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라스포르미스토

Trasformismo

트라스포르미즘은 통일 이후 이탈리아 정치에서, 베니토 무솔리니파시즘이 일어나기 전 좌우의 극단을 고립시킨 유연한 중도연정을 만드는 방법을 말한다.

이 정책은 카밀로 벤소, 카부르 백작, 그리고 이탈리아 통일과 동시에 역사적 권리에 의해 받아들여져 리오르기멘토 이후의 자유주의 국가로 넘어갔다.[1][2][3] 1883년 좌파의 일원이었던 아고스티노 데프레티스 총리가 이 과정을 계속하였다. 그는 우파로 이동해 마르코 밍게티의 자유 보수파를 포함하도록 정부를 개편했다. 이것은 디프레티스가 한동안 고려하던 움직임이었다. 좌파나 우파로 극단적으로 전환해 제도의 약화를 피할 수 있는 안정적인 정부를 확보하고 이탈리아에서 안정을 보장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이때 중산층 정치인들은 정치철학과 원칙보다는 서로 거래를 하는 데 더 신경을 썼다. 회원들이 뇌물을 받고 가입하는 등 대규모 연합이 결성되었다. 주요 정치 집단인 자유당은 비공식적인 신사의 합의로 결속되었지만, 이것들은 항상 스스로를 풍요롭게 하는 문제들에 있었다. 실제적인 통치는 전혀 일어나지 않는 것처럼 보였지만, 제한된 프랜차이즈 덕분에 정치인들은 유권자들의 이익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없게 되었다.

가장 성공한 정치인 중 한 명은 조반니 졸리티였는데, 그는 20년 동안 다섯 차례에 걸쳐 수상이 되는 데 성공했다. 그의 영향력 아래 자유당은 구조적인 정당으로 발전하지 않고, 대신 정치적 선거구와의 공식적인 연계가 없는 비공식적인 개인 집단들의 연속이었다.[4] 그러나, 트라스포르미즘은 이탈리아 의회 제도가 약하고 실제로 실패했으며 결국 부패와 연관되어 있다는 논쟁에 빠져들었다. 단기적 이득을 위한 원칙과 정책의 희생으로 인식됐다. 트라스포르미즘의 체제는 거의 사랑받지 못했고 정치인과 그 유권자들 사이에 큰 차이를 만들어내고 있는 것 같았다. 이 제도는 1912년 문맹이 통일시대 이전과 동일하게 유지되고, 열악한 위생조건과 결합한 후진적 경제정책이 지속되어 농촌의 발전을 막았기 때문에 거의 아무런 이점도 가져오지 못했다.

그람시 이론에 사용

이탈리아의 마르크스주의 철학자 안토니오 그람시트라스포르미즘을 집권 연합 내에서 자신의 사상과 지도자를 주입하고 무력화함으로써 조직화된 노동자 계급 운동의 형성을 막기 위한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그람시는 이 방법의 한 예로 조반니 졸리티가 보호주의를 기치로 이탈리아 북부의 산업 노동자들과 동맹을 맺으려 한 것을 들었다. 이 때문에 트라스포르미즘은 인민의 공공연한 동원 없이도 특정 국가에서 자본주의가 발전할 수 있는 수동적 혁명의 과정과 연결된다.[5]

캐나다에서

그람시의 관찰을 바탕으로, 캐나다의 역사학자 이안 맥케이는 트라스포르미즘캐나다 정치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제안했다. 그는 19세기 후반 대부분에 캐나다 연방정치를 지배했던 보수당의 근간인 맥도널드-카티어 연합과 20세기 캐나다 정치를 지배한 자유당트라스포미즘의 캐나다 변종 사례로 그려냈다.

1930년대에 토론토 대학프랭크 언더힐 교수도 캐나다의 양대 정당인 자유당과 보수당이 같은 종류의 지역/지역 및 계급 이익에 호소하는 동일한 정책을 진전시킴으로써 유사한 방식으로 운영되었다고 주장했다. 그렇게 함으로써 캐나다는 양당 체제를 완성하고 자유주의와 급진주의를 소외시켰다. 언더힐은 그 결과가 캐나다 정치 문화에 만연한 빈곤이라고 주장했다. 공교롭게도 언더힐은 캐나다 최초의 성공적인 연방 제3당인 사회민주신민당이 된 대공황 때 태어난 농민-노동자 연합인 협동조합연합(Cooperative Commonwealth Federation)의 형성에 중심적으로 관여했다.

참조

  1. ^ "캐버 앤 의회" 케임브리지 역사 저널 13#1 (1957): 37-57
  2. ^ Denis Mck Smith, Cavour (1985년)
  3. ^ Donovan, Mark; Newell, James L. (2008). "Centrism in Italian politics". Modern Italy. 13 (4): 381–397. doi:10.1080/13532940802367554. S2CID 144016171.
  4. ^ Louise Amoore (2005). The Global Resistance Reader. Routledge. p. 39. ISBN 0-415-33584-1.
  5. ^ Cox, Robert W. (1996). Approaches to World Ord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129–130. ISBN 0-521-461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