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로핌 리센코

Trofim Lysenko
트로핌 리센코
Трофим Лысенко
Trofim Lysenko portrait.jpg
1938년 리센코
태어난
트로핌 데니소비치 리센코

(1898-09-29) 1898년 9월 29일
러시아 제국, 폴타바 주(현 우크라이나 폴타바 주, 칼리브카)
죽은1976년 11월 20일(1976-11-20)(78세)
시민권소비에트 연방
모교키예프 농업 연구소
로 알려져 있다
과학 경력
필드
기관소비에트 과학 아카데미

Trofim Denisovich Lysenko (Russian: Трофим Денисович Лысенко, IPA: [trɐˈfʲim dʲɪˈnʲisəvʲɪtɕ lɨˈsɛnkə];우크라이나어: тохх ukrainian ukrainian ukrainian ukrainian ukrainian ukrainian ukrainian ukrainian ukrainian ukrainian ukrainian ukrainian ukrainianizedizedizedizedizedizedizedizedizedizedizedized, 로마자 표기: Trokhym Denysovych Lysenko, IPA: [troˈxɪm deˈnɪtʃlɪsɛnko], 1898년 9월 29일 ~ 1976년 11월 20일)는 소련의 농업학자이자 생물학자이다.그는 라마르크주의의 강력한 지지자였고, 후에 [1][2]리센코이즘이라고 불리는 자신만의 특이적이고, 의사 과학 사상을 지지하기 위해 멘델의 유전학을 거부했습니다.

1940년, 리센코는 소련의 과학 아카데미 내 유전학 연구소의 소장이 되었고, 그는 그의 정치적 영향력과 권력을 반대 의견을 억압하고, 그의 비판자들을 비난하고, 소외시키고, 감금하기 위해 사용했고, 그의 반 멘델주의 이론을 국가 법으로 [3]발전시켰다.

유전학을 포기하기를 거부한 소련 과학자들은 그들의 자리에서 해임되고 궁핍한 상태로 남겨졌다.수백, 아니 수천명의 다른 사람들이 투옥되었다.식물학자 니콜라이 바빌로프[4]포함한 몇몇은 국가의 적으로 사형선고를 받았다.리센코의 사상과 실천은 수백만 명의 소련 [4]사람들을 죽인 기근에 기여했다; 1958년부터 중화인민공화국에서 그의 방법을 채택한 것도 비슷하게 비극적인 결과를 낳았고, 1959년부터 [4]1962년까지의 대 중국 기근으로 절정에 달했다.

인생과 경력

트로핌 [5]리센코는 1898년 9월 29일 폴타바 주(현재의 우크라이나 폴타바 주)의 칼리브카에서 우크라이나 민족인 농민 가정에서 태어났다.

키예프 농업 연구소(현재의 우크라이나 국립 생명 환경 과학 대학)에서 일하는 청년으로서, 리센코는 농업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그곳에서 식물의 수명 주기에 대한 온도 변화의 영향을 포함하는 몇 가지 다른 프로젝트를 수행했습니다.이것은 나중에 그가 겨울 밀을 봄밀로 바꾸기 위해 이 작업을 어떻게 사용할지 고민하게 만들었다.그는 이 과정을 러시아어로 "jarovization"이라고 이름 붙였고, 나중에는 "vernalization"[6]이라고 번역했다.

겨울 밀이 봄밀로 바뀐 것은 새로운 발견이 아니었다.과학 실험은 니콜라이 [7]바빌로프에 의해 이루어졌다.처음에 리센코를 지지하고 그의 일을 격려한 사람은 바빌로프였다.리센코는 혹독한 겨울 동안 다양한 농작물을 재배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하지만 그가 성공을 발표했을 때, 그는 비료나 광물을 사용하지 않고 밭에 비료를 주는 방법을 발견했고, 아제르바이잔에서 겨울 완두콩 작물을 재배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는 주장으로 소련 신문 프라브다에서 찬사를 받았다.가난한 식량에서 벗어나면 농민 투르크는 [8]내일을 위해 떨지 않고 겨울을 날 것이다.

