툴사 쇼크
Tulsa Shock툴사 쇼크 | |||
---|---|---|---|
![]() | |||
회의 | 서양 | ||
리그 | WNBA | ||
설립됨 | 1998 | ||
역사 | 디트로이트 쇼크 (1998–2009) 툴사 쇼크 (2010–2015) 댈러스 윙스 (2016–현재) | ||
아레나 | BOK 센터 | ||
위치 | 오클라호마 주 툴사 | ||
팀 컬러 | 금, 검정, 흰색, 피빨간색 | ||
메인 스폰서 | 오사이지 카지노 | ||
총지배인 | 스티브 스웨토하 | ||
수석 코치 | 프레드 윌리엄스 | ||
어시스턴트 | 에드 볼드윈 브리짓 페티스 | ||
소유권 | 툴사 프로 훅스 LLC | ||
선수권 대회 | 3 (2003, 2006, 2008) | ||
회의 제목 | 4 (2003, 2006, 2007, 2008) | ||
웹사이트 | shock | ||
|
털사 쇼크는 미국여자프로농구(WNBA) 서부 콘퍼런스에서 활약하던 오클라호마 주 툴사에 기반을 둔 프로 농구팀이었다. 이 팀은 1998년 WNBA 시즌이 시작되기 전에 미시간 주 디트로이트에서 창단되었다; 이 팀은 2010년 시즌 전에 툴사로 이적했다. 이 팀은 빌 카메론과 데이비드 박스가 이끄는 Tulsa Pro Hoops LLC가 소유하고 있었다. 2015년 7월 20일, 카메론은 2016 WNBA 시즌을 위해 그 프랜차이즈가 텍사스[1] 알링턴으로 이전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더 쇼크는 2015년 툴사에서의 마지막 해에 WNBA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이 프랜차이즈에는 슈팅 가드 디애나 놀런, 여자프로농구 역대 득점왕 케이티 스미스, NBA 명예의 전당 포워드 칼 말론의 딸 셰릴 포드, 호주 센터 리즈 캠비지 등 선수들이 자리 잡고 있다. 2003년, 2006년, 2007년, 2008년(동부회의 디트로이트로서) 쇼크는 WNBA 결승전에 진출했고, 2003년, 2006년, 2008년 각각 LA, 새크라멘토, 샌안토니오를 제치고 우승했다. 그들은 2007년에 피닉스에게 졌다.
프랜차이즈 이력
디트로이트 쇼크(1998~2009)
초기(1998~2002)
더 쇼크는 WNBA 최초의 확장팀 중 하나였으며 1998년에 경기를 시작했다. 쇼크는 재빨리 신인들과 베테랑들을 혼합시켰다. 그 팀은 창단 5년 만에 단 한번의 포스트시즌 진출 자격을 얻었다. 더 쇼크는 전 디트로이트 피스톤스의 전설 빌 라임베어를 고용하기 전에 두 명의 코치(명예 낸시 리버먼과 그렉 윌리엄스의 홀)를 거쳤다. 그 팀의 끔찍한 2002 시즌이 끝난 후 쇼크가 끝날 것이라는 소문이 있었다. 라이머는 구단주들에게 1년 더 팀을 유지하라고 설득했고, 그가 상황을 반전시킬 수 있다고 확신했다.
빌 라임베어 시대(2003~2008)
엄청난 선수 명단 변경 후, 라이머는 쇼크가 리그 챔피언이 될 것이라고 2003년 시즌 전에 예측했고, 그의 예측은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실현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쇼크는 25-9로 경기를 마쳤고 7경기 차로 1번 시드를 따냈다. 플레이오프에서 쇼크는 클리블랜드 로커스와 코네티컷 썬을 꺾고 WNBA 결승에 진출했다. 이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쇼크는 두 번의 디펜딩 챔피언 LA 스파크스에게 큰 약자로 여겨졌다. The Shock은 WNBA 역사상 가장 많은 관중을 동원한 스릴 넘치는 3차전 승리(2003년, 결승전은 3전 3선승제)로 시리즈에서 승리했다. 디트로이트는 리그 역사상 한 시즌 꼴찌에서 바로 다음 시즌 WNBA 챔피언으로 가는 첫 번째 팀이 되었다.
