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게렌

Tongeren
통게렌
통그레스 (프랑스어)
통게른 (독일어)
View of the Great Market
시장 전망
Flag of Tongeren
Coat of arms of Tongeren
Tongeren is located in Belgium
Tongeren
통게렌
벨기에 소재지
림부르크 통게렌 소재지
Tongeren Limburg Belgium Map.svg
좌표:50°47ºN 05°28ºE/50.783°N 5.467°E/ 50.783; 5.467좌표: 50°47【N 05°28E/50.783°N 5.467°E/50.783;5.467
나라벨기에
지역 사회플랑드르 공동체
지역플랑드르 주
지방림부르크
아롱디스망통게렌
정부
• 시장Patrick Dewael (오픈 VLD)
• 여당/여당Tongeren.nu (Open VLD와 CD&V의 로컬 제휴)및 SP.a.
지역
• 합계87.56km2(33.81평방마일)
인구.
(2018-01-01)[1]
• 합계31,032
• 밀도350/km2(920/120mi)
우편 번호
3700
지역 번호012
웹 사이트www.tongeren.be

통게렌(네덜란드어: [ [tɔrr((n)])(듣기);프랑스어:통그레스(Tɔ [ʁ]); 독일어:통게른(Tongern); 림부르크어:톤게레(Tongere,[tone?] )는 벨기에 플랑드르 지방의 남동쪽 구석에 위치도시이자 자치체이다.통게렌은 벨기에 국경 내에서 유일한 로마 행정 수도로서 벨기에에서 가장 오래된 마을입니다.로마의 도시로서, 이곳은 텅리족이 살고 있었고, 아투아투카 툰그로럼으로 알려진 치비타스 툰그로럼 지구의 행정 중심지였다.

역사

아투아투카 툰그로럼

통게렌 로마 벽

로마인들은 통게렌을 아두아투카 툰그로럼 [2]또는 아투아투카 통그로럼이라고 불렀고, 그것은 현대의 벨기에 림부르크와 그 주변의 적어도 일부 지역을 아우르는 로마의 큰 지방인 시비타스 툰그로럼의 수도였다.로마 정복 이전, 이 지역은 게르마니 시스레나니로 알려진 벨가미 부족들이 살고 있었다. (게르마니족으로 알려진 것에도 불구하고, 게르마니족으로 알려진 것은 그들이 게르만어를 사용했는지는 논란이 되고 있으며, 그들의 부족들과 지도자들의 이름은 켈트족이었다.)특히 에부로네족은 이 부족들 중 가장 크고 통게렌 주변에 살았던 부족들이었다.

카이사르는 에부로네스 요새를 아두아투카라고 불렀고, 이것이 통게렌과 동일시 될 수 있다는 널리 받아들여진 제안으로 이어졌다.아두아투카라는 말은 아마도 이 지역의 요새를 가리키는 일반적인 단어였을 것이라는 반론도 있는데, 이는 같은 이름을 가진 곳이 더 있었을지도 모른다는 것을 의미하며, 통게렌은 로마 이전 점령의 흔적이나 시저에 의해 묘사된 언덕 지형을 보이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아두아투치족으로 알려진 지역에도 뚜렷한 부족이 있었다.[3]한편, 지방 수도와 같은 명칭과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대체로 올바른 지역에 있다.통게렌이 아니라면 에부로네의 아두아투카는 인근 리엠스트에 있는 케스터트의 고대 요새일 것이다.

기원전 1세기 갈리아의 지역에서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캠페인을 벌이는 동안, 벨가이는 에부로네족이 이끄는 카이사르의 캠페인에 맞서 반란을 일으켰다.그들은 기원전 54년에 그들 사이에서 겨울을 날 권리를 요구했던 군단을 파괴했다.카이사르는 아두아투치를 노예로 팔았고, 에부로네의 이름을 전멸시켰다고 보고했는데, 에부로네의 대부분은 성공적으로 도망쳤으며, 반란의 지도자인 암비리오릭스를 포함한다고 한다.로마인의 목숨을 걸고 그들을 쫓는 대신, 그는 시감브리족과 같은 라인 강 건너의 부족들을 불러와 약탈했다.에부로네스가 시감브리족에게 로마인들이 아두아투카에서 전리품을 모두 가지고 있고, 더 매력적인 목표물이라고 지적했을 때 이는 역효과를 낳았다.