리센코는 1935년 크렘린에서 연설했다.그의 뒤에는 스타니슬라브 코시어, 아나스타스 미코얀, 안드레이 안드레예프, 조셉 스탈린이 있다.

리센코는 다른 계절에 자라는 것을 바꾸기 위해 다른 밀 작물들과 함께 일했다.리센코가 관심을 보인 또 다른 분야는 식물의 성장에 대한 열의 영향이었다.그는 모든 식물이 평생 일정한 양의 열을 필요로 한다고 믿었다.그는 특정 발전소가 다양한 발전 단계를 거치는 데 필요한 열과 시간을 연관시키려고 시도했다.데이터를 얻기 위해 그는 성장의 양, 며칠이 지났는지, 그리고 그 날의 온도를 조사했습니다.그는 그 효과를 판단하려고 시도하면서 약간의 통계적 추론 오류를 [citation needed]범했다.이것은 그의 대부분의 작품과 그의 주요 "발견"에서 볼 수 있는 일반적인 경향이다.그는 화력발전소 개발 전문가인 막시모프와 대면했다.리센코는 이것이나 어떤 비판도 받아들이지 않았다.이 만남 이후, 리센코는 [8]대담하게 생물학에서 수학은 설 자리가 없다고 주장했다.

농작물 수확량 향상에 대한 그의 실험적인 연구는 특히 1930년대 초반 소련의 몇몇 지역에서 농작물 흉작과 강제적인 집단화로 인한 기근과 생산성 상실에 이어 소련 지도자 조셉 스탈린의 지지를 얻었다.

봄화

1927년, 29세의 나이에 아제르바이잔의 농업 실험장에서 일하면서, 리센코는 1928년 봄철화에 대한 그의 논문으로 이어질 연구에 착수했는데, 그것은 소련 농업에 대한 잠재적인 실질적인 영향 때문에 많은 관심을 끌었다.혹한과 겨울눈 부족으로 많은 초겨울밀 묘목이 파괴되었다.리센코는 추울 뿐만 아니라 습기로 밀 씨앗을 처리함으로써 봄에 심을 때 수확하도록 유도했다.리센코는 겨울 곡물의 씨앗이 봄 곡물처럼 행동하도록 하기 위해 이 차가운 과정을 묘사하기 위해 "자로브화"라는 용어를 만들었다.하지만, 이 방법은 이미 1800년대부터 농부들에 의해 알려졌고, 최근 Gustav Gassner에 의해 1918년에 상세하게 논의되었다.리센코 자신은 야로브화를 봄을 [9]뜻하는 라틴어 버넘에서 온 "버널라이제이션"으로 번역했다.수확량 증가에 대한 리센코의 주장은 몇 헥타르에 걸친 재배에 기초했고, 그는 봄식물의 변형이 유전될 수 있다고 믿었고, 봄식물의 자손들은 그 이전 세대의 능력을 가질 수 있을 것이라고 믿었습니다 – 그것 역시 혹독한 겨울이나 불완전한 날씨를 견딜 수 있을 것입니다.조건[10]

리센코의 이론

리센코는 몸의 모든 부분이 생식선으로 이동해 자손으로 옮겨지는 작은 보석들을 배출한다는 다윈의 판게네시스 이론과 유사한 유전의 영향을 제안했다.보석 노새는 자손들이 성숙함에 따라 연관된 신체 부위로 발달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11]이론은 라마르크주의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유기체가 살아 있는 동안 신체에 변화가 유전될 것이라는 것을 암시했다.