2004년과 2005년에 부족한 성적을 낸 후, 2006년 쇼크는 동부 콘퍼런스에서 23-11의 기록과 2위를 차지했다. 더 쇼크는 인디애나 피버스와 코네티컷 태양을 물리치고 다시 결승에 진출했고, 그곳에서 그들은 디펜딩 챔피언 새크라멘토 모나키스와 맞붙었다. 쇼크는 시리즈에서 3-2로 승리했고, 두 번째 WNBA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2007년 쇼크는 다시 결승에 진출했지만 5경기 만에 피닉스 머큐리에 패했다. 2008년 쇼크는 22 대 12의 정규 시즌 기록을 세웠는데, 이는 동양에서 또 다시 최고의 기록이다. 결승에서 쇼크는 시즌 내내 동부 콘퍼런스 팀에게 지지 않았던 샌안토니오 실버 스타즈와 맞붙었다. 놀랍게도 디트로이트가 샌안토니오를 휩쓸며 프랜차이즈 역사상 세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디트로이트 쇼크 최종 시즌(2009)
The Shock은 2009년에 가장 인기 있는 선수로 선정되었지만, 그들은 그 곳에 도달하기 위해 험난한 길을 걸었다. 빌 라임베어 감독은 시즌 초반 감독직을 사퇴했고, 이들은 심지어 하위권에 처하기도 했다. 그러나 릭 마혼 임시 감독과 쇼크는 2009년 하반기에 다시 뛰었고 결국 18-16으로 7년 연속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더 쇼크는 2라운드에서 인디애나 피버스에 패해 2005년 이후 처음으로 결승에 오르지 못했다.
털사 쇼크(2010~2015년)
이전(2010년)
툴사는 WNBA 확장을 위한 가능한 미래 도시로 언급되었지만, 2009년 중반이 되어서야 노력이 함께 이루어졌다. 툴사 사업가와 정치인들이 모인 조직위원회는 확장팀을 유치하기 위한 노력을 시작했다. 이 그룹에는 원래 9월 1일 마감일이 주어졌다. 도나 오렌더 WNBA 회장은 그 기한을 10월 중으로 연장했다. 이 투자 그룹은 전 아칸소 대학 감독인 놀런 리처드슨 감독을 잠재적 프랜차이즈 총지배인 겸 수석코치로 영입했다. 리차드슨은 아칸소 대학에서 18년간 성공적으로 근무하기 전, 툴사 대학에서 5년간 수석 코치로 일하며 첫 해에 NIT 우승을 이끌었다. 털사가 코치를 고용하기 전 프랜차이즈조차 확보하지 못한 점을 고려하면 이런 움직임은 이상하다는 시각도 있었다. 투자자들은 자신들이 팀을 원하는 것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하고 있다는 것을 리그에 보여주기 위해서라고 주장했다. 2009년 10월 15일, 이 그룹은 리그 가입을 공식 요청했다.
2009년 10월 20일 도나 오렌더 WNBA 총재, 빌 카메론·데이비드 박스, 캐시 테일러 툴사 시장, 브래드 헨리 오클라호마 주지사, 놀런 리처드슨 감독 등이 참석해 디트로이트 쇼크가 툴사로 이전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2010년 1월 23일, 그 프랜차이즈 팀은 쇼크로 남을 것이라고 발표했다. 색깔은 이제 검은색, 빨간색, 금색이다.[2]
힘든 시기(2010~2014년)
툴사로 자리를 옮긴 쇼크팀은 투자자들이 구매하고 있다고 생각했던 것과는 크게 달랐다. 디트로이트의 4명의 최고 선수들은 툴사로 이적하지 못했다. 셰릴 포드는 부상이 계속돼 출전하지 않기로 했고 결국 WNBA를 떠나 해외로 나갔다. 타즈 맥윌리엄스프랭클린은 뉴욕과 자유계약선수(FA) 계약을 맺었다. 디애나 놀란은 포드처럼 WNBA를 떠나 러시아에서 뛰었다. 쇼크와 계약한 것으로 믿어진 케이티 스미스는 (구체적인 합의로 판명되었을 뿐) 워싱턴과 계약을 맺었다. 모든 결석들과 함께, 새로운 감독이자 감독인 놀런 리처드슨은 로스터가 어떻게 보이기를 원하는지에 대한 자신만의 생각을 가지고 있었고 2010년 시즌 중반까지 디트로이트 선수들은 팀에 남아있지 않았다.