카이사르가 언급하지 않은 퉁리족은 로마 시대에 이 지역을 지배하게 되었고, 이것이 현대식 명칭인 통게렌의 이유이다.타키투스퉁리가 이전에 게르마니족이라고 불렸던 원래의 부족들의 새로운 이름이었다고 말한다.그러나 많은 현대 작가들은 이 지역의 갈로-로마 인구가 라인 강 건너에서 온 상당한 양의 최근 게르만 이민자들을 포함하고 있다고 믿는다.쾰른과 바바이잇는 중요한 도로 위에 위치한 로만 통게렌은 헤스바예 지역의 비옥한 토지에 둘러싸여 1세기에 가장 큰 갈로-로마 행정 및 군사 도시 중 하나가 되었다.서기 70년 바타비안 포위작전 중 파괴적인 화재로 고통받았고, 바타비안 반란의 일부였다.2세기에는 방어벽을 쌓았고, 그 일부는 오늘날에도 볼 수 있다.전형적인 로마식 건물들이 마을에 지어졌고, 주변에는 별장무덤들이 흩어져 있었다.

358년 미래의 황제 율리아누스는 통게렌에서 통게렌의 북쪽에 있는 톡산드리아( 캄핀 지역)에 최근 정착한 살리아 프랑크족 대표단을 만났다.그들은 평화를 원했지만 "마치 그들이 점령한 땅이 정당하게 그들 소유인 것처럼" 말했다.줄리앙은 애매한 대답을 하고 나서, 회합이 마스 강이나 뫼세 강을 따라 기습 공격을 한 후, "그들은 저항보다는 애원으로 그를 맞이했고, 그는 그들과 그들의 자녀들의 복종을 받았다."[4]그들은 이 시기 이후로 점점 더 중요해졌다.조시무스는 율리아누스가 그들을 다른 게르만 [5]부족과의 싸움에서 그의 군대의 일부로 사용했다고 보고한다.

중세 시대

중세 성벽의 문인 기념비적인 "모렌푸르트"

이미 4세기에 살리아 프랑크족이 북쪽으로 정착하고 있을 때, 이 도시는 서기 384년에 사망한 통게렌의 주교 세르바티우스의 영향 아래 기독교 교구의 중심이 되었다.그러는 동안, 북쪽과 동쪽의 프랑크인들은 이교도였고, 몇몇 선교사들이 순교자가 되면서, 다음 세기에 걸쳐 많은 지역을 다시 개척해야 했다.그러나 성 세르바티우스가 로마 마을 근처에 묻힌 후, 텅리아 주교국의 소재지는 결국 근처 마스트리히트로 옮겨졌다.훨씬 후에, 리에주는 로마 가톨릭 리에주 교구가 될 시비타스 툰그로럼에 해당하는 교회가 되었다.이곳은 서기 [6]700년경에 사망한 이 지역의 마지막 선교사 중 한 명인 마스트리히트의 람베르트의 안식처였다.아두아투카 툰그로럼은 서기 451년에 훈족에 의해 파괴되었을지도 모른다.그래서 통게렌은 이 기간 동안 중요성을 잃었다.

게르만족 정착민들과 침략자들의 파도는 이 지역을 크게 변화시켰다.5세기에서 8세기 사이의 메로빙거 시대는 잘 문서화되어 있지 않다.카롤링거 시대에는 옛 주교들의 집들이 서 있던 바로 그 장소와 오늘날에도 여전히 성당이 서 있는 곳에서 새로운 교회와 교회당 한 장의 기초가 이루어졌다.현재의 대성당 건축은 13세기 초에 그 시기의 일반적인 고딕 양식으로 시작되었다.새로운 상업 지역, 병원, 장인 숙소를 포함한 다른 건물들이 도시의 종교적 중심부에 추가되었다.13세기에는 중세 방어벽, 몇 개의 새로운 교회와 회랑, 그리고 비기니지가 지어졌다.이 도시는 리에주 주교국의 "좋은 도시" 중 하나가 되었다.

"본느 빌라"의 역사적인 상징인 "페로엥"이 있는 헴 플레인(The Place)입니다.

17세기부터 현대까지

1677년, 도시는 루이 14세의 군대에 의해 거의 완전히 불탔고, 통게렌은 결코 완전히 회복되지 못한 재앙이었다.도시의 재탄생은 1830년 이후로 거슬러 올라간다.

1977년 베르크, 디트휴르, 헤니스, 's-헤렌데렌, 코닝샘, 라우, 말, 니어레펜, 네렘, 오버레펜, 피링겐, 릭싱겐, 루텐, 슬루이젠, 베렌, 위디 [7]등의 인접 자치체가 통게렌으로 통합되었다.

통게렌은 현재 벨기에 림부르크주의 사법 수도이다.