리센코는 멘델의 유전 유전 이론을 거부하고 자신의 논리를 지지했다.그는 그레고르 멘델의 이론이 너무 반동적이거나 이상주의적이라고 믿었다.리센코의 생각은 러시아 농업학자 이반 미추린과 다른 소련 [12]과학자들의 아이디어와 혼합되어 있었다.이 혼합된 생각들을 통해, 리센코는 "미추린주의" [12]학파를 설립했습니다.핵심적인 생각은 신체세포가 유기체의 자손의 질을 결정한다는 것이다; 비록 리센코가 그러한 [13]연관성을 부인했지만 다윈의 판게네시스 이론의 방식으로 신체의 모든 부분이 생식세포에 기여한다.

이러한 생각들은 멘델 유전학, 라마르크주의 또는 다윈주의 같은 확립된 생물학 이론에서 직접적으로 파생되지 않았다.그는 작물을 번식시키고 개량하는 단순한 실용적인 목적을 뒷받침하기 위해 그의 유전자 개념을 형성했다.그의 생각은 또한 그의 동료 유전학자들이 주장하는 다른 주장을 반박하기 위해 만들어졌다.그의 생각과 유전적 주장은 나중에 "리센코주의"로 불리기 시작했다.그는 자신의 사상이 라마르크주의와 관련이 없다고 주장했지만, 후천적 [13]특성의 유전에 대한 믿음과 같은 두 사상 사이에는 유사점이 있다.리센코의 아이디어 중 일부는 활력적으로 보일 수도 있다.그는 식물은 자기희생적이라고 주장했다. 즉, 햇빛이나 수분이 부족해서 죽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동물이 살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그리고 그들이 죽으면 새로운 세대의 생존을 돕기 위해 자라나는 뿌리 위에 몸을 맡긴다.

몇몇 근거 없는 리센코주의 주장들 중 하나는 식물 교배이다.이 메커니즘은 과수를 [13]접붙일 때 라마르크의 관찰되지 않은 후손의 재고 효과를 암시합니다.

리센코는 잡종 작물의 한 세대에서 원하는 개체는 선택되고, 다시 짝지어지며, 미래의 품종에서 분리/격리에 대해 걱정하지 않고 계속해서 원하는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고 믿었다.그것이 효과가 있기 위해서, 그는 생존하기 위한 최고의 특징들을 개발해 온 후, 다음 [8]세대에 전해진다고 가정해야만 했다.그 가정은 변동이나 돌연변이의 가능성을 무시했다.

리센코는 유전자를 믿지 않았고 유전자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하기 위해 유전자에 대해 이야기했다.대신 그는 일단 살아 있는 모든 신체는 유전된다고 믿었다.그것은 몸 전체가 그 유기체의 유전 정보를 전달할 수 있고, DNA나 [8]유전자와 같은 특별한 요소에 전적으로 의존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했다.그것은 유전과 유전의 확립된 개념에 위배되기 때문에 그 당시 생물학자들을 곤혹스럽게 했다.그것은 또한 대부분의 생물학자들이 그들의 생각의 기초를 [14]위해 사용해왔던 멘델의 원리들과 모순된다.대부분의 과학자들은 리센코의 생각이 유전의 메커니즘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했기 때문에 믿을 수 없다고 믿었다.생물학자들은 이제 그의 믿음이 유전학과는 [8]거의 관련이 없는 사이비 과학적이라고 생각한다.

리센코는 경쟁뿐만 아니라 한 종 안에 있는 개체들 간의 상호 원조도 존재하며, 서로 다른 종 사이에 상호 원조도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리센코에 따르면

생물과 생명에 필요한 조건은 분리할 수 없는 통합이다.생물마다 발달을 위한 환경조건이 다르다.이러한 요건을 연구함으로써 우리는 유기체의 성질의 질적 특징, 즉 유전의 질적 특징을 알게 된다.유전은 생명체의 생명과 발달을 위해 일정한 조건을 요구하고 다양한 조건에 [15]대해 일정한 방식으로 반응하는 생물체의 특성이다.

