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타레
TitstareTitstare는 남성들이 여성과 그들의 가슴을 응시하는 사진을 중심으로 한 가상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다.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테크크런치 테크크런치 디스패치 컨퍼런스에서 열린 2013년 해커톤에서 소개됐다. 티타레는 실리콘밸리의 스타트업 문화에서 성차별적 태도의 증상으로, 일부는 찬란한 풍자로 묘사되는 대중적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 회의 주최자들은 후에 여성 혐오적 발표에 대해 사과했다.
역사
배경.
테크놀로지 뉴스 사이트인 테크크런치는 2005년 설립돼 2010년 9월 인터넷 대기업 AOL에 인수됐다.[1] 이번 인수는 AOL에 의해 기술 콘텐츠 제공 업체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여겨졌으며,[1] 2010년 판 '교란'으로 알려진 TechCrunch가 후원하는 연례 컨퍼런스 때 발표되었다.[2]
일반적으로 매년 가을 초에 개최되는 디스패치 이벤트는 스타트업 기업 대표, 업계 관계자, 관심 있는 다른 사람들이 모여 발표와 네트워킹을 하는 컨클러브로서, 일반적으로 협업 해커톤 세션의 기회도 포함한다. 호주의 프로그래머 제드로 바츠와 데이비드 볼튼이 그들의 새로운 혀가 들어간 휴대폰 앱인 티스타레를 "가슴을 응시하는 자신의 사진을 찍는 앱"이라고 소개한 것은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2013년 디스패치에서였다.[3]
9월 8일 일요일, 이 2인조는 유머러스하게 의도된 상품과 연계하여 1분간의 리허설 즉, 가벼운 가슴과 관련된 농담과 말장난의 연속적인 발표를 했다.[3] 이는 모인 군중들로부터 분개부터 불편한 웃음, 발표자들이 의도한 '뒤틀린 종류의 스탠드업'에 대한 진정한 감상까지 가무트를 달리며 엇갈린 반응을 불러일으켰다.[3]
반응
일부 사람들은 제품과 발표를 유머러스한 풍자로 여겼지만, [3]티타레는 미국 기술 산업에서 브로그래머 문화로 알려진 제도화된 성차별주의를 더했다는 비난을 받았다. 반응은 즉각적이고 주로 부정적이었다; 저널리스트인 Abbby Ohlheiser는 앱의 의도, 부분적인 옷을 입은 여성의 갈라진 부분을 응시하는 남성들의 사진들이 응분의 권리를 효과적으로 경시했다고 썼다.[4] 트위터에서 여성혐오 의혹에 맞서 앱을 옹호한 뒤 팍스 디킨슨 비즈니스 인사이더 최고기술책임자(CEO)는 사임할 수밖에 없었다. 디킨슨은 나중에 사과문을 썼는데, 이것은 벤처비트에 게재되었다.[5]
한 대표 트윗은 "9살 소녀에게 기술 산업이 여성들에게 얼마나 환영받는지를 가르치려는 시도가 있었다"[3]고 언급하는 등 비난의 상당 부분이 트위터에 나타났다.
사과
테크크런치는 즉시 티스타어 프레젠테이션과 함께 이날 오후 공개된 공격적인 자위 앱에 대한 공개 사과문을 발표하며 프리젠테이션을 '혐오적'으로 간주하고 다음과 같이 선언했다.
성차별은 기술 산업에서 중요한 문제인데, 우리는 그것을 취재와 채용에서 대항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해왔다. 오늘의 이슈는 우리의 해커톤에 대해 부적절한 내용을 사전에 적절하게 선별하고 이러한 제출에 대한 명확한 지침을 정립하지 못한 데서 비롯되었다. 믿어줘, 우리 쇼에서 무슨 일이 있었는지 보자마자 바뀌었어. 모든 프레젠테이션은 앞으로 해커톤에서 철저한 심사를 받고 있다. 어떤 종류의 성차별주의나 다른 차별적, 또는 경멸적인 언사는 허용되지 않을 것이다.... 미안하다.[4]
크리에이터들은 빠른 사과와 함께 트위터를 통해 "우리가 여러분 중 몇몇을 불쾌하게 했다면 미안하다, 매우 의도하지 않은 것"이라고 말했다. 그냥 재미난 아우시 해킹이야."[4]
기자 에이미 그레이는 가디언의 사건에 대해 언급하면서 개인 및 프로젝트 정보의 사전 컨벤션 업로드가 의무화됨에 따라 발표 내용을 사전에 알고 있었다고 추측한 회의 주최자들을 비난했다.[6] 그레이는 Titstare 불륜이 이론상으로는 완벽하게 능력주의적인 기술 세계에서 이중성을 상징한다고 느꼈고, 실제로는 "성 고정관념에 기반한 성차별주의자와 청소년 행동을 일상적으로 보여주는" 특권을 추구하는 산업이다.[6] 알렉시아 Tsotsis는 발표자들이 그들의 앱의 이름을 나열하지 않았다고 말했다.[7]
참고 항목
각주
- ^ Jump up to: a b 2010년 9월 28일, AOL 보도 자료, "AOL To Acquire To TechCrunch Network of Sites".
- ^ The New Yorker의 Betsy Morais에 따르면, 디스패치 컨벤션은 1997년 "혁신자의 딜레마"라는 책의 한 구절에서 그 이름을 따왔으며, 이는 오래된 시장의 붕괴와 새로운 시장의 창출을 나타낸다. Morais, "기술에서 가장 불공평한 농담"을 참조하십시오.
- ^ Jump up to: a b c d e 2013년 9월 9일, 벳시 모라이스, "기술에서 가장 불공평한 농담," The New Yorker, 2013.
- ^ Jump up to: a b c 애비 올하이저 "Titstare, The Wire, 2013년 9월 8일 "Brogrammers의 마인드에서 나온 테크 월드의 최신작 'Joke'"를 만나보십시오.
- ^ Miller, Claire Cain (April 5, 2014). "Technology's Man Problem".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August 15, 2014.
- ^ Jump up to: a b 2013년 9월 8일 The Guardian, The Guardian, 2013년 9월 8일 Techcrunch의 "Titstare" 앱 "Women in Tech Better".
- ^ Hu, Elise (September 11, 2013). "Sexism In The Tech Industry Takes Center Stage". NPR. Retrieved August 16,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