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레일 스모크 이터즈

Trail Smoke Eaters
트레일 스모크 이터즈
Trail Smoke Eaters logo.svg
도시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의 트레일
리그브리티시 컬럼비아 하키 리그
나누기실내
설립됨1926 (1926)
홈 아레나코민코 아레나
색상오렌지색, 검정색, 흰색
총지배인팀 프래들
수석 코치팀 프래들
웹사이트www.trailsmokeeaters.com
프랜차이즈 이력
1926-현재트레일 스모크 이터즈

트레일 스모크 이터스는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트레일의 A 아이스하키 주니어 팀이다.그들은 브리티시 컬럼비아 하키 리그의 일부분이다.

역사

Smoke Eaters(일명 스모키)는 1920년대부터 주니어 팀과 시니어 팀으로 존재했다.원로 스모크 이터스는 1938년과 1962년 알란컵 2회 우승과 1939년과 1961년 캐나다에서 열린 아이스하키 세계선수권 2회 우승을 차지했다.스모키 시니어 클럽은 1963년 캐나다 남자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이 창단되기 전까지 국제대회에서 캐나다를 대표하는 마지막 독립 아이스하키 클럽이었다.

주니어 스모크 이터스는 1926년부터 브리티시 컬럼비아에서 경쟁해왔다.원래 '주니어'의 아이스하키 사용법은 시니어 부문과 중급 부문과는 구별되는 일반적이고 연령제한적이며 비전문적인 하키 개념을 가리켰다.이후 캐나다의 주니어부문은 주니어A와 주니어B의 두 단계로 나뉘었다.1970년 주니어 A는 다시 주니어 메이저와 주니어 A로 분리되었다.주니어 스모크 이터스는 주니어 A, 주니어 B부 등 다양한 수준의 주니어 하키에서 경쟁해왔다.그들은 또한 메이저 주니어 챔피언십으로 사용하기 전에 전국 주니어 챔피언십 메모리얼 컵을 위해 경쟁했다.

1931-32년, 주니어 스모크 이터스는 29시즌 동안 22번의 모왓 컵 중 첫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이 경기 내내, 모왓 컵은 그 지방을 위한 최고 수준의 주니어 하키 선수권 대회로 수여되었다.모왓컵 우승 22년 동안 스모크 이터스는 웨스턴 캐나다 주니어/주니어 A 챔피언십 애벗 컵에서 브리티시 컬럼비아를 대표했다.스모크 이터스는 1944년 애벗컵에서 우승해 주니어 전국대회 메모리얼대회에서 서부캐나다를 대표해 4전 전패오샤와 제너럴즈(Generals)에 내줬다.

1970년대까지 Smoke Eaters는 Kootenay International Junior Hockey League (KIJHL)에서 주니어 B팀으로 활동했다.그들은 1991-92년부터 1994-95 시즌까지 주니어 A 로키 마운틴 주니어 하키 리그(RMJHL)에 입단했다.1995년 스모크 이터스는 BCHL(British A British Columbia Hockey League)에서 벨링엄 아이스 호크스(Bellingham Ice Hawks) 프랜차이즈를 인수하여 1995-96시즌에 트레일 스모크 이터스로 입단하였다.