리센코의 또 다른 이론은 젖소로부터 더 많은 우유를 얻는 것은 그들의 유전자가 아니라 그들이 어떻게 대우받는지에 달려있다는 것이었다.리센코와 그의 추종자들은 가축을 [16]잘 돌보는 것으로 유명했다.리센코는 뻐꾸기와 같은 어린 새들이 부모(숙주가 아닌) 새들로부터 털북숭이 애벌레를 먹였을 때 태어났다고 주장했지만, 이 주장은 그가 묘사한 뻐꾸기가 [17]낳는 기생충이라는 것을 인식하지 못했다.리센코파 사람들은 수정이 무작위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최고의 짝을 선택하는 특별한 방법이 있다고 믿었다.이런 이유로 리센코주의는 사이비 과학적으로 보일 수 있다.

제2차 세계대전 후, 리센코는 노른자와 비세포 물질로 세포를 만들 수 있다고 주장한 나이 든 장석가이자 생물학자인 올가 레페신스카야의 연구에 관심을 가졌다.레페신스카야는 그녀의 생각과 리센코의 생각 사이의 공통점을 인정했다.그들의 두 가지 생각을 결합함으로써, 세포가 비세포 물질로부터 자랄 수 있고 멘델 유전학과 감수 분열의 예측된 비율이 부정확하다는 것을 선언할 수 있었고,[8] 따라서 유전학뿐만 아니라 현대 세포학의 기초를 약화시켰다.

리센코주의의 결과

리센코는 농부들에게 씨앗을 매우 가까이 심도록 강요했다. 왜냐하면 그의 "종족생활의 법칙"에 따르면, 같은 "계급"의 식물들은 결코 [4]서로 경쟁하지 않기 때문이다.리센코는 수백만 명의 소련 사람들을 죽인 기근에 적극적인 역할을 했고 그의 [4]관행은 식량 부족을 연장시키고 악화시켰다.마오쩌둥 치하의 중화인민공화국은 1958년부터 그의 방법을 채택하여 비참한 결과를 초래했고, 1959년부터 1962년까지 약 1500만~5500만 명의 사람들이 [note 1][4]사망한 중국 대공황으로 절정에 이르렀다.

소련 밖에서는 과학자들이 비판적으로 말했다.영국의 생물학자인 S. C. 할란드는 리센코가 "유전학과 식물 생리의 기본 원리를 완전히 모른다"고 한탄했다(Bertram Wolfe, 2017).서양의 "부르주아" 과학자들을 혐오하고 그들을 제국주의 압제자들의 도구라고 비난한 리센코에게는 외국인들의 비난이 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그는 특히 현대 유전학의 핵심인 초파리를 연구하는 미국 태생의 관행을 혐오했다.그는 그러한 유전학자들을 "파리 애호가들과 사람들 증오자들"[26]이라고 불렀다.

유전학을 포기하기를 거부한 과학자들은 자신들이 NKVD에 의해 좌우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운이 좋은 사람들은 간단히 직위해제되고 궁핍하게 남겨졌다.수백 명 혹은 수천 명의 다른 사람들이 체포되어 감옥이나 정신 병원에 버려졌다.몇몇 사람들은 국가의 적으로 사형을 선고받거나 그들의 감방에서 굶주렸다.[4]1930년대 이전에 소련은 거의 틀림없이 최고의 유전학 공동체를 가지고 있었다.대서양의 작가 에 따르면, "리센코는 그것을 제거했고, 어떤 설명에 따르면, 러시아 생물학과 농업학[4]반세기 전으로 되돌렸다."과학자 피터 글럭먼[27]따르면, 리센코의 연구는 결국 일부 사람들에 의해 "그러나 그가 많은 사람들의 삶을 파괴하고 러시아 생물학의 평판을 파괴하기 전에는" 사기 행위로 인식되었다.

