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니 코닐리아로

Tony Conigliaro
토니 코닐리아로
Tony Conigliaro 1966.jpg
1966년 코닐리아로
우익수
출생:(1945-01-07) 1945년 1월 7일
매사추세츠 주
사망 : 1990년 2월 24일(1990-02-24) (45세)
세일럼 (매사추세츠 주)
타율: 오른쪽
던짐: 오른쪽
MLB 데뷔
1964년 4월 16일 보스턴 레드삭스
전회 MLB 출연
1975년 6월 12일 보스턴 레드삭스
MLB 통계
타율.264
홈런166
타점 수516
경력 및 수상 경력

앤서니 리처드 코닐리아로(Anthony Richard Connigaro, 1945년 1월 7일 ~ 1990년 2월 24일)는 "토니 C"와 "코니그"[1][2]라는 별명으로 불린 메이저리그 외야수이자 오른손 타자였으며 보스턴 레드삭스(1964~1967, 1969~1970, 1975)와 캘리포니아 에인절스(1971년)에서 뛰었다.매사추세츠 주 리비어에서 태어난 그는 1962년 세인트루이스 대학을 졸업했다. 메사추세츠 린에 있는 메리 고등학교요코닐리아로는 10대 때 MLB 경력을 시작하여 1964년 홈필드 데뷔 당시 첫 타석에서 홈런을 쳤다.1967년 레드삭스 임파서블 드림 시즌 중 그는 심각한 눈 부상을 일으킨 투구에 얼굴을 맞고 선수 생활을 망쳤다.부상에서 복귀했지만 이후 그의 경력은 예전 같지 않았다.

야구 경력

코닐리아로는 1962년 17세의 나이로 레드삭스와 계약했다.1963년 뉴욕 펜 리그[3]웰스빌 레드 삭스에서 뛰면서 .363의 타율과 24개의 홈런을 쳤고, 그 후 메이저로 소집되었다.

1964년 신인 시절 코닐리아로는 111경기에서 타율 0.290, 24홈런, 52타점을 기록했지만 8월 팔과 발가락이 부러졌다.펜웨이 파크에서의 첫 타석에서 코닐리아로는 화이트 삭스를 상대로 2회에 우뚝 솟은 홈런을 쳤다.

1965년 2학년 때 코닐리아로는 홈런(32개)으로 리그 선두를 달리며 아메리칸리그 사상 최연소 홈런왕에 올랐다.그는 1967년 올스타전에 선발되었다.그 시즌, 22세의 나이에, 그는 통산 100개의 홈런에 도달했을 뿐만 아니라 아메리칸 리그 [4]선수로는 가장 어린 나이에 그 대기록을 달성했다.

1965년 코닐리아로

1967년 8월 18일, 레드삭스는 펜웨이 파크에서 캘리포니아 에인절스와 경기를 하고 있었다. 해밀턴을 상대로 타구를 하던 코닐리아로는 왼쪽 광대뼈에 공을 맞고 들것에 실려 필드를 나왔다.그는 왼쪽 광대뼈의 선형 골절과 탈구된 턱과 왼쪽 [5]망막에 심각한 손상을 입었다.그가 착용하고 있던 배팅 헬멧에는 이 사건 때문인지 이후 표준이 된 보호용 이어플랩이 달려 있지 않았다.

1년 반 뒤 코닐리아로는 141경기에서 20홈런, 82타점을 기록하며 '올해의 복귀 선수'의 영예를 안았다.1970년에는 홈런(36개)과 타점(116개)에서 최고 기록을 세웠다.그 시즌에 그와 그의 빌리는 레드삭스 외야수의 3분의 2를 형성했다.1971년 에인절스에서 선수 생활을 한 후, 그는 1975년 지명 타자로 잠시 레드 삭스로 돌아왔지만, 그의 시력이 영구적으로 손상되었기 때문에 은퇴할 수 밖에 없었다.

1975년 코닐리아로

코닐리아로는 802경기 레드삭스 경력 동안 타율 0.267, 162홈런, 501타점을 기록했다.에인절스와 함께, 그는 74개의 경기에서 0.222의 타율과 4개의 홈런, 15개의 타점을 기록했다.그는 100호 홈런을 친 두 번째 젊은 선수( 오트 이후)이자 [6]아메리칸리그 최연소 홈런이다.

