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사레비치

Tsesarevich
세사레비치의 제국 표준.
코트 오브 암스

세사레비치[1](러시아어: церчччpa, IPA: [tsˈsʲˈrʲevʲttt]])러시아 제국에서 명백하거나 추정적인 후계자의 칭호였다. 그것은 주어진 이름과 후견인을 앞지르거나 대신했다.

사용법

흔히 '타레비치'와 혼동되는데, 이 말은 다른 뜻을 가진 구별되는 말이다. 차레비치는 러시아인이 아닌 통치자의 아들들을 포함한 차르의 모든 아들들의 칭호였다. 예를 들어 크림, 시베리아, 조지아 등.[2][3] 보통은 한 번에 단 한 명의 세사레비치(대공 콘스탄티누스 파블로비치는 법이 조카에게 주었음에도 죽을 때까지 호칭을 부여받은 예외)가 있었고, 그 호칭은 러시아에서만 사용되었다.

이 호칭은 '후계자 체세레비치·대공'에서와 같이 형식적인 「Successor」(러시아어: н:на, 로마자: Naslednik)과 함께 변함없이 쓰이게 되었다. 체사레비치의 부인은 체사레브나(러시아어: цераааа)이다.[4]

역사

1721년 베드로 대왕은 "차르"를 그의 주요 호칭으로 사용하지 않고 임페레이터(황제)의 호칭을 채택했는데, 여기서 차레비치의 호칭과 이반 5세의 딸들이 평생 간직하고 있는 "차레브나"는 데스튜데이드에 빠졌다.[2] 황제의 딸들은 이에 따라 "세사레브나"라고 불렸다(피터에게는 이때까지 살아 있는 아들이 없었다). 1762년, 황제의 왕위를 계승하자, 베드로 3세는 그의 외아들페트로비치(미래 캐서린 대왕)에게 티사레비치라는 소설 제목을 붙였는데, 그는 그것을 짊어질 로마노프 상속인 9명 중 첫 번째가 되었다.[2] 그러나, 그 칭호가 수여될 당시, 바울은 베드로의 법적 아들로 인정되었지만, 그의 법적 후계자로 인정되지는 않았다. 또한 그의 어머니가 왕위를 찬탈한 후 그가 공식적으로 그런 사람으로 인정받지는 않을 것이다.

자주 그는 국제적으로 "그랜드 듀크"(러시아어로 실제 의미는 "그랜드 듀크")라는 다른 호칭으로 언급되었는데, 이 호칭은 무스코비 대덕들이 차르라는 호칭을 채택하기 전 루리키드 시대의 홀드오버였다. 1796년 바울이 왕위에 오르자 즉시 아들 알렉산드르 파블로비치 세사레비치를 선포하였고, 1797년 왕위 계승자의 공식 직함(기본법 145조)으로 직함이 확정되었다.[2] 1799년 바울 1세는 둘째 아들 콘스탄티누스 파블로비치에게 세사레비치라는 칭호를 하사했는데, 이상하게도 1825년 동생 니콜라스 1세를 위해 왕위를 포기한 뒤에도 그 칭호를 유지했다.[2]

그 후, 각 황제의 장남은 1894년까지 그 칭호를 받았다. 그 때 니콜라스 2세는 그의 형인 조지 알렉산드로비치 대공에게 그 칭호를 부여했고, 그 호칭은 니콜라스의 출생과 함께 그의 아들이 태어났을 때 끝나는 것으로 되어 헤세의 앨릭스약혼했다. 1899년 조지가 죽었을 때 니콜라스의 외아들은 앞으로 5년 동안 태어나지 않을 것이지만 니콜라스는 살아남은 맏형 마이클 알렉산드로비치에게 그 칭호를 수여하지 않았다. 그 아들 알렉세이 니콜라에비치(1904~1918)는 러시아 제국의 마지막 세사레비치가 되었다.

러시아의 세사레비치

사진 이름 의 상속인 출생 왕위 계승자가 되다 창조된 세사레비치 세사레비치는 그만두었다. 죽음 체사레브나
Zar Pavel 1.gif 세사레비치 폴 페트로비치
나중의폴 1세
캐서린 2세 1754년 10월 1일 1762년 7월 9일 1762년 1월 7일 1796년 11월 17일
황제가 되다
1801년 3월 24일 헤세 다르슈타트의 빌헬미나 루이사