정치

20세기 초중반 동안 소련은 전쟁과 혁명을 겪었다.정치적 억압은 국가 내 긴장을 야기시켰지만 또한 과학의 번영을 촉진시켰다: 이것은 자원의 흐름과 결과에 대한 요구 때문에 가능했다.리센코는 밀과 완두콩과 같은 다양한 식물들을 그들의 생산, 품질, 양을 늘리기 위해 조작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고, 그는 농부들이 [28]농사로 돌아가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데 성공함으로써 정치 관리들에게 깊은 인상을 주었다.

소련의 집단주의 개혁은 농민들로부터 농경지를 몰수하고 국가의 식량 생산 전체에 큰 피해를 입혔으며, 쫓겨난 농민들은 정권에 새로운 문제를 제기하였다.많은 사람들이 농장을 완전히 포기했다; 더 많은 사람들이 열악한 노동 품질과 도둑질을 통해 집단화에 저항했다.이탈하고 환멸을 느낀 농민들은 소련 [29]지도부의 주요 정치적 관심사였다.리센코는 급진적이지만 입증되지 않은 농업 방법을 옹호함으로써 이 기간 동안 두드러지게 되었고, 또한 새로운 방법이 일년 내내 농업에서 일할 수 있는 더 넓은 기회를 제공한다고 약속했습니다.그는 소작농들이 다시 일하도록 함으로써 소련 지도부에 매우 유용함을 증명했고, 소련 혁명 [28]실험의 전반적인 성공에서 그들로부터 개인적 지분을 확보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소비에트 연방의 유전학과 과학 연표

리센코가 농부들이 그들의 땅으로 돌아가도록 장려하는 데 성공하자 스탈린은 깊은 인상을 받았고, 스탈린은 프롤레타리아와 함께 서겠다고 주장하면서 리센코의 농민 배경을 인정했습니다.1920년대 후반, 소련의 지도자들은 리센코에게 지지를 보냈다.이러한 지원은 부분적으로 프롤레타리아 당원을 농업, 과학 및 산업의 지도자로 신속하게 승진시키기 위해 공산당이 시행한 정책의 결과였다.당 관계자들은 리센코와 비슷한 배경을 가진 유망한 후보들을 찾고 있었다. 즉, 농민 집안에서 태어나 공식적인 학문적 훈련이나 [30]학계와의 제휴가 없는 것이다.스탈린과 리센코 사이의 긴밀한 협력관계로 리센코는 20세기 초중반 소련의 유전학에 영향을 끼쳤다.리센코는 결국 1940년에 과학 아카데미를 위한 유전학 소장이 되었고,[3] 이것은 그에게 유전학에 대한 더 많은 통제권을 주었다.그는 스탈린과 니키타 흐루시체프 집권 기간 동안 1965년 직위해제될 때까지 20년 이상 그 자리를 지켰다.

스탈린 이후

리센코는 1965년까지 유전학 연구소의 직책을 유지했지만 [31]1953년 스탈린이 사망한 이후 소련의 농업에 미치는 영향은 줄어들었다.리센코는 새 지도자인 니키타 흐루쇼프의 지지를 받으며 그의 자리를 지켰다.그러나 주류 과학자들은 다시 등장하여 1920년대 후반 이후 처음으로 리센코에 대한 비판을 용인하려는 소련 정부의 새로운 의지를 발견했다.1962년, 가장 저명한 소련 물리학자 야코프 젤도비치, 비탈리 긴츠부르크, 표트르 카피차 세 명이 리센코의 업적을 사이비 과학이라고 선언하며 리센코에 대한 소송을 제기했다.그들은 또한 리센코가 반대 세력을 잠재우고 과학계에서 그의 반대 세력을 제거하기 위해 정치 권력을 행사하고 있다고 비난했다.이러한 비난은 스탈린 치하에서 수십 년 동안 소련 과학 공동체의 업무를 통제해 온 엄격한 이념적, 정치적 책략에서 주요 기관들이 제거된 소련 정부의 구조적 격변기에 일어났다.

