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차 신경

Trigeminal nerve
삼차 신경
Grant 1962 654.png
삼차 신경과 삼차 신경이 공급하는 장기(또는 구조)의 개략도
Brain human normal inferior view with labels en.svg
뇌신경 라벨이 붙은 인간 의 열등시
세부 사항
로.안신경
상악신경
하악신경
이너베이트 운동:근육, 텐서팀파니, 텐서벨리팔라티니, 미로하이드, 이복부전복부
감각:얼굴, , 턱관절
식별자
라틴어삼차 신경
메쉬D014276
신경명549
TA98A14.2.01.012
TA26192
FMA50866
신경해부술의 해부학적 용어

다섯 번째 뇌신경, 뇌신경 V 또는 간단히 CN V로도 알려진 삼차신경얼굴의 감각과 물고기씹는 것과 같은 운동 기능을 담당하는 뇌신경이다; 그것은 뇌신경 중 가장 복잡하다.그것의 이름("trigeminal" = tri- or three, and - geminus, twinnus: so "3-born, tripinus: 3-born,[1] twin")은 안신경(V12), 상악신경(V3), 하악신경(V)의 세 가지 주요 가지를 가진 두 신경(V)에서 유래한다.안과와 상악 신경은 순전히 감각적인 반면, 하악 신경은 감각 기능뿐만 아니라 운동도 공급합니다.[2]이 신경의 복잡성을 더하는 것은 자율 신경 섬유와 특별한 감각 섬유(미각)가 그 안에 포함되어 있다는 이다.

는 초기 상태의 접합부의 기저판의 삼차 신경의 모터 사업부 파생되고, 뇌 신경관의 감각 사단에서 유래되었습니다.얼굴과 몸에서 감각 정보를 병렬 경로에 의해 중앙 신경 시스템에서 처리된다.

구조.

삼차 신경의 세 가지 주요 가지인 안신경(V1), 상악신경(V2), 하악신경(V3)은 메켈의 동굴에 위치하고 들어오는 감각신경계의 세포체를 포함하는 삼차 신경절(반월 신경절 또는 가세리안 신경절이라고도 함)에 수렴한다.삼차신경절은 나머지 신체에서 들어오는 감각섬유의 세포체를 포함하는 척수의 등근신경절과 유사합니다.

삼차신경절에서, 하나의 큰 감각 뿌리(주근)가 뇌간으로 뇌종양의 수준으로 들어갑니다.감각근 바로 옆에는 더 작은 운동근(단조근)이 같은 수준의 [3]핀에서 나온다.운동 섬유는 말초 근육으로 가는 도중에 동기화하지 않고 삼차 신경절을 통과하지만, 그들의 세포체는 5번째 신경의 핵, 즉 종아리 안쪽에 위치해 있다.

Drawing of the head, with areas served by specific nerves color-coded
삼차 신경의 피부세포 분포

삼차 신경의 세 가지 감각 가지의 피부 분포 영역(더마텀)은 겹치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적은 날카로운 경계를 가지고 있습니다(상당히 겹치는 부분이 있는 신체의 다른 부분의 피부옴과는 달리).리도카인과 같은 국소 마취제를 주입하면 얼굴과 입의 잘 정의된 부위의 감각이 완전히 상실됩니다.예를 들어 턱의 한쪽 치아는 하악신경을 주입함으로써 마비될 수 있다.때때로 부상이나 질병 과정이 삼차 신경의 두 가지(또는 세 가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경우, 관련된 가지를 다음과 같이 칭할 수 있다.

  • V1/V2 분포 – 안과 및 상악지 참조
  • V2/V3 분포 – 상악 및 하악지 참조
  • V1-V3 디스트리뷰션– 3가지 브런치 모두 참조

왼쪽 턱의 신경이 오른쪽 턱의 신경보다 약간 많다.