뷔르템베르크의 소피 도로테아

Jean-Louis Voille 004.jpg 세사레비치 알렉산더 파블로비치
나중의알렉산더 1세
폴 1세 1777년 12월 23일 1796년 11월 17일 1796년 11월 28일 1801년 3월 24일
황제가 되다
1825년 12월 1일 바덴의 루이즈
Constantine Pavlovich by P.E.Rockstuhl (c.1809, Hermitage).jpg 세사레비치 콘스탄티누스 파블로비치 알렉산더 1세 1779년 5월 8일 1801년 3월 24일 1799년 11월 8일 1831년 6월 27일 작센코부르크살펠트 주의 율리우스
Alexander II young.jpg 알렉산드르 니콜라에비치
나중의알렉산더 2세
니콜라스 1세 1818년 4월 29일 1825년 12월 1일 1831년 9월 10일 1855년 3월 2일
황제가 되다
1881년 3월 13일 헤세의 마리아와 라인
Цесаревич Николай Александрович.jpg 세사레비치 니콜라스 알렉산드로비치 알렉산더 2세 1843년 9월 20일 1855년 3월 2일 1865년 4월 24일
1865. Цесаревич Александр Александрович.jpg 세사레비치 알렉산드로비치
나중의알렉산더 3세
1845년 3월 10일 1865년 4월 24일 1881년 3월 13일
황제가 되다
1894년 11월 1일 덴마크의 다그마르
Nicholas1868.jpg 세사레비치 니콜라스 알렉산드로비치
나중의니콜라스 2세
알렉산더 3세 1868년 5월 18일 1881년 3월 13일 1894년 11월 1일
황제가 되다
1918년 7월 17일
George Alexandrovich by S.Levitskiy (1889).jpg 세사레비치 조지 알렉산드로비치 니콜라스 2세 1871년 5월 9일 1894년 11월 1일 1899년 7월 10일
Alexis.png 세사레비치 알렉세이 니콜라에비치 1904년 8월 12일 1917년 3월 15일
군주제 폐지
1918년 7월 17일

러시아의 체사레브나

후계자 세사레비치의 아내는 세사레브나(러시아어: еееааа) – 그랜드 공작부인이라는 칭호를 갖고 있었다. 러시아 제국의 첫 해에 러시아의 피터 1세의 여성 후계자가 이 타이틀을 차지했다 - 그의 딸 엘리자베스 (1709년생), 안나 페트로브나 (1708–1728), 나탈리아 페트로브나 (1718년–1725년). 차르의 모든 딸들을 위해 차레브나(18세기 이전에만 사용)와 혼동해서는 안 된다.

정교회 기독교로 개종하고 그에 따라 주어진 이름을 바꾼 서유럽 출신의 많은 공주들에게 후견인 표도로브나(Fyodorovna)가 주어지는 것은 그들의 아버지가 '테오토코스'라는 이름이 붙여졌기 때문이 아니라 성(聖)의 테오토코오스라는 이름에 바탕을 둔 우화로써였다. 로마노프 가문의 수호 아이콘 테오도르.[5]

사진 이름 아버지 출생 결혼 Tsesarevna가 되었다 중지된 티사레브나 죽음 배우자
Maria Alexandrovna by Winterhalter (1857, Hermitage).jpg 마리아 알렉산드로브나
헤세의 마리와 라인에서 태어났다.
루이 2세
(헤세 다르슈타트)
1824년 8월 8일 1841년 4월 28일 1855년 3월 2일
황후가 되다
1880년 6월 3일 알렉산드르 니콜라에비치
Dagmar colour.jpg 마리아 표도로브나
덴마크의 다그마르 태생
크리스티안 9세
(슐레스비히-홀슈타인-손더버그-글뤼크스부르크)
1847년 11월 26일 1866년 11월 9일 1881년 3월 13일
황후가 되다
1928년 10월 13일 세사레비치 알렉산드로비치

후일원제

1924년 러시아 망명 중 러시아 왕위를 주장한 후 러시아의 키릴 블라디미로비치 대공(Grand Duke Cyril Vladimirovich)은 그의 아들 블라디미르 키릴로비치(러시아)를 세사레비치(Tsesarvich)로 임명했다.[2] 1997년 이후 이 칭호는 블라디미르의 손자 조지 미하일로비치 로마노프에게 귀속되었는데, 그의 어머니인 마리아 블라디미로브나는 이 칭호를 블라디미르에게 왕위 계승자로서 그녀의 자격으로 주었다.[2] 그러나 왕조로 그를 지칭하는 사람들은 대개 그를 "대공"이라고 부른다.[citation needed]

제국이 끝날 때까지 러시아와 해외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구두와 글로 소버린을 계속 "타르"라고 불렀다. 아마도 그런 이유로 체사레비치라는 칭호는 "체사레비치"나 "대공"보다 명백한 후계자를 지칭하는 데 덜 자주 사용되었을 것이다.[citation needed]

참고 항목

참조

  1. ^ 때로는 체사레비치 또는 제왕절개로 번역되기도 한다.
  2. ^ a b c d e f g Macedonsky, Dimitry (June 2005). "Hail, Son of Caesar! A Titular History of Romanov Scions". European Royal History Journal. Arturo E. Beeche. 8.3 (XLV): 19–27.
  3. ^ Burke's Royal Families of the World II. Burke's Peerage Ltd. 1980. p. 65. ISBN 0-85011-029-7.
  4. ^ Chisholm, Hugh, ed. (1911). "Cesarevich" . Encyclopædia Britannica. 5 (11th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767.
  5. ^ "Елисавета Феодоровна". Православн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Retrieved 2010-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