1964년 물리학자 안드레이 사하로프는 소련 과학아카데미 총회에서 리센코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소련의 생물학과 특히 유전학의 부끄러운 후진성에 대한 책임이 있으며, 사이비 과학관의 전파, 모험주의, 학문의 타락, 그리고 많은 진정한 [32]과학자들의 명예훼손, 해고, 체포, 심지어 죽음에 대한 책임이 있다.

소련 언론은 곧 반(反) 리센코이트 기사로 가득 차 생물학과 농업과학의 모든 분야에 과학적 방법을 복원해 줄 것을 호소했다.1965년,[33][34] 리센코는 과학 아카데미의 유전학 연구소장직에서 해임되었고 모스크바의 레닌 힐스에 있는 실험 농장으로 제한되었다.1964년 흐루쇼프가 해임된 후, 과학 아카데미의 회장은 리센코의 비판 면책특권이 공식적으로 종료되었다고 선언했다.리센코의 실험 농장에 보관된 기록을 조사하기 위해 전문가 위원회가 파견되었다.그의 비밀스러운 방법과 아이디어가 드러났다.몇 달 후,[35] 리센코에 대한 파괴적인 비판이 공개되었다.결과적으로, 리센코는 소련에서 [36]즉시 망신을 당했다.

생물학과 농학대한 리센코의 독점이 끝난 후, 러시아에서 이러한 과학이 회복되는 데는 많은 시간이 걸렸다.리센코는 1976년 모스크바에서 사망했고, 소련[38] 정부는 리센코의 사망 소식을 이틀 동안 발표하기를 거부했고 이즈베스티야에서 [39]그의 사망 소식을 알렸을 뿐이지만, 결국 쿤체보 [37]묘지에 안장되었다.

영예와 상

작동하다

  • 유전과 그 가변성(1945)
  • 오늘날의 생물 과학 (1948년)

「 」를 참조해 주세요.