감각 지점

Profile of the head, with the three sub-nerves color-coded
삼차 신경의 피부세포 분포

안과용, 상악용, 하악용 가지는 세 개의 분리된 구멍을 통해 두개골을 떠납니다: 각각 상안와열, 공문 로툰덤, 그리고 공문 난형입니다.안신경(V1)은 두피와 이마, 윗눈꺼풀, 결막과 각막, 코(알레 나시 제외 코 끝 포함), 코 점막, 전두부비강 및 수막의 일부(경막과 혈관)로부터 감각 정보를 전달한다.상악신경(V2)은 아래 눈꺼풀과 볼, 앞니와 윗입술, 윗니와 잇몸, 코 점막, 인두의 입천장, 상악, 체골, 구상부비강 및 수막의 일부에서 감각 정보를 전달한다.하악신경(V3)은 아랫입술, 아랫니, 잇몸, 턱과 턱(C2-C3에 의해 공급되는 턱의 각도 제외), 외이의 일부와 수막의 일부로부터 감각 정보를 전달한다.하악골 신경은 입에서 접촉 위치 및 통증 온도 감각을 전달한다.비록 미각은 없지만, 그것의 가지 중 하나인 혀 신경은 혀의 감각을 전달한다.

V뉴런의 간뇌핵의 말초 과정은 삼차신경의 운동근에서 실행되어 매스케이션 근육의 근육 방추에서 끝납니다.그것들은 고유 수용성 섬유로, 매스틱 근육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전달합니다.간뇌 V 뉴런의 중심 과정은 운동핵 V에서 시냅스한다.

기능.

삼차신경의 감각 기능은 얼굴과 입에 촉각, 고유 수용성, 그리고 침투를 주는 것이다.운동기능은 유방절제근, 텐서팀파니, 텐서벨리팔라티니, 미로하이드, 그리고 이복부의 앞배를 활성화시킨다.

삼차신경은 일반적인 체세포 구심성 섬유(GSA)를 운반하는데, 이것은 안과, 상악과, 하악골(V3) 분열을 통해 얼굴의 피부를 내부화한다.삼차신경은 또한 하악(V3) 분열을 통해 절제근육을 자극하는 특별한 내장효모 축삭운반한다.

근육들

삼차신경의 하악분할(V3)의 운동성분은 마사지기, 측두근, 내측외측 익상근4개의 근육을 포함한 8개의 근육의 움직임을 제어한다.다른 네 개의 근육은 천장 벨리 팔라티니, 골수근, 이복골의 앞배 그리고 천장 팀파니이다.이러한 근육을 기억하기 위한 유용한 니모닉은 "My Tensors Dig Ants 4 MoM"(Mylohyoid-)입니다.Tensor Tympani + Tensor Veli Palatini—이가스트릭(외측)– 4근육(Temporalis, Masseter, Medial 및 Lateral Pterygoids)

Tympani 텐서를 제외하고, 이 모든 근육들은 물고, 씹고, 삼키는 것과 관련이 있고, 모두 양쪽 피질 표현을 가지고 있습니다.일방적인 중앙 병변(: 뇌졸중)은 아무리 크더라도 관찰 가능한 결손이 발생할 가능성은 낮다.말초신경을 다치면 턱이 열릴 때 턱이 마비된 쪽으로 어긋나는 등 턱 한쪽 근육이 마비될 수 있다.하악골의 이러한 방향은 반대편에서 기능하는 익상골의 작용에 기인한다.

센세이션

두 가지 기본적인 감각 유형은 접촉 위치와 통증 온도입니다.터치 위치 입력은 즉시 주목을 받지만, 통증 온도 입력은 지연 후 의식 수준에 도달한다. 사람이 핀을 밟았을 때, 무언가를 밟는다는 자각은 즉각적이지만 그에 따른 통증은 지연된다.

접촉 위치 정보는 일반적으로 척수성(빠른 전도성) 신경 섬유에 의해 전달되며 통증 온도 정보는 척수성(느린 전도성) 섬유에 의해 전달됩니다.접촉 위치에 대한 1차 감각 수용체(마이스너의 소체, 메르켈수용체, 파키니아 소체, 루피니소체, 머리카락 수용체, 근육 방추 장기 및 골지 힘줄 장기)는 신경 종말인 통증 온도에 대한 수용체보다 구조적으로 더 복잡하다.

