E.; Wolf, M. (1962). "The conditioning of textual responses using 'extrinsic' reinforcers". pp. 33–40.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6. ^ Risley, T (2005). "Montrose M. Wolf (1935-2004)". J Appl Behav Anal. 38 (2): 279–87. doi:10.1901/jaba.2005.165-04. PMC 1226164. PMID 16033175.
  7. ^ Staats, AW; Staats, CK; Schutz, RE; Wolf, M (1962). "The conditioning of textual responses using "extrinsic" reinforcers". J Exp Anal Behav. 5: 33–40. doi:10.1901/jeab.1962.5-33. PMC 1404175. PMID 13916029.
  8. ^ 2006년 10월, pp107-110, Child 매거진 "어린 시절을 바꾼 스무 명의 사람들" 로버트 스트라우스.
  9. ^ Wolf, Tera L.; McLaughlin, T. F.; Lee Williams, Randy (2006). "Time-out interventions and strategies: A brief review and recommend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1 (3): 22–28.
  10. ^ White, G. D.; Nielsen, G.; Johnson, S. M. (1972). "Timeout duration and the suppression of deviant behavior in children1". Journal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5 (2): 111–120. doi:10.1901/jaba.1972.5-111. PMC 1310739. PMID 16795328.
  11. ^ Flaskerud, Jacquelyn H. (2011). "Discipline and Effective Parenting". Issues in Mental Health Nursing. 32 (1): 82–84. doi:10.3109/01612840.2010.498078. PMID 21208055. S2CID 37588931.
  12. ^ http://www.psychologytoday.com/articles/200109/why-our-kids-are-out-control 심리학 투데이 2001년 9월
  13. ^ A, A, Baron, Kaufman (1966). "Human, free-operant avoidance of "time out" from monetary reinforcement". Journal of the Experimental Analysis of Behavior. 9 (5): 557–565. doi:10.1901/jeab.1966.9-557. PMC 1338214. PMID 5964512.
  14. ^ Morawska, Alina (February 2011). "Parental Use of Time Out Revisited: A Useful or Harmful Parenting Strategy?".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0: 1–8. doi:10.1007/s10826-010-9371-x. S2CID 144911469.
  15. ^ Donaldson, J. M.; Vollmer, T. R. (2011). "An evaluation and comparison of time-out procedures with and without release contingencies". Journal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44 (4): 693–705. doi:10.1901/jaba.2011.44-693. PMC 3251275. PMID 22219523.
  16. ^ "'Time outs' don't do any harm, parents told". BBC News. 2019-09-14.
  17. ^ 고든, T. (2000년) 상위 효과성 교육: 책임감 있는 어린이 양육을 위한 입증된 프로그램. 뉴욕, 뉴욕: 스리 리버스 프레스.
  18. ^ 콘, A. (2005년) 무조건 양육: 보상과 처벌에서 사랑과 이성으로의 전환. 뉴욕, 뉴욕: 아트리아 북스.
  19. ^ 솔터, A. (1989년). 어린 아이들이 번성하는 것을 돕는 것. 골레타, CA: 샤이닝 스타 프레스.
  20. ^ 솔터, A. (2013). 첨부 파일 재생. 골레타, CA: 샤이닝 스타 프레스.
  21. ^ 솔터, A. (2002) 타임아웃의 단점. http://www.awareparenting.com/timeout.htm
  22. ^ 노련한 교사들은 '타임아웃은 처음에는 충격적 가치 때문에 효과가 있는 것처럼 보일 뿐이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효과가 떨어진다.'고 말한다. http://afineparent.com/be-positive/effective-discipline.html
  23. ^ 시겔, 디제이, 브라이슨 T.P. (2014년 9월 23일) '시간 초과'가 아이를 해치고 있다. 타임 매거진 온라인. http://time.com/3404701/discipline-time-out-is-not-good/
  24. ^ "You Said WHAT About Time-Outs?! Dr. Dan Siegel". www.drdansiegel.com. Retrieved 2016-05-11.
  25. ^ 오스트레일리아 유아 정신 건강 협회(2009년 7월): 위치 호출기 3: 시간 초과. "Archived copy"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3-09-08. Retrieved 2013-09-17.CS1 maint: 제목으로 보관된 복사본(링크)
  26. ^ Suchman; Pajulo, M.; DeCoste, C.; Mayes, L.C. (2006). "Parenting Interventions for Drug-Dependent Mothers and Their Young Children: The Case for an Attachment-Based Approach". Family Relations. 55 (2): 211–226. doi:10.1111/j.1741-3729.2006.00371.x. PMC 1847954. PMID 17417669.
  27. ^ Wotherspoon, E.; O'Neill-Laberge, M.; Pirie, J. (2008). "Meeting the emotional needs of infants and toddlers in foster care: the collaborative mental health care experience". Infant Mental Health Journal. 29 (4): 377–397. doi:10.1002/imhj.20185. PMID 28636157.
  28. ^ 하이먼, I. (1990년) 아동학대자의 파괴적인 '시간 초과' 사용 읽기, 쓰기, 히코리 막대기 139-140, 12-13페이지. http://www.nospank.net/timeout.htm
  29. ^ 일부 전문가들은 학교 타임아웃 룸을 '교실'이라고 부른다. http://usatoday30.usatoday.com/news/education/2008-10-20-time-out-discipline_N.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