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판골린
Tree pangolin나무판골린[1] | |
---|---|
![]() | |
과학적 분류 ![]() | |
킹덤: | 애니멀리아 |
망울: | 코다타 |
클래스: | 포유류 |
순서: | 포리도타 |
패밀리: | 마네과 |
속: | 파타기누스 |
종: | 삼두엽충류 |
이항식 이름 | |
파타기누스 트리쿠스피스 | |
![]() | |
나무판골린 분포 |
팡골린(Phataginus triicus)은 현존하는 8종의 판골린("비늘 개미핥기") 중 하나로 적도 아프리카가 원산지다. 흰배나무 판골린 또는 세 개의 쿠스로 된 판골린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아프리카 숲 판골린 중에서 가장 흔하다.
설명
파타기누스 트리쿠스피스는 비교적 작은 판골린이다. 머리와 몸을 합친 길이는 33–43 cm(13–17 in)이다. 꼬리는 49-62cm(19-24인치)이다. 각 척도에는 세 개의 점이 있는데, 이 점들은 특정한 이름인 삼두엽을 가리킨다. 머리는 작고, 코는 길다. 발은 짧고, 각 발에는 다섯 개의 긴 굽은 발톱이 있다.
분류학
팡골린은 파타기누스가 일반적 지위에 오르기 전까지 마니스 속과 하위 게놈 파타기누스에 속했었다.[4] 1972년 메스터는 두 가지 아종을 인정했다.

범위와 서식지
이 나무 판골린은 기니에서 시에라리온, 그리고 서아프리카의 많은 지역에서 케냐의 극서남부와 탄자니아 북서부에 이르기까지 동쪽에 걸쳐 있다. 남쪽으로는 앙골라 북부와 잠비아 북서부까지 뻗어 있다. 대서양 비오코 섬에서 발견된 바 있으나 세네갈, 감비아, 기니비사우 등에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기록은 없다.[7]
판골린은 반아르보랄적이며 일반적으로 야행성이다. 그것은 사바나/숲 모자이크뿐만 아니라 저지대 열대 습윤림(일차 및 2차 모두)에서도 발견된다. 공격적으로 사냥하지 않는 경작지(예: 2차 생장 시 버려지거나 거의 사용되지 않는 기름야자수)를 선호하기 때문에 서식지 개조에 어느 정도 적응할 수 있을 것이다.
행동
팡골린은 균형을 잡기 위해 앞다리를 이용하여 네 발로 걸을 수도 있고 뒷다리의 뒷다리로 걸을 수 있다. 그것은 나뭇가지가 없을 때 나무에 오를 수 있다. 네 발로 걸을 때, 그것은 발톱을 아래로 집어넣은 채 앞 손가락 관절에 걸어 내려가지 않도록 보호한다. 그것의 항문 향기샘은 위협을 받을 때 스컹크처럼 나쁜 분비물을 분산시킨다. 후각이 발달했지만 야행성 동물로서 시력이 떨어진다. 이빨 대신 돌로 가득 찬 전어 같은 배를 가지고 있고, 그것을 섭취하는 모래사장이 있다. 아프리카의 팡골린은 잘 발달된 수영의 부력을 돕기 위해 물에 들어가기 전에 공기로 배를 채운다.
그 나무 판골린은 많은 적응력을 가지고 있다. 위협을 받으면, 그것은 두꺼운 피부와 비늘로 스스로를 보호하면서 공("볼라")으로 굴러 오른다. 그것의 비늘은 배, 코, 눈, 귀, 팔다리의 밑부분을 제외한 전신을 덮고 있다. 새끼를 가진 어머니가 위협을 받으면 새끼들 주위를 뒹굴게 되는데, 이 역시 공으로 굴러간다. 볼에 있는 동안, 그녀는 비늘을 확장하고 근육을 사용하여 비늘을 앞뒤로 움직여서 절단 동작을 할 수 있다. 그녀는 위협을 받을 때 공격적인 히프 소리를 내지만, 그것이 그녀의 소음의 정도야.
