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라

Tirah
TirahValley Khyber Agency.jpg

티라 강은 또한 티라 밸리라고도 불리며,[1][2] 카이버 고개와 파키스탄의 한키 계곡 사이에 위치한 카이버 지역에 위치한 산악 지대이다.

사회의

파키스탄 정부는 파키스탄 국경과 아프가니스탄 국경이 가깝고 지형이 험난해 티라를 통제하기 어려웠다.2003년 파키스탄 독립 이후 처음으로 군대가 티라 [3]계곡에 진입했다.

이곳의 지배적인 민족 집단은 파슈툰족이다.주로 무역과 다른 [4]직업에 종사하는 시크교 공동체와 같은 함사야(보호받는 민족)라고 불리는 소수 공동체가 있다.

역사

티라 계곡은 푸르다.

디라와 그 주변 지역의 고대 거주자들은 디라히인들이었다. 디라히인들은 피르 로산에 의해 쫓겨났다. 그리고 그들 중 남은 사람들은 낭라하르[5]도망쳤다.곧이어 1619년 또는 1620년, 카불의 수바흐다르인 마하바트 칸은 로샤니아로 개종한 300명의 다울라트자이 오락자이를 배신적으로 학살했다.그리고 그가 없는 동안, 가이라트 칸은 티라트를 통해 대규모 군대와 함께 보내졌다.그는 이그다드의 로샤니아족과 [6]말리크 토르의 다울랏자이족이 장악하고 있던 삼파하 고개 기슭으로 나아갔다.

라즈푸트는 전자를 공격했고 후자는 가이라트 칸의 자국군에 의해 공격당했지만 무굴군은 큰 손실을 입고 격퇴당했다.그러나 6년 뒤 당시 카불의 시바흐드르였던 크화자 압둘 하산의 아들인 무자파르 칸이 수가와드 고개와 가르데스를 따라 이다드를 향해 진군했고 5, 6개월간의 전투 끝에 이다드는 총에 맞아 자한기르로 보내졌다.그 후 그의 추종자들은 로와가르로 피신했고, 이후 이그다드의 아들 압둘 카디르와 그의 미망인 알라이는 티라로 돌아왔다.1627년 자한기르의 죽음은 무굴 지배에 반대하는 파슈툰족들의 일반적인 봉기의 신호였다.무자파르 칸은 페샤와르에서 카불로 가는 도중에 오락자이와 아프리디스에게 공격을 받아 혹독한 취급을 받았고 압둘 카디르는 페샤와르를 공격하여 도시를 약탈하고 [6]성채를 점령했다.

그러나 압둘 카디르는 아프간인들의 질투심에 어쩔 수 없이 포위망을 버리고 티라로 물러나 페샤와르로 오게 되었다.그곳에서 그는 1635년에 죽었다.무갈은 티라에서 그의 추종자들을 상대로 새로운 원정을 보냈고, 아프리디 족장 유수프와 옴크자이 족장 아사르 미르는 마침내 항복하도록 유도되어 델리 근교의 파니팟에 땅을 받았다.Kurram에서 동시에 작전을 수행했다.그러나 이러한 조치에도 불구하고, 페샤와르의 황실 디완인 미르 야쿠트는 오락자이와 아프리디의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1658년 티라로 보내졌다.무굴 제국이 멸망한 이후 티라는 [6]카불에 대한 명목상의 충성을 소유하기도 했지만 사실상 독립적이었습니다.

티라는 1897년 [6]영국이 시작한 티라 캠페인의 현장으로 주로 유명했다.그것은 산속의 막다른 골목이었고, 통행의 어려움과 주민들의 맹렬함은 지금까지 [7]모든 침략자들로부터 그곳을 침범할 수 없게 지켜왔다.

전설에 따르면, 티라에 살고 있는 파슈툰족인 오락자이는 페르시아 [8]먼 곳에서 온 추방된 왕자로부터 그들의 이름을 얻었다고 한다.그들은 18개의 부족을 포함한다.이 18개 부족은 총칭하여 오락자이로 알려져 있다.하지만 티라 인구의 대부분은 아프리디 [citation needed]부족에 속합니다.

오리야 켈로 알려진 하위 부족은 아프리디 부족의 자카 켈 일족에 속했습니다.그들은 티라 계곡에 살았고 지금은 체라트 살레 자바에 위치해 있다.비록 그들이 현재 카탁 부족에 속하지만, 오리야 켈은 그들의 혈통을 인정하고 여전히 그들 스스로를 아프리디라고 부르고 있다.이는 살레자바의 토지 기록에서 그들이 처음에는 아프리디스의 것이었고 오늘날까지 거주자들은 변하지 않았다는 것을 증명해 보일 수 있다.게다가 살레자바의 마을 사람들은 여전히 터번을 쓰고, 연장자들이 물려준 풍습인 아프리디스처럼 콧수염을 기르고 있습니다.