시즌별 기록

참고: GP = 게임 실행, W = 승리, L = 손실, T = 타이, OTL = 연장전 손실, GF = 목표, GA = 목표 대비 목표

계절 GP W L T OTL GF GA 포인트 마무리 플레이오프.
1969–70 32 29 3 0 335 86 58 첫째, KJHL KJHL 챔피언스
1970–71 28 26 2 0 52 1위, WKHL WKHL 챔피언스
1971–72 32 21 11 0 256 96 42 2위, WKHL
1972–73 30 17 13 0 194 165 34 3번째, KIJHL
1973–74 30 11 19 0 184 195 22 6번째, KIJHL
1974–75 34 24 10 0 270 161 48 2위, KIJHL
1975–76 34 24 8 2 239 178 50 첫째, KIJHL
1976–77 44 31 13 0 329 188 62 2위, KIJHL
1977–78 42 33 8 1 225 137 67 첫째, KIJHL
1978–79 40 37 3 0 245 113 74 첫째, KIJHL KIJHL 챔피언스
1979–80 40 18 22 0 219 240 36 제9회 KIJHL
1980–81 40 31 9 0 323 186 62 2위, KIJHL KIJHL 챔피언스
1981–82 42 28 12 2 299 187 58 2위, KIJHL
1982–83 42 33 9 0 291 191 66 2위, KIJHL
1983–84 40 7 33 0 172 278 14 12일 KIJHL
1984–85 40 24 14 2 250 201 50 4번째, KIJHL
1985–86 42 34 8 0 288 160 68 첫째, KIJHL
1986–87 42 13 29 0 239 279 26 6번째, KIJHL
1987–88 42 26 16 0 287 232 52 4번째, KIJHL
1988–89 45 33 11 1 288 191 67 3번째, KIJHL
1989–90 40 30 10 0 292 181 60 3번째, KIJHL
1990–91 41 27 14 0 227 176 54 2위, KIJHL KIJHL 챔피언스
1991–92 52 31 18 3 284 219 65 첫째, 쿠테나이 8강전 승리, 4-0(다이나리터)
4–3(콜츠) 4강 승리
로스트 파이널, 2-3(스프루스 킹스)
1992–93 52 40 11 1 366 227 81 첫째, 쿠테나이 8강전 승리, 4-0(썬더)
4강 탈락, 2-4(콜트)
1993–94 52 10 40 2 207 376 22 5일, 쿠테나이 자격이 없음
1994–95 52 21 31 0 243 289 42 5일, 쿠테나이 자격이 없음
1995–96 60 16 39 5 214 323 37 4번째, 인테리어 자격이 없음
1996–97 60 39 20 1 302 241 79 2번째, 인테리어 4강 탈락, 1-4(바이퍼스)
1997–98 60 35 23 2 222 209 72 3번째, 인테리어 4강 탈락, 1-4(팬더)
1998–99 60 14 43 3 166 259 31 6일, 인테리어 자격이 없음
1999–00 60 8 47 5 155 353 21 6일, 인테리어 자격이 없음
2000–01 60 18 34 8 199 293 44 6일, 인테리어 자격이 없음
2001–02 60 29 24 7 218 210 65 4번째, 인테리어 8강 탈락, 0–3(팬더)
2002–03 60 31 24 3 2 275 255 67 3번째, 인테리어 4강 탈락, 0–4(바이퍼스)
2003–04 60 26 26 0 8 242 237 60 5일, 인테리어 8강 탈락, 2-3(팀버울브스)
2004–05 60 30 21 2 7 220 217 69 4번째, 인테리어 로스트 예선전, 0–4(Vees)
2005–06 60 25 27 1 7 212 229 58 5일, 인테리어 로스트 예선전, 1~4위(세기)
2006–07 60 35 19 0 6 230 200 76 3번째, 인테리어 8강 탈락, 1-4(바이퍼스)
2007–08 60 23 30 1 6 169 213 53 5일, 인테리어 로스트 예선전, 0–3(바이퍼)
2008–09 60 25 31 2 2 188 215 54 6일, 인테리어 로스트 디브.8강, 0–3(워리어스)
2009–10 60 20 32 1 7 216 271 48 6일, 인테리어 로스트 디브.8강, 1-4(워리어스)
2010–11 60 31 23 2 4 198 172 68 5일, 인테리어 로스트 디브.8강
2011–12 60 11 42 1 6 151 295 29 6일, 인테리어 자격이 없음
2012–13 56 26 28 0 2 171 229 54 5일, 인테리어 자격이 없음
2013–14 58 10 42 2 4 154 274 26 6일, 인테리어 자격이 없음
2014–15 58 19 33 0 6 208 249 44 6일, 인테리어 자격이 없음
2015–16 58 23 33 2 0 171 251 46 6일, 인테리어 자격이 없음
2016–17 58 26 26 5 1 213 204 68 6월 3일 인테리어
17/8/BCHL
원디브.8강, 4–1 (실버백)
로스트 디브.준결승, 1–4 (바이퍼스)
2017–18 58 32 21 4 1 218 203 69 7월 4일, 인테리어
17/7 BCHL
원디브.8강, 4-0(워리어스)
원디브.준결승, 4–3 (Vees)
로스트 디브.결승, 1–4(야드)
2018–19 58 23 24 11 184 207 57 7/7 인테리어
17/13, BCHL
원 퍼스트 라운드, 4–1 (세기)
로스트 2라운드, 3-4(바이퍼)
2019–20 58 36 17 1 4 222 170 77 7월 2일 인테리어
17/4/BCHL
원 1라운드, 4-0(스프루스 킹스)
COVID-19 대유행으로 인해 시즌이 취소됨