이 맥락에서 감각은 다른 뇌신경에 의해 처리되어 다른 경로를 통해 대뇌피질에 전달되는 특별한 감각(냄새, 시각, 미각, 청력 및 균형)이 아닌 접촉 위치와 통증 온도 정보에 대한 의식적인 인식을 의미한다.일부 비인간 척추동물의 자기장, 전기장, 저주파 진동 및 적외선 방사선에 대한 인식은 제5뇌신경에 상당하는 것으로 처리된다.

이 문맥에서 터치란 2점 식별(한 지점과 촘촘한 두 지점을 접촉하는 차이) 또는 거친 사포, 중간 사포 또는 미세한 사포 사이의 차이와 같은 상세하고 국소적인 촉각 정보를 인지하는 것을 말한다.터치 위치 인식이 없는 사람은 몸의 표면을 느낄 수 있고 넓은 의미에서 촉각을 인지할 수 있지만, 인지적인 디테일이 부족하다.

이 문맥에서 위치는 의식적인 소유권 수용을 의미합니다.고유 수용체(근육 스핀들 및 골지 힘줄 기관)는 관절 위치와 근육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이러한 정보의 대부분은 무의식적인 수준에서 처리되지만(주로 소뇌전정핵에 의해), 일부는 의식적인 수준에서 이용할 수 있다.

접촉 위치와 통증 온도 감각은 중추 신경계의 다른 경로에 의해 처리된다.이 유선상의 구별은 대뇌피질까지 유지된다.대뇌피질 내에서 감각은 다른 피질 영역과 연결되어 있다.

감각 경로

말초에서 피질까지의 감각 경로는 접촉 위치 감각과 통증 온도 감각에 대해 분리되어 있다.모든 감각 정보는 시상의 특정 핵으로 보내진다.시상핵은 다시 대뇌피질의 특정 부위에 정보를 보낸다.각 경로는 직렬로 연결된 세 개의 신경 섬유 다발로 구성됩니다.

Flow chart from sensory receptors to the cerebral cortex

각 경로의 2차 뉴런은 척수가 분할되어 발달하기 때문에 분리된다.분리된 파이버는 나중에 이러한 세그먼트에 도달하여 더 높은 중심에 연결합니다.시신경 키아즘은 디커션의 주요 원인입니다. 시신경의 코 섬유는 정보를 처리하는 요관 간 연결을 짧게 유지하기 위해 반대쪽(그래서 각 대뇌 반구)으로 교차합니다.모든 감각과 운동 경로는 수렴되어 반대쪽 [4]반구로 갈라진다.

감각 경로는 종종 직렬로 연결된 개별 뉴런의 체인으로 묘사되지만, 이것은 지나친 단순화이다.감각 정보는 체인의 각 수준에서 인터뉴런에 의해 처리되고 수정되며 신경계의 다른 영역에서 입력된다.예를 들어, 주 삼차핵(아래 다이어그램의 주 V)의 세포는 망상 형성 및 대뇌 피질로부터 입력을 받습니다.이 정보는 시상에 대한 메인 V 셀의 최종 출력에 기여합니다.

Text-and-line diagram of sensory-nerve pathways
C = 경추 세그먼트, S = Sacral 세그먼트, VPL = 복부 후측핵, SI = 1차 체전두피질, VM = 복부 전두전두피질, MD = 내측시상핵, IL = 복부 후두핵, VPM = 복부 후두엽, 주핵

신체로부터의 접촉 위치 정보는 내측 림프절에 의해 시상까지 전달되며, 얼굴에서 삼차 림프절(전측 및 후측 삼각 시상관)에 의해 전달된다.몸으로부터의 통증-온도 정보는 시상관(spinothalamic tract)에 의해 시상(thalamus)으로 전달되고 얼굴에서 삼차림막(trigeminal lemniscus, anterior trigeminothal tract)의 전방 분할에 의해 얼굴에서 전달된다.

얼굴과 몸으로부터의 접촉위치와 통증온도감지 경로가 뇌간에서 합쳐져 온몸의 접촉위치와 통증온도감지도가 시상에 투영된다.시상에서 접촉 위치 및 통증 온도 정보가 대뇌 피질에 투사된다.