지리

티라는 약 600~700평방마일의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바라 강의 발원지 주변에 있는 모든 계곡을 총칭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5개의 주요 계곡은 마이단, 라즈굴, 와란, 바라, 마스투라입니다.아프리디스의 여름 별장인 마이단은 해발 약 7,400피트(2,300미터)의 사페드 코의 눈 덮인 능선 아래에 있다.길이 약 7~8마일(13km)의 타원형 평야로 너비가 3, 4개이며, 평야의 네 귀퉁이에서 모인 모든 배수가 바라 [7]계곡으로 이어지는 좁은 나사형 출구로 분출됩니다.

이 분지에 수세기 동안 쌓인 잔해는 풍부한 충적토로 채워졌고 국경에서 가장 비옥한 계곡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모든 충적 경사지는 계단식으로 경사를 이루고 모든 야드가 생산될 때까지 관개됩니다.평야 곳곳에 군집처럼 흩어져 있는 거대한 호두나무와 뽕나무 그늘에 네모난 흙집과 목조 가옥이 서 있다.마이단 분지를 둘러싼 산비탈 위에는 야생 올리브가 숲에 가까운 넓게 자란 덩어리와 가끔 [7]석류가 있습니다.

더 높은 곳에는 푸른 소나무가 있지만, 선반에 있는 평원에는 과수에 불과하다.라즈굴 계곡은 가파른 계곡과 나무가 우거진 돌기로 분리된 마이단 북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높이 8~9천 피트, 드와토이에서 합류하는 바라 계곡의 서쪽에 있습니다.길이는 10마일(16km), 최대 폭은 4-5마일(8.0km)이며 해발고도는 5,000피트(1,500m)입니다.이곳에는 쿠키 켈 아프리디스가 살고 있다.와란계곡은 마이단과 같은 크기의 계곡으로 동쪽에는 츠리칸다고개로 분리되어 있다.이곳은 아프리디 물라 사야드 아크바의 고향이었고 아카 켈스의 나라이다.드와토이에서 라즈굴과 마이단 배수로가 합류한 뒤 합류한 하천은 바라라는 이름을 얻으며 페샤와르 계곡의 출구로 흘러내리는 계곡도 이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계곡의 해발고도는 5,000피트(1,500m)이다.카주라이의 드와토이에서 2000년까지, 북쪽은 바자르 계곡과 구분되는 수르그하르 산맥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남쪽은 마이단 계곡과 와란 [7]계곡을 구분하는 또 다른 산맥이 있다.

여름 바라 계곡의 더위가 심하고 말라리아가 유행하며 모기가 매우 번거롭기 때문에 마을들은 버려지고 아프리카인들은 마이단의 쾌적한 고원으로 이주한다고 한다.마스투라 계곡은 티라의 남쪽 절반을 차지하고 있으며 오라크자이족이 살고 있습니다.해발 6,000피트(1,800m)에 위치한 국경에서 가장 아름다운 계곡 중 하나입니다.오락자이족은 겨울에는 대부분 미란자이 계곡에서 살며 [7]여름에는 아프리디스족과 같은 마스투라로 은신한다.

티라의 주요 고갯길은 마스투라 계곡에서 칸키 계곡을 분리하는 삼파하 고개(6,500피트), 마스투라 계곡과 마이단을 분리하는 아르항가 고개(6,99E피트), 마스투라 계곡과 마이단의 자카 켈 부분을 연결하는 사란 사르(8,650피트)이다.마쓰라 계곡 동쪽에서 바라 계곡으로 이어지는 사프리 고개(5,190피트).티라 전역은 티라 [7]전역 당시 철저히 탐사되고 지도 제작되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Tirah mountainous region, Pakistan Britannica". www.britannica.com.
  2. ^ Giustozzi, Antonio (August 2012). Decoding the New Taliban: Insights from the Afghan Field. C. Hurst (Publishers) Limited. p. 275. ISBN 978-1-84904-226-0.
  3. ^ 와지리스탄:빈 라덴 은신처? - BBC 뉴스
  4. ^ 사진: 변화의 계곡 - BBC
  5. ^ Konow, Sten (1933). Acta Orientalia, Volumes 11-12. Munksgaard. p. 161.
  6. ^ a b c d 티라 - 인도 제국 관보, 대 23, 389페이지
  7. ^ a b c d e f 앞의 문장 중 하나 이상에는 현재 퍼블릭 도메인에 있는 출판물의 텍스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8. ^ 에드워드 앨버트 가트 인도 인구조사국장의 "Census of India, 1901, Volume 17, Part 1"1902년 인도 정부 인쇄 관리국에서 발행.페이지 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