칠리왁/레이드너/벨링엄 프랜차이즈

Trail Smoke Eaters는 BCHL 진입을 확보하기 위해 워싱턴주 벨링엄의 벨링엄 아이스 호크의 프랜차이즈 권리를 샀다.아이스 호크 프랜차이즈는 이전에 칠리왁, 랭글리, 래드너 등의 브리티시 컬럼비아 지역사회에 존재했었다.

칠리왁 콜츠 1978-1981
랭글리 이글스 1981-1987
칠리백 이글스 1987-1989
래드너 펭귄스 1989-90
벨링엄 아이스 호크 1990-1995

이글스는 랭글리에서 6시즌 동안 뛰었다.그들의 최고의 시즌은 1983-84로 40-8-2의 기록으로 리그 3위를 차지했다.플레이오프에서 그들은 압보츠포드 플라이어스를 4대 1로, 나나이모 클리퍼스를 4대 2로 격파한 후, 리그 챔피언십에서 1위 펜티턴 나이츠를 휩쓸었다.그 후 피스 카리부 주니어 하키 리그 챔피언인 프린스 조지 스프루스 킹스를 제치고 1984년 모왓컵에서 우승했고, 이후 포트 사스카처원 트레이더스(Fort Saskatchewan Traders)를 제치고 1984년 BC/알타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그들은 레드 윙스가 센테니얼 컵 우승을 향해 나아가기 전에 4전 전승으로 위번 레드 윙스아보트 컵을 졌다.

참고: GP = 게임 실행, W = 승리, L = 손실, T = 동점, GF = 목표, GA = 목표 대비

계절 GP W L T GF GA 포인트 마무리 플레이오프.
1978–79 62 28 31 3 284 287 59 4번째, 해안 로스트 디브.준결승, 1–4 (블레이저)
1979–80 66 35 30 1 326 328 71 3번째, 해안 로스트 디브.준결승, 3-4(클리퍼스)
1980–81 35 1 34 0 89 302 2 해안로8번길 접힌 중간계절
1981–82 48 7 41 0 204 405 14 해안로7번길 자격이 없음
1982–83 56 18 37 1 262 317 37 해안로6번길 자격이 없음
1983–84 50 40 8 2 337 192 82 제1해안 Won League, Mowat Cup, Doy Cup
1984–85 52 31 21 0 313 301 62 4번째, 해안 로스트 8강전
1985–86 52 12 40 0 232 373 24 해안6길 자격이 없음
1986–87 52 31 20 1 272 259 63 제2해안 로스트 8강전
1987–88 52 21 31 0 262 360 42 기원전 9년HL 자격이 없음
1988–89 60 18 42 0 297 445 36 기원전 9년HL 자격이 없음
1989–90 59 22 34 3 300 395 47 기원전 7년HL 로스트 프리비
1990–91 60 21 34 5 238 315 47 기원전 9년HL 자격이 없음
1991–92 60 30 26 4 310 290 64 BCJ 5일HL 로스트 파이널, 0–4(레이커스)
1992–93 60 22 35 3 258 314 47 기원전 8년HL 8강 탈락, 3-4(종이왕)
1993–94 60 18 39 3 250 324 39 기원전 9년HL 자격이 없음
1994–95 60 29 28 3 276 284 61 본토4길 예선 탈락, 0–2(레이커스)

참고 항목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