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차목

Trichiales
삼차목
Hemitrichia serpula 57955.jpg
헤미트리히아 세르풀라
과학적 분류 e
도메인: 에우카리오타
망울: 아메보조아
클래스: 미소가스트리아
순서: 삼차목
티맥브르[1]
가족들

아르키리아과
디아네마과
미나카텔라과
트라이치아과

트리히알레스(Trichiales, Trichiida와 동의어)는 피망 아메보조아에 있는 슬라임 몰드의 주문이다. 트리치알레스(Trichiales)는 그룹 마이소거스트리아(Myxogastria라고도 함)의 다섯 가지 주문 중 하나, 즉 진정한 플라스모디알 슬라임 몰드(plasmodial slime mold)이다.[2] 또한 현재 자매그룹인 리세일즈와 함께 초주문 루시스포리디아에 따라 분류되고 있다.[2] 이 순서는 1922년 토마스 맥브라이드에 의해 처음 설명되었으며,[1] 현재의 양생술에서 정의된 순서와 동일한 이름과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3] 플라스모듐 형태에서 트리치알레스의 구성원들은 Columella가 부족하지만 포자 분산을 위한 잘 발달된 카필리튬을 가지고 있다.[clarification needed] 카필리튬의 모양과 디테일은 주문 내의 가족을 규정하는 데 사용된다. 포자는 선명한 색, 흰색, 노란색부터 분홍색과 적갈색에 이르기까지 밝은 색이다. 그 질서는 현재 14종, 174종 등 4개 종으로 이루어져 있다.[2] 최근의 분자 연구는 트리치알레스가 아마도 진정한 분류학 집단을 대표하지만, 자매 집단인 리체알레스는 파라피알레틱일 가능성이 높으며, 대신 리체알레스의 여러 제네라를 트리치알레스로 재분류해야 한다고 제안되었다.[2]

어원

"트리히알레스"는 그리스의 트릭스트리코에서 유래했는데, 이것은 머리카락이나 머리카락 같은 구조를 가리킨다.[4] 트리치알레스의 분류법은 눈에 띄는 카필리튬 실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데, 이 실들은 각각의 가족으로 구성원을 분류하는 데 사용된다. 이 실들은 아마도 트리치알레스의 어근과 이름의 근원이 될 것이다.

지식의 역사

미소미케테스는 1868년 에른스트 헤켈에 의해 프로티스타 그룹 내에 배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원래 많은 동물학자들에 의해 크림 왕국 내에 배치되었다.[5] G.W 마틴은 1960년 간행물에서 곰팡이 왕국("분수: Division: 미코타").[6] 후에 미소미케테스가 아메보조아인과 미시적인 형태학 및 수명주기가 훨씬 더 비슷하다는 것이 결정되었고, 그 이후 그 순서는 여러 차례 아메보조아내의 미소미케테스의 일원으로 설명되었다.[5]

토마스 H. 맥브라이드는 1922년에 출판된 그의 두 번째 판 "북미 슬라임 몰드"에서 이 주문을 "트리히알레스"라고 처음 묘사했다.[1] 그가 순서를 분류할 때 사용하는 주요 특징은 주로 밝은 노란색 포자를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독특한 실로 형성된 카필리튬이다. 트리치알레스도 1925년 리스터와 리스터에 의해 '람프로스포랄레스'라는 순서에 따라 자매집단인 리체알레스와 함께 분류되었으나,[1] 이후 작품에서 두 사람은 분리되었다. 맥브라이드는 원래 카필리튬의 구조를 형태학적 표식기로 사용하여 순서 내에서 5개 가문을 만들었다: 디아네마과, 페리차에나과, 아르시리아과, 프로토트리치과, 트리치과. 각각 카필리튬 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제공했는데, 맥브라이드는 포자를 분산시키는 능력에 대해 "엘레이터"라고 묘사했다. 맥브라이드의 저서는 마이소미케이트의 형태학과 분류법에 관한 몇 가지 다른 출판물로 이어졌다. 여기에는 1969년에 출판된 G.W. 마틴과 콘스탄티누스 알렉소풀로스의 《Myxomycetes》가 포함되었는데, 이 책은 지금까지도 미소메테스를 연구하는 데 가장 유용한 문학 작품 중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7] 이 모노그래프에서 트리치알레스의 순서는 단지 두 가족으로 단순화되었다.[8] 디아네마과와 트리치과. 다시 말하지만, 이 두 가족은 주로 모세혈관의 차이를 통해 구별된다. 디아네마과의 구성원은 포자의 밑면이나 벽에 붙어 그물을 형성하지 않는 카필리튬 실을 전시하고 있는 반면, 트라이치아과는 포자의 밑면에 자유롭거나 붙어 있는 카필리튬 실을 가진 것으로 분류되며, 종종 그물 형태로 되어 있다.