리차드슨의 첫 드래프트 선발선발인 아만다 톰슨은 7경기(출발 없음)만 뛰었고 시즌이 끝난 지 한 달 만에 경기를 포기했다. 또 다른 핵심 계약인 올림픽 육상 스타 마리온 존스 역시 기대했던 것 보다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그녀는 13년 전 노스캐롤라이나에서 활동한 이래로 의미 있는 농구 경기를 하지 않았다.
연속성의 결여가 그 팀을 괴롭혔다; 때때로 리차드슨은 경기 대 경기 기준으로 로스터 동작을 하는 것 같았다. 선수들은 리처드슨 감독의 열광적인 '40분 지옥' 스타일에 적응하는 것도 힘들었다.[3] 쇼크는 리그 꼴찌인 6 대 28의 무서운 기록으로 끝났다. 그들은 디트로이트에서 2002년 이후 처음으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지 못했다. 가치 있는 선수들을 잃고 출발이 좋지 않다는 것은 쇼크가 드래프트 복권에 응할 자격을 얻었다는 것을 의미했고, 그들은 2011년 드래프트에서 2번 뽑힌 상을 받았다.
더 쇼크는 그녀를 중심으로 성공적인 팀을 만들겠다는 희망을 가지고 19살의 호주 센터 리즈 캠비지를 선발했다. 이 팀은 또한 베테랑 선수들과 WNBA의 원조 선수들 중 하나인 셰릴 스칼레스와도 계약했다. 하지만 선수 명단 변경으로는 부족했고 팀이 무서운 1-10으로 시즌을 시작한 뒤 리처드슨 감독은 물러났다. 임시로 테레사 에드워즈 감독이 그의 자리를 대신했다. 존스는 며칠 후에 면직되었다. 올스타 휴식기에 1-14로 뛰어든 쇼크에게는 상황이 나아지지 않았다. 시즌 후반, 쇼크는 WNBA 역사상 가장 긴 연패인 20연패에 나서면서 허무의 새로운 기록을 세웠다.
2012년, 팀이 9-25로 계속하여 시즌 1-11을 시작함에 따라 불행은 계속되었다.[4] 그 팀은 2013년 11-23과 2014년 12-22로 약간 더 나은 기록으로 마무리 될 것이다.
성공, 툴사 마지막 시즌(2015년)
2015년 쇼크는 한국은행 센터에서의 6-1 기록을 포함해 10-7로 출발하며 순조로운 출발을 했다. 하지만 6월엔 포인트 가드 스카일러 디긴스가 무릎 부상을 당해 시즌 남은 경기를 놓쳤다. 2015년 7월 20일 대주주인 빌 캐머런은 팀을 댈러스로 옮기겠다고 발표하면서 툴사 팬들뿐만 아니라 WNBA 자체를 놀라게 했다. 다음 날, 소수 구단주 스튜어트 프라이스는 그 팀을 툴사(Tulsa)에 유지하려는 시도에 실패하여 카메론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5]
2015년 7월 23일 WNBA리그 구단주들은 툴사 쇼크의 댈러스-포트워스 이전을 만장일치로 승인했다. 털사 쇼크의 마지막 정규 시즌 홈 경기는 9월 13일 피닉스와의 경기였다. 쇼크가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지만, 그들은 아직 어렸고 같은 피닉스 선수단에 2연속 완승을 거두었다. 쇼크 인 DFW의 새로운 홈 경기장은 UT 알링턴의 칼리지 파크 센터로 UT 알링턴 매버릭스의 홈이기도 하다.[6]
2015년 11월 2일, 팀명이 공식적으로 달라스 윙스로 변경되었다. 그 이름은 유명한 모빌 석유회사에서 유래되었다. 달라스 시내의 역사적인 빌딩 꼭대기에 있는 "날아다니는 말" 또한 그것은 지역 NBA 팀인 달라스 매버릭스와 비슷한 마스코트다.
유니폼
- 디트로이트: 흰색은 집에서 WNBA 농구공을 넘어 검은색과 파란색으로 꾸며진 디트로이트 쇼크라는 팀의 로고를 가지고 있다. 도로 저지를 향해 앞쪽에 "디트로이트"라는 단어가 있는 파란색.