요약

시상과 대뇌 피질에서 통증-온도 정보의 복잡한 처리(터치 위치 정보의 비교적 단순하고 간단한 처리와는 대조적으로)는 계통학적으로 더 오래되고 원시적인 감각 시스템을 반영한다.말초 접촉 위치 수용체로부터 받은 세부 정보는 말초 통증 온도 수용체에 의해 부분적으로 설정된 인식, 기억 및 감정의 배경에 중첩된다.

접촉 위치 인식의 역치는 비교적 측정이 쉽지만 통증 온도 인식의 역치는 정의 및 측정이 어렵다."터치"는 객관적인 감각이지만, "통증"은 사람마다 다르며 기억과 감정에 의해 조절되는 개인화된 감각이다.접촉 위치 인식 경로와 통증 온도 감각 사이의 해부학적 차이는 통증, 특히 만성적인 통증을 관리하기 어려운 이유를 설명해준다.

Trigeminal 핵

Diagram of the brainstem
뇌간핵:빨간색 = 모터, 파란색 = 감각, 진한 파란색 = 삼차 핵

얼굴의 모든 감각 정보, 접촉 위치와 통증 온도 모두 삼차핵으로 보내집니다.고전 해부학에서 얼굴의 대부분의 감각 정보는 제5신경에 의해 전달되지만, 입의 일부, 귀의 일부와 수막의 일부는 두개골 신경 VII, IX, 그리고 X일반적인 체성 구심성 섬유에 의해 전달된다.

이 신경들의 모든 감각 섬유는 삼차핵에서 끝납니다.뇌간에 들어가면 V, VII, IX, X의 감각 섬유가 분류되어 삼차핵(얼굴과 입과 얼굴의 감각 지도를 포함하고 있다.삼차핵(척수의 등쪽 뿔과 등쪽 기둥 핵에 있는 세포)의 척수 부분에는 신체의 나머지 부분에 대한 감각 지도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삼차핵은 중뇌에서 수질에 이르는 뇌간 전체에 걸쳐 확장되어 경추까지 이어집니다.핵은 세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뇌간의 미세한 부분에서 볼 수 있다.꼬리에서 로스트랄(수질에서 중뇌로 올라가는 것)까지, 그것들은 척추 삼차, 주요 감각 그리고 간뇌 핵이다.삼차핵의 부분은 다른 유형의 감각 정보를 받는다; 척수 삼차핵은 통증-온도 섬유를 받고, 주요 감각핵은 접촉 위치 섬유를 받고, 간뇌핵은 턱과 치아로부터 자체 수용체와 기계 수용체 섬유를 받는다.

척수 핵 삼차

척수 삼차핵은 얼굴에서 느껴지는 통증-온도 감각을 나타낸다.말초 노치프터로부터의 통증온도섬유는 뇌신경 V, VII, IX, X에 담당된다.뇌간에 들어갈 때, 감각 섬유는 묶여서 척수 삼차핵으로 보내진다.유입되는 섬유 다발은 척추 삼차핵과 평행한 삼차핵의 척추관으로서 송곳니와 수질의 단면에서 확인될 수 있다.V의 척수는 척수의 리사우어 관로와 유사하고 연속적이다.

척추 삼차핵은 얼굴과 입의 통증-온도 감각 지도를 포함하고 있다.척수 삼차 핵에서, 2차 섬유는 중앙선을 가로질러 삼차 여성 시상(quintothalamic) 관로를 타고 반대쪽 시상까지 올라갑니다.통증-온도 섬유는 여러 시상핵으로 보내진다.통증 온도 정보의 중앙 처리는 터치 위치 정보의 처리와 다릅니다.

Somatotopic 표현

The head in profile, with trigeminal-nerve distribution illustrated
삼차 신경의 양파 껍질 분포

얼굴의 통증-온도 섬유가 어떻게 척수 삼차핵으로 분포되는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현재의 일반적인 이해는 인체의 모든 부위의 통증 온도 정보가 척추와 뇌간에서 상승하고, 꼬리-동토층으로 표현된다는 것이다.하지로부터의 정보는 요추에, 흉부 코드에 상지로부터의 정보는 흉부 코드에 나타난다.목과 뒤통수로부터의 정보는 경추에, 얼굴과 입의 정보는 척수 삼차핵에 나타난다.