주요 관광지

통게렌 대성당
  • 1257년에 설립된 베귀니지[8]1998년부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그 울타리 벽은 19세기에 파괴되었다: 그것은 도시의 나머지 부분과 분리되었고, 따라서 작은 종교에 영감을 받은 공동체에 평화와 정적을 보장했다.17세기에 비게니지는 약 300개의 비게인을 세었다; 또한 도시의 대부분을 파괴한 1677년의 화재에서 살아남을 수 있었다.
  • 13세기에 고딕 양식으로 지어진 통게렌 대성당(옹제-리브-브루베 바실리예크)은 최근 발굴로 플랜더에서 가장 풍부한 고고학적 발견물을 만들어냈습니다.고고학적 발굴은 4세기부터 이곳에 건축물이 있다는 것을 증명했고, 카롤링거식 기도원은 9세기에 이곳에 존재했습니다.현재의 대성당의 성가대 건축은 1240년에 시작되었다.13세기에서 15세기 사이에 중랑, 익랑, 측면 예배당이 추가되었다.원래의 로마네스크 탑은 1442년부터 1541년까지 64미터 높이의 현재의 고딕 양식의 탑으로 대체되었다.바실리카의 내부는 1475년에 세워진 통게렌 성모 동상이 있는 곳이다.재무부는 벨기에에서 가장 풍부한 종교 예술 소장품 중 하나로 구성되어 있다.이 종탑은 1999년 [9]벨기에와 프랑스의 종탑의 일부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 세인트 교회캐서린, 1294년에 고딕 양식으로 지어졌지만 나중에 다른 양식으로 수정되었습니다.예술 작품으로는 로브레흐트 베르부르크의 1711년 설교단, 가스파르크레이어(17세기)의 주요 제단 작품, 그리고 괴짜 안나 드 플로즈가 기증한 "수난하는 그리스도" 조각상이 있다.
  • 켈트 금, 로마 유리제품, 메로빙거 필리그리 작품, 발굴 과정에서 발견된 특이한 로마 12면체 등소장하고 있는 갈로-로마 박물관
  • 2세기 로마의 원래 벽은 여전히 1,500미터(4,900피트) 이상 보인다.
  • 중세 시대의 방어탑들 중 일부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보입니다.
  • 1866년에 세워진 암비오릭스 여신상.
  • 도시 주변에서 여러 마리의 투울리가 발견됩니다.
  • 플리니우스 공원은 77-79년에 대 플리니우스가 묘사한 자연의 샘인 플리니우스 샘을 특징으로 합니다.
  • 케버스트라트의 옛 로마 신전이 있던 곳에서 그 신전의 현대적인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원래 사찰은 평면도 외에 도면이 없기 때문에 모두 1m 높이까지 재건했습니다.
  • 성모 마리아 성당에서 3미터 아래 부분과 바실리카 안쪽에 있는 테섬 박물관은 바실리카 성당의 위치에 있는 고고학적 발견과 교회의 역사에 대한 전시를 보여준다.
  • 통게렌에는 소년원이 있다.

이벤트

  • 크로닝스페스텐(코로네이션 기념)은 1890년 두트렐루 주교에 의해 축복받은 성모 마리아 동상의 등정을 기념해 7년마다 조직된다.벨기에에서 가장 크고 인상적인 이 종교행렬은 2009년에 17번째로 열렸다.18번째 판은 2016년 7월에 열렸다.
  • 매주 일요일에는 관람객이 많은 골동품 박람회가 열린다.그것은 베네룩스에서 가장 큰 종류이다.

스포츠

유명한 주민

고대

근대

레퍼런스

메모들
  1. ^ "Wettelijke Bevolking per gemeente op 1 januari 2018". Statbel. Retrieved 9 March 2019.
  2. ^ Gysseling, Maurits (1960), Toponymisch Woordenboek van België, Nederland, Luxemburg, Noord-Frankrijk en West-Duitsland
  3. ^ Vanderhoeven, Alain; Vanderhoeven, Michel (2004), "Confrontation in Archaeology: Aspects of Roman Military in Tongeren", in Vermeulen, Frank; Sas, Kathy; Dhaeze, Wouter (eds.), Archaeology in Confrontation: Aspects of Roman Military Presence in the Northwest (Studies in Honour of Prof. Em. Hugo Thoen), Ghent University, p. 143, ISBN 9789038205786
  4. ^ 암미아누스 마르셀리누스, 레스 게슈타, 제17권 8.3-4
  5. ^ 조시머스 노바 히스토리아 3권
  6. ^ Jona Lendering. "Servatius of Tongeren". Livius.org. Retrieved 2014-05-20.
  7. ^ "Tongeren". Agentschap Onroerend Erfgoed (in Dutch). Retrieved 17 October 2020.
  8. ^ "Flemish Béguinages".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Retrieved 6 November 2021.
  9. ^ "Belfries of Belgium and France".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Retrieved 5 November 2021.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