- 툴사: 스타일링된 툴사 쇼크의 팀 로고가 새겨진 금으로, 집에서 검은색과 금색으로. "툴사"라는 단어가 새겨진 검정색 금색, 도로 저지대 앞쪽 대각선 방향.
2013년 《Tulsa Shock》과 《Osage Casino》는 다년간의 Marquee 파트너십을 체결했다.[7] 쇼크 홈 앤 어웨이 저시스에 오사지 카지노 로고가 등장했다.[8]
시즌별 기록
계절 | 팀 | 회의 | 정규 시즌 | 플레이오프 결과 | 수석 코치 | |||
---|---|---|---|---|---|---|---|---|
W | L | PCT | ||||||
디트로이트 쇼크 | ||||||||
1998 | 1998 | 동쪽 | 4일 | 17 | 13 | .567 | 자격이 없음 | 낸시 리버먼 |
1999 | 1999 | 동쪽 | 두 번째 | 15 | 17 | .469 | 로스트 컨퍼런스 준결승전(샬롯, 0–1) | 낸시 리버먼 |
2000 | 2000 | 동쪽 | 5일 | 14 | 18 | .438 | 자격이 없음 | 낸시 리버먼 |
2001 | 2001 | 동쪽 | 7일 | 10 | 22 | .313 | 자격이 없음 | 그레그 윌리엄스 |
2002 | 2002 | 동쪽 | 8일 | 9 | 23 | .281 | 자격이 없음 | G. 윌리엄스(0–10) B. 라임베어(9–13) |
2003 | 2003 | 동쪽 | 첫 번째 | 25 | 9 | .735 | 원컨퍼런스 준결승전 (클리블랜드, 2–1) 원 컨퍼런스 파이널 (커넥티컷, 2-0) WNBA 파이널 우승(로스앤젤레스, 2–1) | 빌 라임베어 |
2004 | 2004 | 동쪽 | 3번째 | 17 | 17 | .500 | 로스트 컨퍼런스 준결승전(뉴욕, 1-2) | 빌 라임베어 |
2005 | 2005 | 동쪽 | 4일 | 16 | 18 | .471 | 컨퍼런스 준결승 패배(커넥티컷, 0–0–2) | 빌 라임베어 |
2006 | 2006 | 동쪽 | 두 번째 | 23 | 11 | .676 | 원컨퍼런스 준결승전 (인디아나, 2-0) 원 컨퍼런스 파이널 (커넥티컷, 2–1) WNBA 파이널 우승(새크라멘토, 3–2) | 빌 라임베어 |
2007 | 2007 | 동쪽 | 첫 번째 | 24 | 10 | .706 | 원컨퍼런스 준결승전 (뉴욕, 2–1) 원컨퍼런스 파이널(인디아나, 2–1) Lost WNBA Final (Phoenix, 2–3) | 빌 라임베어 |
2008 | 2008 | 동쪽 | 첫 번째 | 22 | 12 | .647 | 원컨퍼런스 준결승전 (인디아나, 2–1) 원 컨퍼런스 파이널 (뉴욕, 2–1) WNBA 파이널 우승(샌안토니오, 3-0) | 빌 라임베어 |
2009 | 2009 | 동쪽 | 3번째 | 18 | 16 | .529 | 원컨퍼런스 준결승전 (아틀란타, 2-0) 로스트 컨퍼런스 결승전(인디아나, 1-2) | B. 라임베어(1–3) R. 마혼(17–13) |
툴사 쇼크 | ||||||||
2010 | 2010 | 서쪽 | 6일 | 6 | 28 | .176 | 자격이 없음 | 놀런 리처드슨 |
2011 | 2011 | 서쪽 | 6일 | 3 | 31 | .088 | 자격이 없음 | N. 리처드슨(1-10) T. 에드워즈(2–21) |
2012 | 2012 | 서쪽 | 5일 | 9 | 25 | .265 | 자격이 없음 | 게리 클롭버그 |
2013 | 2013 | 서쪽 | 6일 | 11 | 23 | .324 | 자격이 없음 | 게리 클롭버그 |
2014 | 2014 | 서쪽 | 5일 | 12 | 22 | .353 | 자격이 없음 | 프레드 윌리엄스 |
2015 | 2015 | 서쪽 | 3번째 | 18 | 16 | .529 | 로스트 컨퍼런스 준결승전 (Phoenix, 0–2) | 프레드 윌리엄스 |
정규 시즌 | 269 | 331 | .448 | 4 컨퍼런스 챔피언십 | ||||
플레이오프. | 30 | 21 | .588 | 3 WNBA 선수권 대회 |
플레이어스
최종 명부
툴사 쇼크 선수 명단 | |||||||||||||||||||||||||||||||||||||||||||||||||||||||||||||||||||||||||||||||||||||||||||||||||||||||||||||||||||||||||||||||||||||||||||||||||||||||||||||||||||||||||||||||||||||||||||||||||||||||||||||||||||||||||||||||||||||||||