다이어트
팡골린은 개미와 흰개미 같은 곤충을 둥지에서 잡아먹거나, 나무 위에서 움직이는 곤충의 군대를 잡아먹는다. 그것은 보호를 위해 두꺼운 피부에 의존하고, 길고 발톱이 달린 앞발로 굴을 파고든다. 하루에 5~7온스(150~200g)의 곤충을 먹는다. 판골린은 거미 점액으로 코팅된 10~27인치(250~700mm)의 혀를 이용해 곤충을 입 안으로 밀어 넣는다. 혓바닥은 실제로 골반 부위까지 흉곽에 피복되어 있다.
재생산
여성 판골린 영역은 10에이커(4ha) 미만인 고독하고 작으며, 거의 겹치지 않는다. 남성은 60에이커(24ha)에 이르는 더 큰 영토를 가지고 있으며, 이것은 많은 여성 영토와 겹쳐서, 결과적으로 남성/여성의 만남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만남들은 암컷이 짝짓기가 일어날 때 에스트루스에 있지 않는 한 잠깐이다. 새끼를 잉태하는 것은 150일간 지속되며, 출생당 한 마리의 새끼는 정상이다. 어린 판골린은 3개월 후 젖을 뗄 때까지 어미 꼬리를 물고 다니지만 모두 5개월 동안 어미와 함께 있다. 처음에는 갓난아기의 비늘이 부드럽지만 며칠 지나면 굳기 시작한다.
인간에 의해 사용
팡골린은 야생동물고기와 전통의학을 널리 그리고 종종 집중적인 착취의 대상이 되며, 아프리카 야생동물 시장에서 발견되는 판골린 중 단연코 가장 흔하다. 자연보호론자들은 이 종들이 1993년부터 2008년 사이에 주로 야생동물고기 사냥의 영향으로 20-25%의 감소를 겪었다고 믿는다. 그들은 그것이 그것의 일부 범위에서 지속 불가능한 수준으로 계속 수확되고 있으며, 2008년까지 그것의 지위를 "최저 우려"에서 "위험"으로 상승시켰다고 주장한다.[8]
참조
- ^ Schlitter, D.A. (2005). "Order Pholidota". In Wilson, D.E.; Reeder, D.M (eds.).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3rd e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p. 531.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Pietersen, D.; Moumbolou, C.; Ingram, D.J.; Soewu, D.; Jansen, R.; Sodeinde, O.; Keboy Mov Linkey Iflankoy, C.; Challender, D.; Shirley, M.H. (2019). "Phataginus tricuspis".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9: e.T12767A123586469. doi:10.2305/IUCN.UK.2019-3.RLTS.T12767A123586469.en. Retrieved 19 November 2021.
- ^ "Appendices CITES". cites.org. Retrieved 14 January 2022.
- ^ a b Gaudin, Timothy (28 August 2009). "The Phylogeny of Living and Extinct Pangolins (Mammalia, Pholidota) and Associated Taxa: A Morphology Based Analysis" (PDF). Journal of Mammalian Evolution. 16 (4): 235–305. doi:10.1007/s10914-009-9119-9. S2CID 1773698. Retrieved 14 May 2015.
- ^ 라피네스크 CS(1821). 앤. 사이언스 Phys. Brux. 7: 215. (Obsolete 동의어: M. multiscutata Gray, 1843; M. tridentata Focillon, 1850).
- ^ 앨런 앤 러버리지, 1942년
- ^ Tree pangolins are native to parts of Angola, Benin, Cameroon, Central African Republic, Republic of Congo,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Côte d'Ivoire, Equatorial Guinea, Gabon, Ghana, Kenya, Liberia, Nigeria, Rwanda, Sierra Leone, Sudan, Tanzania, Togo, Uganda, and Zambia. 그들은 부룬디에 있을지도 모른다.
- ^ 판골린 스페셜리스트 그룹(2008) 파타기누스 트리쿠스피스. 인: IUCN 2008. IUCN 멸종 위기 종 목록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파타기누스 트리쿠스피스 관련 미디어가 있다. |
![]() | 위키피아는 파타기누스 트리쿠스피스와 관련된 정보를 가지고 있다. |
- 마니스(파타기누스) 세계 포유류 종 3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