척수 삼차핵 내에서 정보는 층상 또는 "음이온 피부" 방식으로 표현됩니다.핵의 가장 낮은 수준(상경부 및 하수질)은 얼굴의 주변 영역(두피, 귀 및 턱)을 나타냅니다.상위 수준(상위 수질)은 중앙 영역(코, 볼 및 입술)을 나타냅니다.가장 높은 수준(대퇴골)은 입, 치아 및 인두강을 나타냅니다.

양파 껍질 분포는 제5신경의 말초가지 피부세포 분포와 다르다.척수 삼차핵의 아랫부분을 파괴하는 병변은 코(V1), 윗입술(V2), 입(V3)의 통증 온도 감각을 유지하고 이마(V1), 볼(V2), 턱(V3)의 통증 온도 감각을 제거한다.비록 이 분포의 진통이 전통적인 의미에서 "비생리학적인" 것이지만, 이 진통은 삼차핵의 척수를 외과적으로 절개한 후에 사람에게서 발견됩니다.

척수 삼차핵은 시상에 통증-온도 정보를 보내고 중간뇌와 뇌간의 망상 형성에 정보를 보낸다.후자의 경로는 척추의 스피놈 뇌 및 스피노레틱 기관과 유사하며, 이는 신체의 나머지 부분에서 동일한 부위로 통증-온도 정보를 보냅니다.간뇌는 의식 수준에 도달하기 전에 고통스러운 입력을 조절한다.망상 형성은 고통스러운 자극에 대한 신체의 자동(무의식) 방향을 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덧붙여서 양파과의 식물에서 발견되는 유황 함유 화합물은 후각[5]우회하여 삼차신경절에서 발견되는 수용체를 자극한다.

주핵

주핵은 얼굴의 접촉압감을 나타낸다.그것은 제5신경의 입구 근처에 있는 종아리 안에 있어요.얼굴과 입에서 두개골 신경 V, VII, IX, X를 통해 접촉 위치 정보를 운반하는 섬유는 뇌간에 들어갈 때 이 핵으로 보내진다.

척추 삼차핵이 완전한 통증-온도 지도를 포함하는 것처럼 주핵은 얼굴과 입의 접촉 위치 감각 지도를 포함합니다.이 핵은 신체의 나머지 부분의 접촉 위치 지도를 포함하는 척수의 등쪽 기둥 핵(자상핵과 쐐기핵)과 유사합니다.

주핵에서 2차 섬유는 중앙선을 통과하여 복측 삼차 여성 시상관을 타고 반대쪽 시상까지 올라갑니다.복측 삼각 시상관은 내측 림프절과 평행하게 이어져 몸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시상까지 접촉 위치 정보를 전달합니다.

치아와 턱의 일부 감각 정보는 작은 등삼차관을 통해 주핵에서 측방 시상으로 보내집니다.얼굴 한쪽 치아와 턱으로부터의 접촉 위치 정보는 시상과 피질에 양쪽으로 표현된다.

간뇌핵

간뇌핵진짜 핵이 아니다; 그것은 뇌간에[citation needed] 내장된 감각신경절이며 감각 정보가 중추신경계에 들어가기 전에 말초 감각신경절을 통과한다는 규칙에 대한 유일한 예외이다.그것은 칠성장어와 먹장어를 제외한 모든 척추동물에서 발견되었다.그들은 턱이 없는 유일한 척추동물이며 뇌간에 특정 세포를 가지고 있다.이 "내부 신경절" 세포들은 19세기 말에 의대생 지그문트 프로이트에 의해 발견되었다.

두 종류의 감각 섬유는 중뇌핵에 세포체를 가지고 있다: 턱에서 나오는 자가 수용체 섬유와 치아에서 나오는 기계 수용체 섬유.이러한 유입 섬유 중 일부는 의식 인식을 위한 경로를 우회하여 삼차 신경의 운동 핵으로 갑니다.턱 부상 반사가 그 예입니다; 무릎을 두드리는 것이 아랫다리의 반사 발차기를 유발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턱의 반사 폐쇄를 유도합니다.치아와 턱에서 들어오는 다른 섬유들은 V의 주핵으로 갑니다.이 정보는 시상 양쪽에 투사되어 의식적인 지각에 사용할 수 있다.