---|---|---|---|---|---|---|---|---|---|---|---|---|---|---|---|---|---|---|---|---|---|---|---|---|---|---|---|---|---|---|---|---|---|---|---|---|---|---|---|---|---|---|---|---|---|---|---|---|---|---|---|---|---|---|---|---|---|---|---|---|---|---|---|---|---|---|---|---|---|---|---|---|---|---|---|---|---|---|---|---|---|---|---|---|---|---|---|---|---|---|---|---|---|---|---|---|---|---|---|---|---|---|---|---|---|---|---|---|---|---|---|---|---|---|---|---|---|---|---|---|---|---|---|---|---|---|---|---|---|---|---|---|---|---|---|---|---|---|---|---|---|---|---|---|---|---|---|---|---|---|---|---|---|---|---|---|---|---|---|---|---|---|---|---|---|---|---|---|---|---|---|---|---|---|---|---|---|---|---|---|---|---|---|---|---|---|---|---|---|---|---|---|---|---|---|---|---|---|---|---|---|---|---|---|---|---|---|---|---|---|---|---|---|---|---|---|---|---|---|---|---|---|---|---|---|---|---|---|---|---|---|---|---|
플레이어스 | 코치 | ||||||||||||||||||||||||||||||||||||||||||||||||||||||||||||||||||||||||||||||||||||||||||||||||||||||||||||||||||||||||||||||||||||||||||||||||||||||||||||||||||||||||||||||||||||||||||||||||||||||||||||||||||||||||||||||||||||||||
|
|
이전 선수
- 제니퍼 애지(1999년)
- 칼라 보이드(1998–1999, 2001)
- 카라 브랙스턴(2005~2010년)
- 샌디 브론델로(1998~1999)는 현재 피닉스 머큐리의 감독이다.
- 도미니크 캔티(1999~2002)
- 스윈 캐시(2002~2007)는 현재 뉴올리언스 펠리컨스의 농구 운영 및 팀 개발 부사장이다.
- 바바라 패리스(2000-2005, 2009) 쇼크의 본산인 한국은행 센터
- 셰릴 포드(2003-2008)
- 알렉시스 혼버클(2008~2010)
- 타샤 험프리(2008)
- 섀넌 존슨(2007)
- 테메카 존슨(2012년)
- 마리온 존스(2010~2011년)
- 아이보리 라타(2007, 2010-2012)
- Taj McWilliams-Franklin(2008-2009)
- 아스토우 은디아예 디아타 (1999–2003)
- 디애나 놀런(2001~2009)
- 웬디 파머(1999~2002)
- 카일라 페데르센(2011~2013년)
- 일레인 파월(2002~2008)
- 니콜 파월(2013년)
- 루스 라일리(2003-2006)
- 케이티 스미스(2005~2009년)는 현재 미네소타 스링스의 부감독이다.
- 셰릴 스퀘일스(2011년)
- 현재 워싱턴 미스틱스 소속인 샤본테 젤루이스(2009~2010년)
코치 및 직원
소유자
- 디트로이트 피스톤스(1998~2009)의 구단주 윌리엄 데이비드슨.
- 툴사 프로 훅스 LLC, 빌 카메론과 데이비드 박스(주요 소유주), 크리스 크리스티안, 팻 체르니키, 샘과 리타 콤스, 팻과 돈 하딘, 폴라 마샬, 스튜어트와 린다 프라이스, 케이티와 스콧 스코트 스코트 스코트 스코필드(2010–현재)로 구성되어 있다.