메모들

  1. ^ 여러 [18][19][20][21][22][23][24][25]소식통에 의하면

레퍼런스

  1. ^ Sterling, Bruce (June 2004). "Suicide by pseudoscience". Wired. Vol. 12, no. 6.
  2. ^ Gordin, Michael D. (2012). "How Lysenkoism became pseudoscience: Dobzhansky to Velikovsky". Journal of the History of Biology. 45 (3): 443–68. doi:10.1007/s10739-011-9287-3. PMID 21698424. S2CID 7541203.
  3. ^ a b Graham, Loren (1933). Science in Russia and the Soviet Union. Press Syndicate of the University of Cambridge. pp. 101–132. ISBN 0-521-24566-4.
  4. ^ a b c d e f g h "The Soviet Era's Deadliest Scientist Is Regaining Popularity in Russia". The Atlantic. 19 December 2017.
  5. ^ "Герои страны".
  6. ^ Graham, Lo-ren R. (2006). Moscow Stories. Bloomington, Indiana: Indiana University Press. pp. 120–25, 290. ISBN 978-0-25-30007-43.
  7. ^ Li, X.; Liu, Y. (2010). "The conversion of spring wheat into winter wheat and vice versa: False claim or Lamarckian inheritance?". Journal of Biosciences. 35 (2): 321–325. doi:10.1007/s12038-010-0035-1. PMID 20689187. S2CID 10527354.
  8. ^ a b c d e f 1986년 조랍스키
  9. ^ Chouard, P. (1960). "Vernalization and its relations to dormancy". Annual Review of Plant Physiology. 11 (1): 191–238. doi:10.1146/annurev.pp.11.060160.001203.
  10. ^ Amasino, R. (2004). "Vernalization, competence, and the epigenetic memory of winter". The Plant Cell. 16 (10): 2553–2559. doi:10.1105/tpc.104.161070. PMC 520954. PMID 15466409.
  11. ^ Holterhoff, Kate (2014). "The History and Reception of Charles Darwin's Hypothesis of Pangenesis". Journal of the History of Biology. 47 (4): 661–695. doi:10.1007/s10739-014-9377-0. PMID 24570302. S2CID 207150548.
  12. ^ a b Liu, Yongsheng (2004). "Lysenko's contributions to biology and his tragedies". Theoretical Biology Forum. 97 (3): 483–498. ISSN 0035-6050. PMID 15754596.
  13. ^ a b c Leone, Charles A. (1952). "Genetics: Lysenko versus Mendel". Transactions of the Kansas Academy of Science. 55 (4): 369–380. doi:10.2307/3625986. ISSN 0022-8443. JSTOR 3625986.
  14. ^ Graham, Loren(1998).러시아 경험으로 과학과 기술에 대해 무엇을 배웠습니까? Palo Alto: 스탠포드 대학 출판부.
  15. ^ "Soviet Biology". marxists.org.
  16. ^ Graham, Loren (2006). Moscow Stories. Bloomington, Indiana: Indiana University Press. pp. 120–26. ISBN 0-253-34716-5.
  17. ^ 조랍스키 1986, 페이지 398
  18. ^ Smil, Vaclav (18 December 1999). "China's great famine: 40 years later". BMJ : British Medical Journal. 319 (7225): 1619–1621. doi:10.1136/bmj.319.7225.1619. ISSN 0959-8138. PMC 1127087. PMID 10600969.
  19. ^ Gráda, Cormac Ó (2007). "Making Famine History". Journal of Economic Literature. 45 (1): 5–38. doi:10.1257/jel.45.1.5. hdl:10197/492. ISSN 0022-0515. JSTOR 27646746. S2CID 54763671.
  20. ^ MENG, XIN; QIAN, NANCY; YARED, PIERRE (2015). "The Institutional Causes of China's Great Famine, 1959–1961" (PDF). Review of Economic Studies. 82 (4): 1568–1611. doi:10.1093/restud/rdv016.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5 March 2020. Retrieved 22 April 2020.
  21. ^ Hasell, Joe; Roser, Max (10 October 2013). "Famines". Our World in Dat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April 2020. Retrieved 22 April 2020.
  22. ^ Dikötter, Frank. "Mao's Great Famine: Ways of Living, Ways of Dying" (PDF). Dartmouth Universi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6 July 2020. Retrieved 23 November 2021.
  23. ^ Branigan, Tania (1 January 2013). "China's Great Famine: the true story". The Guardian. ISSN 0261-307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January 2016. Retrieved 22 April 2020.
  24. ^ "China's Great Famine: A mission to expose the truth". Al Jazeer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April 2020. Retrieved 22 April 2020.
  25. ^ Huang, Zheping. "Charted: China's Great Famine, according to Yang Jisheng, a journalist who lived through it". Quartz.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May 2020. Retrieved 22 April 2020.
  26. ^ Harman, Oren Solomon (2003). "C. D. Darlington and the British and American Reaction to Lysenko and the Soviet Conception of Science". Journal of the History of Biology. 36 (2 (Summer 2003)): 309–352. doi:10.1023/A:1024483131660. JSTOR 4331804. PMID 12945539. S2CID 32789492.
  27. ^ Gluckman, Peter (2009). Principles of Evolutionary Medicine. Oxford University Press. p. 81. ISBN 978-0199236398.
  28. ^ a b Graham, Loren R. (1972). Science and Philosophy in the Soviet Union. Knopf. p. 208.
  29. ^ Fitzpatrick, Sheila (1994). Stalin's Peasants: Resistance and Survival in the Russian Village after Collectiviz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pp. 4–5.
  30. ^ Krementsov, Nikolai (1997). Stalinist Scien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31. ^ "Lysenko, Trofim Denisovich".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16 August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July 2012. Retrieved 26 January 2014.
  32. ^ 노먼 L., 칭니리, 위안젠리(2003) 안드레이 사하로프 전기, 반대 시기.Seebak 웹사이트 공모전
  33. ^ Cohen, B. M. (1965). "The descent of Lysenko". The Journal of Heredity. 56 (5): 229–233. doi:10.1093/oxfordjournals.jhered.a107425.
  34. ^ Cohen, B.M. (1977). "The demise of Lysenko". The Journal of Heredity. 68 (1): 57. doi:10.1093/oxfordjournals.jhered.a10877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April 2011.
  35. ^ 조랍스키 1986, 페이지 184
  36. ^ "Trofim Denisovich Lysenko Facts". yourdictionary.com. LoveToKnow Corp. Retrieved 20 April 2014.
  37. ^ Krementsov, Nikolai; Dejong-Lambert, William (2017). ""Lysenkoism" Redux: Introduction". The Lysenko Controversy as a Global Phenomenon. Palgrave Studies in the History of Science and Technology. Springer. pp. 1–34. doi:10.1007/978-3-319-39176-2_1. ISBN 9783319391762.
  38. ^ "러시아 생물학자 78세에 사망", "오비튜어리스", 비버 카운티 타임스, 1976년 11월 24일, p.A4
  39. ^ '소비에트 생물학자 리센코, 무명으로 사망'; 피츠버그 포스트 가제트; 1976년 11월 24일, 페이지 8
  40. ^ кк 、 ,с 、 сд 、 юд 、 дд 、 дд 、 ддесссссссссссссссссссссссссс.1996년, делл 1996 1996 1996 1996 1996 1996 1996 1996 1996 1996 1996 1996 1996 1996 1996 1996 1996 1996 1996 1996 1996.