물기, 씹기, 삼키기와 같은 활동은 몸의 양쪽에서 대칭적이고 동시에 조화를 이루어야 합니다.그것들은 거의 의식적인 주의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자동적인 활동이며, 간뇌핵의 무의식 수준에서 처리된 감각 구성요소(촉각 위치에 대한 피드백)를 포함한다.

시상 및 피질로 가는 경로

감각은 접촉 위치 및 통증 온도 정보에 대한 의식적인 인식으로 정의되었습니다.후각을 제외하고, 모든 감각 입력은 시상과 그 다음에 피질로 보내집니다.시상골은 해부학적으로 핵으로 세분된다.

터치 위치 감각

Diagram of functions controlled by the cerebral cortex
피질 호문쿨루스

신체로부터의 접촉 위치 정보는 시상 복측 후측핵(VPL)으로 보내진다.얼굴로부터의 접촉 위치 정보는 시상 복부 후두핵(VPM)으로 보내진다.VPL 및 VPM에서 정보는 두정엽1차 체질감각피질(SI)에 투영된다.

중추회 후 감각정보의 표현은 체질적으로 정리되어 있다.신체의 인접 영역은 피질의 인접 영역으로 나타납니다.신체 부위가 신경의 밀도에 비례하여 그려질 때, 그 결과는 "작은 남자" 즉, 피질 호문쿨루스입니다.

많은 교과서는 실제로 볼록부에 [6]표현되었을 때 피질의 중간 표면에 발가락과 생식기가 있는 구식 펜필드-라스무센 도표를 재현했다.고전 다이어그램은 여러 개의 기본 지도가 있을 때 신체의 단일 기본 감각 지도를 암시합니다.적어도 4개의 분리된, 해부학적으로 구별되는 감각 호문쿨리가 중앙회 후부에서 확인되었다.그것들은 표면 수용체와 심층 수용체로부터의 입력 조합을 나타내며, 빠르고 천천히 주변 수용체를 적응시킨다. 매끄러운 물체는 특정 세포를 활성화시키고 거친 물체는 다른 세포를 활성화시킨다.

SI에 있는 네 개의 지도의 모든 정보는 두정엽의 2차 감각 피질(SII)로 보내집니다.SII에는 두 개의 감각 호문쿨리가 더 있다.신체 한쪽의 정보는 SI에서는 일반적으로 반대쪽에 표시되지만 SII에서는 양쪽 모두에 표시됩니다.정의된 자극의 기능적 MRI 영상(예: 칫솔로 피부를 쓰다듬는 것)은 SI에서 단일 초점, SII에서 두 개의 포시를 "조명"합니다.

통증-온도 감각

통증 온도 정보는 시상의 VPL(신체) 및 VPM(얼굴)에 송신된다(터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핵과 동일).시상에서 통증 온도 및 접촉 위치 정보를 SI에 투영한다.

그러나 접촉 위치 정보와는 달리 통증 온도 정보는 다른 시상핵으로 전송되어 대뇌 피질의 추가 영역에 투영됩니다.일부 통증-온도 섬유는 앞쪽 대상 피질에 돌출된 안쪽시상핵으로 보내집니다.다른 섬유들은 시상의 복측핵으로 보내지며, 이것은 섬피질에 돌출된다.마지막으로 일부 섬유는 망상형성을 통해 시상내핵(IL)으로 보내진다.IL은 대뇌피질의 모든 부분에 확산되어 있습니다.

섬피질과 대상피질은 기억과 감정상태의 맥락에서 다른 동시 인식의 맥락에서 접촉 위치와 통증 온도를 나타내는 뇌의 부분이다.말초 통증 온도 정보는 사전 처리 없이 깊은 수준에서 뇌에 직접 전달됩니다.터치 위치 정보는 다르게 처리됩니다.IL과 다른 시상핵으로부터의 확산 시상돌기는 시상과 망상 형성이 뇌를 "활성화"하면서 주어진 의식 수준에 책임이 있다. 말초 통증-온도 정보도 이 시스템으로 직접 공급된다.