마지막 연도와 죽음

은퇴 후, 1975년 가을, 코닐리아로는 그의 형 빌리가 운영하는 로드아일랜드의 프로비던스에 식당을 열었다.같은 해 9월 프로비던스의 WJAR TV 10에 스포츠 앵커로 고용됐다.1976년 8월, 샌프란시스코의 KGO-TV 채널 7에서 비슷한 직책을 맡았다.

1982년 1월 9일, 당시 37세의 코닐리아로는 방송인 자리를 위해 보스턴에 있었는데, 그의 동생 빌리에 의해 공항으로 운전되어 가던 중 심장마비를 일으켰다.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그는 뇌졸중으로 쓰러져 혼수상태에 빠졌다.코닐리아로는 8년여 뒤인 1990년 2월 폐렴과 신부전으로 45세의 나이로 사망할 때까지 뇌졸중으로 인해 완전히 회복되지 못했고 가벼운 뇌손상을 입었다.기념으로 레드삭스는 그 시즌에 검은 완장을 찼다.그는 [7]매사추세츠주 몰든에 있는 홀리크로스 묘지에 묻혔다.

1990년 이후 레드삭스가 그의 사망 후 제정한 토니 코닐리아로 상은 토니의 트레이드마크로 여겨졌던 정신, 결단력, 용기를 통해 장애와 역경을 가장 잘 극복한 MLB 선수에게 매년 수여된다.

코닐리아로의 코너

코닐리아로의 코너 표백 좌석(은색)은 2008년 7월 사진에서 버드와이저 표지판 오른쪽에 보인다.

2007년 시즌의 시작을 위해, 레드 삭스의 소유권은 오른쪽 필드 지붕에 새로운 200석 표백 구역을 추가하였고,[8] 그 시즌에 16,200장의 표를 추가로 제공하였다.그것은 코닐리아로를 기리기 위해 "코닐리아로의 코너"라고 이름 붙여졌다.그 좌석은 특별히 [8]가족을 위해 판매되고 있었다.2007년 5월 현재 이 구간은 토요일에는 레드삭스 네이션, [8]일요일에는 레드삭스 키즈 네이션 멤버들을 위해 예약되어 있다.2009년 시즌이 시작되기 전에 좌석이 제거되었다.

하지만, 파울 구역의 오른쪽 필드 위 높은 곳에 있는 이 작은 좌석 구역은 원래의 "코닉스의 코너"가 아니었다.코닐리아로가 처음 복귀했을 때, 그는 투수의 손에서 나오는 공을 잘 볼 수 없다고 불평했는데, 그 이유는 투수의 바로 뒤에서 팬들이 입는 밝은 색깔의 옷들 때문이다.그의 우려를 해결하기 위해, 이 좌석들은 먼저 차단되고 검은 방수포로 덮여 타자의 눈이라고 알려진 더 나은 배경을 제공하였다.중앙 필드 TV 카메라 둥지 바로 옆에 있는 이 작은 삼각형의 좌석 영역(표백 부분 34와 35)은 펜웨이 파크의 원래 코닉 코너였다.이 같은 좌석들은 여전히 [9]같은 이유로 주간 경기 관람이 금지되어 있다.

인용된 작품

  • Conigliaro, Tony (August 1970). Seeing It Through. with Jack Zanger. Macmillan. ISBN 978-0025272903.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타임지, 1969년, 코닉의 컴백
  2. ^ 토니 코닐리아로 40년 후: 숀 L. 켈리의 추억
  3. ^ Linkugel, Wil A.; Pappas, Edward J. (July 1, 1998). They Tasted Glory: Among the Missing at the Baseball Hall of Fame. McFarland. ISBN 9780786404841.
  4. ^ "Tony Conigliaro". Retrieved 2012-05-21.
  5. ^ "Return From The Dark",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 1970년 6월 22일
  6. ^ "Home Run Records by Age". Baseball Almanac. Retrieved May 17, 2017.
  7. ^ Berkow, Ira (March 3, 1990). "A Shooting Star Named Tony C".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May 17, 2017.
  8. ^ a b c "Conigliaro's Corner' addition part of Fenway changes". ESPN. Associated Press. 2007-04-04.
  9. ^ "Fenway Park Through The Years". Boston Red Sox. Retrieved 19 August 2013.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