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니 래피

Tony Rafty
토니 래피

Studio portrait of Tony Rafty the cartoonist 1942.jpg
1942년 10월 2일 호주 육군 제복을 입은 토니 래피 초상화
태어난
앤서니 래포풀로스

(1915-10-12)1915년 10월 12일
죽은2015년 10월 9일(2015-10-09) (99)
시드니, 뉴사우스웨일스, 오스트레일리아
국적오스트레일리아인
스타일캐리커처
배우자
셜리 모레이
(m. 1946; w. 2012)

토니 래피 오암(Tony Rapty OAM, 1915년 10월 12일 ~ 2015년 10월 9일)은 그리스계 호주 예술가였다.그는 캐리커쳐 그리기를 전문으로 했다.

전기

래프티는 뉴사우스웨일스의 패딩턴에서 그리스 태생의 집안으로 태어났다.어렸을 때 그는 대공황캐디킹을 하면서 캐리커처를 그리기 시작했다.[1]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래프티는 호주군에서 전쟁 예술가 및 언론인으로 활동했으며 뉴기니, 보르네오, 싱가포르에서 복무했다.그는 싱가포르에서 일본인들의 항복을 스케치했고, 사라왁 쿠칭의 바투 린탕 수용소 등 포로수용소의 포로 석방을 취재했다.는 Louis Mountbatten 경의 기억에 남는 것을 포함하여 전쟁 행동의 많은 스케치를 완성했다.몇 년 후 그는 인도네시아 독립 전쟁을 취재했고, 인도네시아의 수카르노 대통령과 친구가 되었다.[2][3]그 시대의 그의 상당수의 작품은 국립도서관캔버라 오스트레일리아 전쟁기념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다른 작품들은 런던제국 전쟁 박물관에서 소장되어 있다.[4]

래프티 캐리커처들은 정치인, 스포츠인, 그리고 연예인들을 유혹했다.그는 1948년(런던)부터 1996년(아틀란타)까지 모든 올림픽 경기에서 스포츠맨과 여성을 스케치했다.[5]그의 작품은 전 세계적으로 전시되었고 그의 캐리커처 중 15,000개 이상이 신문과 잡지에 실렸다.1981년 래프티는 스포츠맨 빅터 트럼퍼[1], 월터 린드럼[2], 노먼 브루크스[3] 경, 다비 문로[4]캐리커처들이 오스트레일리아 포스트가 발행한 우표에 등장하면서 세계 최초의 캐리커쳐리스트가 되었다.그는 또한 세븐 네트워크 뉴스 게시판에 대한 법정 스케치도 제공했다.[6]

호주군에 의해 해방된 다음 날인 1945년 9월 12일 사라왁주 쿠칭에 있는 토니 래피(오른쪽, 인력거에 있다).

래프티는 오스트레일리아 흑백 예술가 클럽의 창립 멤버 중 한 명이며 그 회장으로 활동했다. 23년 동안 그는 시드니 기자 클럽의 이사회에서 일했고, 그곳에서 대통령직을 맡았으며, 호주 전쟁 특파원 협회를 역임했으며, 여러 해 동안 호주 전쟁 코레스를 이끌었다.안작의 날 행진에 나선 연못 협회 베테랑들.

1985년 래프티는 그리스 최고의 영예 중 하나인 아토스산 골드크로스를 수상하였고, 1991년에는 언론과의 서비스 공로로 호주 훈장을 받았다.호주 예술가인 윌리엄 다기 경은 아치발트 상을 8번이나 수상했으며 제2차 세계대전에서 래프티와 함께 한 전쟁 예술가는 "토니 래프티는 그야말로 화려하다.그는 자신의 일에 지적인 자질을 가져다 줄 뿐만 아니라 사회적 맥락 안에서 너무나 잘 해내서 자신의 삶을 가진 주제를 만들어 낸다고 말했다.

사생활

래프티는 뉴사우스웨일즈 노동 정치인 모리의 딸인 셜리 모리와 66년간 결혼했다.셜리는 2012년에 세상을 떠났다.그들에게는 다섯 명의 자녀가 있었다.[7]

2005년에 래프티는 90번째 생일을 축하했다.[2]그는 100세 생일을 사흘 앞두고 폐렴 합병증으로 NSW주 시드니의 이스턴 교외 병원에서 사망했다.[8]

추가 읽기

참조

  1. ^ Andrew Rafty & Harriet Veitch (1 January 2016). "Rafty loved people and he drew what he saw in them". Sydney Morning Herald. Retrieved 3 January 2016.
  2. ^ a b Malcolm Brown (25 April 2006). "Caricaturist whose story began at the frontline". Sydney Morning Herald. Retrieved 10 June 2014.
  3. ^ Tom Allard (20 November 2010). "Australian recalls drawing of Indonesia's battle lines". The Age. Retrieved 10 June 2014.
  4. ^ Imperial War Museum. "Works by Tony Rafty". IWM Collections Search. Retrieved 8 March 2013.
  5. ^ Hugh Holt (16 November 2010). "Tony Rafty OAM:Witness to Indonesia's war of independence". The Jakarta Post. Retrieved 10 June 2014.
  6. ^ Tingle, Greg. "Tony Rafty: Caricaturist and Australian National Treasure". Media Man. Retrieved 10 October 2015.
  7. ^ "Shirley Rafty death notice". The Sydney Morning Herald. 7 September 2012. Retrieved 10 October 2015.
  8. ^ Masters, Roy (10 October 2015). "Sketcher of the stars Tony Rafty dies days before his 100th birthday". smh.com.a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