임상 의의

발렌베리 증후군

월렌버그 증후군(측수 증후군)은 삼차 신경의 구조를 임상적으로 증명하여 감각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을 요약한 것입니다.뇌졸중은 보통 신체의 한 쪽에만 영향을 미칩니다; 뇌졸중에 의한 감각 상실은 몸의 오른쪽이나 왼쪽으로 치우치게 됩니다.이 규칙에 대한 유일한 예외는 특정 척추-척수-척수 병변과 수질 증후군입니다. 그 중 월렌버그 증후군이 가장 잘 알려진 예입니다.이 증후군은 뇌졸중이 얼굴 한쪽과 몸의 다른 한쪽에서 통증 온도의 감각을 잃게 한다.

이것은 뇌간의 해부학적 구조에 의해 설명된다.수질은 상행척수관(신체 반대편에서 통증온도 정보를 전달함)이 삼차신경의 상행척수관(얼굴의 같은 쪽에서 통증온도 정보를 전달함)에 인접해 있다.이 부위로의 혈액 공급을 차단하는 뇌졸중(예를 들어 후방 하소뇌 동맥의 응고)은 두 개의 관을 동시에 파괴합니다.그 결과 체커보드 패턴(양쪽 얼굴, 반대쪽 몸)에서 통증 온도의 감각(터치 위치는 아님)이 없어져 진단을 용이하게 한다.

기타 이미지

Anatomical diagram of the upper jaw
Nerves of the jaw
Nerves to separate upper and lower jaws
삼차 신경의 분포 방식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아메리칸 헤리티지 딕셔너리, 1969.
  2. ^ Pazhaniappan N (15 August 2020). "The Trigeminal Nerve (CN V)". TeachMeAnatomy. Retrieved 5 April 2021.
  3. ^ Kontzialis M, Kocak M (2017). "Imaging evaluation of trigeminal neuralgia". Journal of Istanbul University Faculty of Dentistry. 51 (3 Suppl 1): S62–S68. doi:10.17096/jiufd.27242. PMC 5750829. PMID 29354310.
  4. ^ 커닝엄의 해부학 교과서에서 발췌한 것
  5. ^ Lübbert M, Kyereme J, Schöbel N, Beltrán L, Wetzel CH, Hatt H (October 21, 2013).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channels encode volatile chemicals sensed by rat trigeminal ganglion neurons". PLOS ONE. 8 (10): e77998. Bibcode:2013PLoSO...877998L. doi:10.1371/journal.pone.0077998. PMC 3804614. PMID 24205061.
  6. ^ Kell CA, von Kriegstein K, Rösler A, Kleinschmidt A, Laufs H (June 2005). "The sensory cortical representation of the human penis: revisiting somatotopy in the male homunculus". The Journal of Neuroscience. 25 (25): 5984–5987. doi:10.1523/JNEUROSCI.0712-05.2005. PMC 6724806. PMID 15976087.

원천

  • Blumenfeld H (2002). Neuroanatomy Through Clinical Cases. Sinauer Associates.
  • Brodal A (1981). Neurological Anatomy in Relation to Clinical Medicine (3rd ed.). Oxford University Press.
  • Brodal P (2004). The Central Nervous System. Oxford University Press.
  • Carpenter MB, Sutin J (1983). Human Neuroanatomy (8th ed.). Williams and Wilkins.
  • DeJong RN (1970). The Neurologic Examination (3rd ed.). Hoeber.
  • Kandel ER, Schwartz JH, Jessell TM (2000). Principles of Neural Science (4th ed.). McGraw-Hill.
  • Martin JH (2003). Neuroanatomy Text and Atlas (3rd ed.). McGraw-Hill.
  • Patten J (1996). Neurological Differential Diagnosis (2nd ed.). Springer.
  • Ropper AH, Brown RH (2001). Adam's and Victor's Principles of Neurology (8th ed.). McGraw-Hill.
  • Wilson-Pauwels L, Akesson EJ, Stewart PA (1998). Cranial Nerves: Anatomy and Clinical Comments. B. C. Decker.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