가장 최근의 이 질서의 치료는 4가지 가족이다.[2][3] 그러나 많은 연구자들은 이 가족들뿐만 아니라, 여러 종들이 한 가지 이상의 가족에서 발견되는 특징과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들 가족을 서로 구별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점에 주목했다. 트리치알레스 그 자체에 대한 분자 연구는 아주 최근에야 이루어졌다. Mxyomycetes에 대해 수행된 첫 번째 분자 염기서열 연구는 Anne-Marie Fiore-Donno 외 연구진에 의해 2005년에 수행되었다.[9] 그 이전에, 모든 분류법은 단지 형태학과 발달에 기초하고 있었는데, 여기 트리치알레스에서 볼 수 있고 과거의 연구자들이 카필리튬에 올려놓은 강조점이다.

피오레-도나에 의해 생성된 계통생성은 형태학에 의해 예측된 다른 분류학뿐만 아니라 트리치알레스와 리살레스 사이의 밀접한 관계를 뒷받침했다. 좀 더 최근의 연구에서, 트리치알레스와 리세일즈 사이의 서술이 논의되었다. 리실리탈레스는 모세혈관이 없다는 것이 결정적인 특징이기 때문에 단극성일 가능성이 없는 복잡한 순서다.[2][3] 더 많은 형태론적 연구들은 리세일즈 내의 몇몇 종들을 밝혀냈는데, 이 종들은 실제로 모세리튬을 나타낼 수도 있다. 그 밖에 "의사포실리튬"이나 포자 안에 남아 있는 실이 많이 있는데, 이는 여러 종류의 유사포실리튬이 관찰된 만큼 정의가 미흡한 용어다.[2] 그 결과, 분자 발견에 기초한 새로운 종류의 계통 발생에 대한 제안이 제안되었다. 피오레-도나(Fiore-Donna)는 관찰된 서로 다른 종류의 유사균류를 설명하기 위해 트리치알레스와 리체알레스 사이에 새로운 종족의 형성을 제안했다. 또 다른 가능한 제안은 리살레스 지령을 몇 개의 새로운 성지로 분해하는 것이었다. 여기에는 트리치알레스 주문의 모든 구성원과 리체일즈 주문의 밀접하게 관련된 구성원을 포함하는 트리치오드 쇄골의 형성이 포함될 것이며, 나머지 리체일즈 순서는 분자 데이터에 기초하여 몇 개의 다른 새로운 쇄골 사이에 분할될 것이다.[10]

유기체 설명

트리히알레스(그리고 실로 미소미케테스의 모든 주문)의 멤버들은 일반적인 슬라임 몰드 라이프사이클을 큰 편차 없이 따른다. Myxomycete 수명주기는 두 개의 영양 단계로 구성된다: 유기체가 단일 핵을 가지고 있고 운동성을 위한 플라겔럼을 가질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는 더 작은 아메바 위상이다. 또 다른 위상은 아메바 단계에서 여러 개의 세포가 융합되어 발생하는 거시적 플라스모듐이다.[11] 이 플라스모디움은 본질적으로 수천 개의 핵이 동시에 분열되는 단일 세포다.[11] 플라스모듐은 가로 1미터까지 크기에 도달할 수 있고 세포질 스트리밍을 통해 이동한다.[5] 플라모듐은 양호한 조건에서 열매를 맺는 몸체와 포자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방출되고 분산되어 첫 아메바 단계로 성장하게 된다.[11] 거시적으로 볼 수 있는 단계 때문에, Myxomycetes의 분류법은 작은 아메보이드 단계보다 플라스모듐의 구조와 형태학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다.[5]