추가 정보

  • Wang, Zhengrong; Liu, Yongsheng (2017). "Lysenko and Russian genetics: an alternative view". European Journal of Human Genetics. 25 (10): 1097–1098. doi:10.1038/ejhg.2017.117. ISSN 1476-5438. PMC 5602018. PMID 28905876.
  • 윌리엄 드 종 램버트.유전자 연구의 냉전 정치학 (스프링거 사이언스+비즈니스 미디어 B.V. 2012)
  • 그레이엄, 로렌리센코의 유령: 후생유전학과 러시아 (캠브리지:Harvard University Press, 2016).온라인 리뷰
  • Graham, Loren, 러시아와 소련의 과학(뉴욕: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 Graham, Loren, What Have We Learned About Science and Technology at the Russian Experience? (Palo Alto: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8).
  • Joravsky, David (1986) [1970]. The Lysenko Affair.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Lecourt, Dominique, Proletarian Science ? : Lysenco의 경우, (런던: NLB; 애틀랜틱 하이랜드, 뉴저지: Humanities Press, 1977).(()스탈린주의자이지만 리센코주의 역사)
  • 리센코, 트로핌, 사이언스 오브 바이올로지 투데이 (뉴욕:(International Publishers, 1948).서문에 따르면 "취득된 특성의 상속 주제에 대한 국제적인 논의에 의해 야기된" 주소의 텍스트.V.I. 회의 전에 전달되었습니다. 1948년 7월 31일 레닌 농업과학 아카데미 회장 리센코가 권력의 정점에 섰을 때.[텍스트의 온라인 버전에 대해서는 아래의 외부 링크 섹션에 있는 Lysenko "Report"를 참조하십시오.]
  • 메드베데프, 조레스, T.D. 흥망성쇠 리센코, (뉴욕: 콜롬비아 대학 출판부, 1969년)
  • 소퍼, 발레리 N., 리센코와 소련 과학의 비극, 뉴브런즈윅:러트거스 대학 출판부, 1994.
  • 가드너, 마틴:'과학의 이름으로'(1957)(1952년 '과학의 이름으로'라는 제목으로 출판된 작품의 개정판 및 확장판).도버 출판사, 뉴욕12장(리센코주의)을 참조해 주세요.
  • 솜시치, 마크버널라이제이션의 짧은 역사(제노도(https://doi.org/10.5281/zenodo.3660691))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