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라페지움 성단

Trapezium Cluster
트라페지움
Trapezium cluster optical and infrared comparison.jpg
광학(왼쪽)의 트라페지움과 허블에서 나오는 적외선(오른쪽)의 경우.NASA 사진
관측 데이터(J2000 epoch)
별자리오리온
우측 상승05h 35.4m
탈위임−05° 27′
거리1,344±20 ly (412 pc[1])
겉보기 크기 (V)4.0
외관 치수(V)47(호)
물리적 특성
미사? M
반지름10리
추정연령30만 년
참고 항목:열린 클러스터, 열린 클러스터 목록

테타1 오리온자리 바이엘(Bayer)명칭으로도 알려진 트라페지움 또는 오리온 트라페지움 성단오리온자리에 있는 오리온 성운의 중심부에 있는 촘촘히 열린 별들의 성단이다.그것은 갈릴레오 갈릴레이에 의해 발견되었다.1617년 2월 4일, 그는 세 개의 별(A, C, D)을 스케치했지만 주위의 성운은 놓쳤다.[2][3][4]네 번째 성분(B)은 1673년 여러 관찰자에 의해 확인되었고, 나중에 E와 같이 몇 가지 성분이 더 발견되어 1888년까지 총 8개였다.그 후, 몇몇 별들은 이진법으로 결정되었다.약 5인치(130 mm) 구멍에서 나온 아마추어 천문학자 망원경은 좋은 시야 조건에서 6개의 별을 해결할 수 있다.[5]

트라페지움은 부모 성운에서 직접 형성된 비교적 젊은 성단이다.가장 밝은 다섯 개의 별은 크기가 15에서 30개의 태양 질량이다.그들은 서로 1.5광년의 직경 내에 있으며 주변 성운의 많은 조명을 담당한다.트라페지움(Trapezium)은 직경 20광년 이내에서 약 2,000개의 별들로 구성된 더 큰 오리온 성운 성운의 하위 성분일 수 있다.

식별

트라페지움은 비교적 밝은 별 4개의 별자리로 가장 쉽게 식별할 수 있다.네 개는 종종 오른팔의 상승이 증가하기 위해 A, B, C, D로 식별된다.네 별 중 가장 밝은 별은 C, 즉 테타1 오리온자리 C이며 겉보기 크기는 5.13이다.A와 B 둘 다 은닉 바이너리로 확인되었다.

트라페지움의 적외선 이미지는 주변의 먼지 구름을 더 잘 관통할 수 있고, 더 많은 별의 구성 요소들을 위치시켰다.성단 내 항성의 약 절반은 행성 형성의 전조일 가능성이 있는 증발하는 항성 원반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갈색 왜성과 저질량 가출성별도 확인됐다.

가능한 블랙홀

2012년 한 논문은 태양보다 100배 이상의 질량을 가진 중간 질량 블랙홀이 트라페지움 내에 존재할 수 있다고 제안했는데, 이것은 성단의 별들의 큰 속도 분산을 설명할 수 있는 것이다.[6]

참조

  1. ^ Reid, M. J.; et al. (2009). "Trigonometric Parallaxes of Massive Star Forming Regions: VI. Galactic Structure, Fundamental Parameters and Non-Circular Motions". Astrophysical Journal. 700: 137–148. arXiv:0902.3913. Bibcode:2009ApJ...700..137R. doi:10.1088/0004-637X/700/1/137. S2CID 11347166.
  2. ^ 갈릴레오 갈릴레이:1610년 베니스 시데리우스 넌시우스허드슨 뉴욕 주 바드 칼리지에서 발행된 영어 번역 [1] 라틴어 원본[2]
  3. ^ 톰 포프와 짐 모셔: 갈릴레이 망원경 홈페이지 2006년 3월 17일 "일부 사람들은 그의 텍스트에서 갈릴레오가 이 별들을 감싸고 있는 성운(M42)에 대해 언급하지 않는 곤혹스러움을 표현했다.갈릴레오는 그가 Sidereus Nunshus에서 설명했듯이, 눈으로 보기에 모호해 보이는 것은 그의 망원경에 의해 별들로 분해된다고 믿었다; 그의 망원경을 통해 모호해 보이는 것은 아마도 여전히 크고 더 강력한 망원경에 의해 별들로 분해될 수 있을 것이다.따라서 확산광은 무엇보다도 그의 망원경의 한계를 나타내는 것이며 특별히 주목할 가치가 있는 것은 아니다."
  4. ^ 톰 포프와 짐 모셔: 갈릴레오의 1617년 2월 4일 트라페지움 지역의 공책 그림 페이지, 2006년 5월 2일 "아마도, 갈릴레오는 트라페지움 별들을 둘러싸고 있는 현재 잘 알려진 가스 구름인 M42에 대해 전혀 언급하지 않는다."[3] 웨이백 머신에 2011-08-11 보관
  5. ^ "Trapezium Cluster". Retrieved 2018-03-06.
  6. ^ Šubr, L.; Kroupa, P.; Baumgardt, H. (2012-09-04). "Catch me if you can: is there a "runaway-mass" black hole in the Orion Nebula Cluster?". The Astrophysical Journal. 757 (1): 37. arXiv:1209.2114. Bibcode:2012ApJ...757...37S. doi:10.1088/0004-637X/757/1/37. S2CID 118549761.
  7. ^ "First Light For Future Black Hole Probe". Retrieved 15 January 2016.

추가 읽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