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시마 해협

Tsushima Strait
쓰시마 해협 지도

쓰시마 해협(四島海일본해)[1][2] 대한해협(大韓海일본해)의 해협으로 동해, 황해, 동중국해 일본해 일본해를 연결하는 해협이다.

해협은 쓰시마 섬의 동쪽과 남동쪽으로 가는 통로이며, 동쪽과 북동쪽으로 혼슈 섬, 남쪽과 남동쪽으로 규슈 섬과 고토 섬이 있다.쓰시마 섬의 남쪽 끝인 시모노시마에서 남동쪽으로 가장 좁고, 혼슈 끝의 해협에 있는 근처의 이키 섬이 협착하고 있습니다.일본 내해 남쪽혼슈와 규슈 사이의 좁은 간몬 해협과 동부 해협이 뒤섞여 있어 세계에서 가장 붐비는 해상 항로를 형성하고 있다.

이 해협은 1905년 러일전쟁의 결정적 해전인 쓰시마 해전이 벌어졌던 곳으로 러시아 함대는 사실상 [3]파괴됐다.

지리

쓰시마 해협은 쓰시마섬을 따라 약 100km, 폭이 가장 좁은 곳은 약 65km이다.해협의 깊이는 약 140미터이며[4], 서쪽은 쓰시마 열도(고토 열도의 북쪽)와 접하고 있다.인근 이키 섬은 가미노시마(남섬) 남단에서 규슈 방향으로 약 50km 떨어진 해협에 있다.

구로시오 해류의 따뜻한 지류가 해협을 통과한다.일본 열도를 따라 시작되는 이 해류는 일본해를 거쳐 홋카이도 남쪽쓰가루 해협을 통해 북태평양으로 흐른다.또 다른 지류는 북쪽으로 멀리 떨어져 사할린 섬의 양쪽 해안을 따라 갈라지고, 결국 홋카이도 북쪽의 라페루스 해협을 거쳐 오호츠크 해흘러들어 블라디보스토크 근처의 사할린 섬 북쪽의 오호츠크 해로 흘러갑니다.

쿠로시오 해류는 동중국해의 풍부한 수산 자원을 동중국해k와 같은 일본 전갱이로 끌어들이고 있지만, 최근에는 거대한 노무라 해파리의 집단 집적이나 해류를 따라 각국의 폐기물 등 재해도 가져온다.

혼슈 서쪽 끝의 시모노세키와 부산(부산)을 오가는 상업 페리 운항이 있다.또 하나는 시모노세키와 쓰시마 섬 사이를 운행하고 있다.기타큐슈(규슈)와 시모노세키(혼슈)는 간몬해협을 가로지르는 대양교로 연결되어 나가사키(長,)와 연결되어 있다. 나가사키(長 and)는 쓰시마( i島)와 이키(ki島)를 모두 관리하고 있다.간몬 해협은 쓰시마 섬 중앙에서 동쪽으로 약 85마일(135km) 떨어진 곳에 있고 나가사키 시는 섬 남단에서 남동쪽으로 약 100마일(165km) 떨어진 곳에 있다.

과거의 영향

규슈 북부에 있는 동해협 옆의 근대 일본인과 가장 비슷한 사람들이 일본에 가장 일찍 정착한 것은 전설적, 역사적, 고고학적 증거에 의해 뒷받침되고 있어 논란의 여지가 없다.한(漢)의 멸망(기원전 108년)부터 서기 4세기까지 한반도를 거쳐 규슈 북부로 이민이 시작된 시기.역사적으로 이러한 협곡(한국/쓰시마 해협 전체)은 한반도와 일본 간의 무역을 위해 고위험 항해(한반도 남단-쓰시마 열도-이키 섬-혼슈 서쪽 끝)의 고속도로 역할을 했다.

해협은 또한 양방향으로 이주나 침략의 길 역할을 했다.예를 들어, 고고학자들은 최초의 중석기 이주(조몬)가 기원전 10세기 경 혼슈로 건너갔다고 믿고 있으며, 10만 년 전 플레이스토세 빙하기 동안 해수면이 낮았던 시기에 아시아로부터 일본 육로로 걸었던 구석기 사람들을 대체했다.한국과 중국에서 이민자들 또한 누가, 언제, 얼마나 많은 이민자들이 규슈에 도착하게 되었는지는 치열한 논쟁의 대상이다.불교는 한문과 함께 5세기에 한반도에서 동방 해협을 통해 일본으로 전해졌습니다.이키에서 쓰시마 섬의 남단 가미노시마까지는 약 50킬로미터입니다.부산(한국)에서 쓰시마 북쪽 끝까지, 대한해협을 가로질러 거의 같다.외해상의 작은 배에서 시도하기에는 엄청난 거리였다.

1281년 쿠빌라이 칸이 이끄는 몽골의 침략함대로부터 일본을 구한 태풍 가미카제(神風) 이전에 몽골의 일본 침략이 이 바다를 건너 쓰시마 열도를 휩쓸었다.16세기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이 해협에서 한반도를 통해 중국을 정복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러일전쟁의 결정적인 해전인 쓰시마 해전은 1905년 일본과 러시아 해군 사이의 해협에서 벌어졌다. 러시아 함대는 일본 어뢰정 [3]3척을 잃었다는 이유로 일본 해군에 의해 사실상 파괴되었다.

일본의 영해는 통상 12척이 아닌 5.6km(3해리)까지 뻗어 있으며, 이는 미국의 핵으로 무장한 해군 군함과 잠수함이 일본의 [5][6]핵 무기 금지령을 위반하지 않고 해협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알려졌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Korea Strait". Encyclopedia Britannica. Retrieved 2018-04-03. The strait, which is 300 feet (90 m) deep, is bisected by the Tsushima islands, the passage to the east being often referred to as Tsushima Strait.
  2. ^ "The World Factbook: Japan - Geography". CIA. Retrieved 2018-02-13. between 3 nm and 12 nm in the international straits - La Perouse or Soya, Tsugaru, Osumi, and Eastern and Western Channels of the Korea or Tsushima Strait
  3. ^ a b 100개의 전투, 세상을 만든 결정적 전투, 도허티, 마틴, J., 파라곤, 페이지 144-45
  4. ^ 이마무라, K. 1996선사시대 일본:섬나라 동아시아의 새로운 관점런던,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5. ^ 교도통신, "일본은 미국의 핵을 위해 중요한 해협을 열어두었다" 재팬 타임즈 2009년 6월 22일.
  6. ^ 참조:

좌표:34°00′27§ N 129°29′24″e/34.0075°N 129.49°E/ 34.0075, 129.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