트리치알레스 순서는 내포성 균사체 중 하나로 간주되는데, 이는 유기체의 포자가 벽에 둘러싸인 결실체 내에서 생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5] '빛나는 거품' 또는 '맑은 거품'으로 알려진 슈퍼오더 루시스포리디아는 포자를 잡는 구조물을 통해 포자 줄기를 확장한 [2]폴라넬라가 부족한 슬라임 거푸집이다. 그것은 트리치알레스와 리세일즈 자매그룹을 포함하고 있다. 리실레스는 카필리튬이[2] 전혀 없는 것이 특징이다(일부 멤버는 가성비실리튬을[1] 보일 수 있지만), 트리치알레스의 멤버는 항상 카필리튬을 가지고 있다. 트리치알레스(Trichiales)의 제네랄은 대개 밝은 색상의 포자 덩어리를 가지고 있는데, 열매 맺는 몸체는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거나 또는 자라나는 줄기를 형성한다.[3] 포자는 종종 노란색이지만[1] 무색이나 흰색부터 분홍색과 적갈색까지 다양하다.[3]

카필리튬은 트리치알레스 순서의 결정적인 특징이다. 나선형, 사마귀, 가시 같은 특징 때문에 종종 "치장형" 또는 "치과형"으로 묘사된다. 트리치알레스의 카필리튬 개발은 잠재적 가지와 나선형을 포함하여 최종 카필리튬의 원하는 형태로 조직된 플라스모디움 내의 관형 바쿠올을 통해 형성된다. 그리고 나서 단백질은 이 진공관 안에 축적되어 그것들을 경화시켜 성숙한 구조를 형성한다.[12]

과거에 트리치알레스의 생성과 종을 분류하는 데 사용된 카필리튬 실의 다른 형태학적 특징들이 있었다. 석회, 즉 카필리튬 안에 탄산칼슘의 존재는 종종 다른 종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5] 역사적으로 트리치알레스의 회원들은 카필리튬에 석회 침전물이 들어있지 않았지만 환경조건으로 인해 다른 종에서는 석회 침전물이 줄어들 수 있기 때문에 이 기법은 문제가 있다.[3][7] 이로 인해 식별이 잘못될 수 있다.[5] 또 다른 방법은 빛의 회전을 통해 극성을 이용하여 모세혈관의 미세한 차이를 검사하는 것이었지만, 이 방법 또한 연구자들에 의해 무시되었다.[2]

관심종

트리치알레스의 여러 종은 성장기 동안 숲에서 관찰될 수 있는 가장 흔한 슬라임 곰팡이의 일부로 여겨진다. 헤미트리히아(Hemitricia), 트리치아(Trichia), 아르시리아(Arcyria)의 성종은 수종이 많고 봄부터 늦가을까지 숲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12] Hemitrichia 속은 Hemitricia Serpula라고 불리는 매우 아름답고 잘 알려진 종을 포함하고 있다. 그것은 뚜렷한 황금색과 노란색의 관망으로 보이는 플라스모디알 형태로 알려져 있다. 서식지가 넓기 때문에, Hemitrichia Serpula는 Myxomycetes의 분화와 유전자 흐름의 과정을 연구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13] 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 남미 등 대부분의 주요 대륙의 저지대 숲에서 많은 종류의 슬라임 곰팡이가 발견되어 수천 마일 이상의 포자를 분산시키는 능력을 보여준다.[10]

화석 기록

미크소미케트의 화석 기록은 그들의 아메보이드 단계가 화석을 형성하지 않고, 플라스모디알 단계에서 열매를 맺는 몸이 너무 연약하기 때문에 극히 드물다.[14] 아르시리아아르시리아 설카타 종의 포자가 발트 숲의 호박에서 발견되었는데, 에오세네 시대(50-35Myr)로 거슬러 올라간다.[14] 이번 발견은 슬라임 곰팡이로 확증된 두 개의 화석 중 한 개에 불과하며, 화석 기록에 슬라임 곰팡이가 가지고 있는 표현력이 약하기 때문에, 미소미케트의 진화에 대한 중요한 통찰력을 나타낸다.[14]

가족 및 세대 목록

현재 4개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다.[2][3]

  • 아르키리아과 – 열매를 맺는 시체는 sseile 또는 스토킹된다. 카필리튬은 관모양이고 속이 비어 있으며 "와트, 가시, 톱니바퀴, 굴곡, 하프링, 링 또는 레티케이트"와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5종, 87종).[3]
  1. 아크릴로이드
  2. 아르키리아
  3. 아르키리아텔라속
  4. 코르누비아
  5. 페리차네아속
  • 디아네미대 – 열매를 맺는 시체는 세실레 또는 스토킹이다. '카필리튬'은 실처럼 단단하고 단단하며, 연약하고 불규칙한 나선형 또는 망막(2종, 15종)[11]으로 매끈하거나 질감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1. 칼로믹사
  2. 다이네마
  • 미나카텔라과 – "살아다니는 시체들" Capillitium tubular, 뻥 뚫린, 거의 매끄러운(1종, 1종).[11]
  1. 미나카텔라
  • 트리치과 – "살아있는 시체나 스토킹된 시체들. 카필리튬은 관으로 되어 있고, 속이 비어 있으며, 나선 띠로 장식되어 있으며, 때로는 가시와 결합되기도 한다. 이 장식은 때때로 희미하고 거의 매끄럽게 보일 수 있다(6종, 81종).[11]
  1. 칼로네마
  2. 헤미트리히아
  3. 메타트리히아
  4. 올리고네마
  5. 프로토트리치아
  6. 트리키아

참조

  1. ^ a b c d e f Macbride, T.H. (1922). The North American slime-moulds (2nd ed.). p. 237.
  2. ^ a b c d e f g h i j k Fiore-Donno, A.; Clissmann, F.; Meyer, M.; Schnittler, M.; Cavalier-Smith, T. (2013). "Two-gene phylogeny of bright-spored myxomycetes (slime moulds, superorder lucisporidia)". PLoS.
  3. ^ a b c d e f g h Carlos Lado; Uno Eliasson (2017). Chapter 7 - Taxonomy and Systematics: Current Knowledge and Approaches on the Taxonomic Treatment of Myxomycetes, In Myxomycetes, edited by Steven L. Stephenson and Carlos Rojas. Academic Press. pp. 205–251.
  4. ^ Gordh, G.; Headrick, D.H. (2001). A Dictionary of Entomology. Wallingford: CABI.
  5. ^ a b c d e f g Olive,Lindsay (1975). The Mycetozoans. New York: Academic Press.
  6. ^ Martin, G.W. (1960). "The Systematic Position of the Myxomycetes". Vol. 52. Mycologia, JSTOR. pp. 119–129.
  7. ^ a b Stephenson, S.L. (2011). "From morphological to molecular: studies of Myxomycetes since the monograph of Martin and Alexopoulos". Vol. 50. Fungal Diversity. pp. 21–34.
  8. ^ Martin, G.W. and Alexopoulis, C. (1969). The Myxomycetes. Iowa City: University of Iowa Press.{{cite book}}: CS1 maint : 복수이름 : 작성자 목록(링크)
  9. ^ Fiore-Donno, A.M.; et al. (2005). "Higher-order phylogeny of plasmodial slime molds (Myxogastria) based on elongation factor 1-a and small subunit rRNA gene sequences". Vol. 52. J.Eukaryotic Microbiology. pp. 201–210.
  10. ^ a b Leontyev, D.V. and Schnittler, M. (2017). "Chapter 3: The Phylogeny of Myxomycetes. In Myxomycetes, edited by Steven L. Stephenson and Carlos Rojas". Academic Press. pp. 83–106.{{cite news}}: CS1 maint : 복수이름 : 작성자 목록(링크)
  11. ^ a b c d e f Stephenson, S.L. (2008). "Myxomycete diversity and distribution from the fossil record to the present". Vol. 17. Biodiversity & Conservation. pp. 285–301.
  12. ^ a b Alexopoulos, C. (1979). Introductory Mycology. John Wiley & Sons,Inc.
  13. ^ Heherson, N.; et al. (2017). "Speciation in progress? A phylogenetic study among populations of Hemitrichia serpula(Myxomycetes)". Vol. 12. PLoS One. pp. 1–14.
  14. ^ a b c Dorfelt, H.; et al. (2003). "The oldest fossil myxogastroid slime mold". Vol. 107. Mycological Research. pp. 123–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