수석 코치
이름 | 시작 | 끝 | 계절들 | 정규 시즌 | 플레이오프. | ||||||
---|---|---|---|---|---|---|---|---|---|---|---|
W | L | PCT | G | W | L | PCT | G | ||||
낸시 리버먼 | 1998년 1월 12일 | 2000년 8월 28일 | 3 | 46 | 48 | .489 | 94 | 0 | 1 | .000 | 1 |
그레그 윌리엄스 | 2000년 9월 20일 | 2002년 6월 19일 | 2 | 10 | 32 | .238 | 42 | 0 | 0 | .000 | 0 |
빌 라임베어 | 2002년 6월 19일 | 2009년 7월 15일 | 8 | 137 | 93 | .596 | 230 | 27 | 16 | .628 | 43 |
릭 마혼 | 2009년 7월 15일 | 2009년 말 | 1 | 17 | 13 | .567 | 30 | 3 | 2 | .600 | 5 |
놀런 리처드슨 | 2009년 9월 29일 | 2011년 7월 8일 | 2 | 7 | 38 | .156 | 45 | 0 | 0 | .000 | 0 |
테레사 에드워즈 | 2011년 7월 8일 | 2012년 1월 3일 | 1 | 2 | 21 | .087 | 23 | 0 | 0 | .000 | 0 |
게리 클롭버그 | 2012년 1월 3일 | 2013년 10월 15일 | 2 | 20 | 48 | .294 | 68 | 0 | 0 | .000 | 0 |
프레드 윌리엄스 | 2014년 1월 23일 | 현재 | 2 | 30 | 38 | .441 | 68 | 0 | 2 | .000 | 2 |
총지배인
보조 코치
- 스티브 스미스(1998~2001)
- 그레그 윌리엄스(1998-2000년)
- 톰 크로스(2001~2002)
- 프랭크 슈나이더(2002)
- 로리 버드(2003-2005)
- 팸 맥기(2003)
- Korie Hlede(2004)
- 릭 마혼(2005~2009)
- 셰릴 리브(2006~2009)
- 태미 백비(2010년)
- 웨인 스틸릭(2010~2011년)
- 테레사 에드워즈(2011년)
- 트레이시 머레이(2011년)
- 캐시 맥코넬 밀러(2011~2012년)
- 제이슨 글로버(2012~2013년)
- 스테이시 러브레이스톨버트(2013년)
- 브리짓 페티스(2014–현재)
- 에드 볼드윈(2014–현재)
명예의 전당
통계
툴사 쇼크 통계 | |||||||||||||||||||||||||||||||||||||||||||||||||||||||||||||||||||||||||||||||||||
---|---|---|---|---|---|---|---|---|---|---|---|---|---|---|---|---|---|---|---|---|---|---|---|---|---|---|---|---|---|---|---|---|---|---|---|---|---|---|---|---|---|---|---|---|---|---|---|---|---|---|---|---|---|---|---|---|---|---|---|---|---|---|---|---|---|---|---|---|---|---|---|---|---|---|---|---|---|---|---|---|---|---|---|
2000년대
| |||||||||||||||||||||||||||||||||||||||||||||||||||||||||||||||||||||||||||||||||||
2010년대
|
언론 보도
일부 쇼크 게임은 오클라호마 주의 특정 지역을 위한 지역 텔레비전 방송국인 더 콕스 채널(COX)에서 방송되었다. NBA TV는 종종 전국적으로 방영된 현지 방송으로부터 피드백을 받았다. 쇼크 게임의 방송사는 마이크 울프와 샤나 크로스리였다.
전일 메모
정규시즌출석
- 더 팰리스 오브 오번 힐즈(디트로이트)의 농구 경기 매진은 22,076이다.
- BOK센터(툴사)의 농구 경기 매진은 1만7839점.
디트로이트 쇼크 | |||||||
연도 | 평균 | 높은 | 낮음 | 매진 | 년도합계 | WNBA 게임 평균 | |
1998 | 10,196 (6일) | 16,246 | 7,102 | 0 | 153,434 | 10,869 | |
1999 | 8,485(9위) | 12,378 | 6,771 | 0 | 135,753 | 10,207 | |
2000 | 6,716(13일) | 10,147 | 4,480 | 0 | 107,449 | 9,074 | |
2001 | 6,834 (14일) | 13,378 | 4,013 | 0 | 109,348 | 9,105 | |
2002 | 5,886 (16일) | 10,893 | 3,315 | 0 | 94,171 | 9,228 | |
2003 | 7862(9일) | 12,414 | 3,532 | 0 | 133,647 | 8,826 | |
2004 | 9,462(4위) | 14,435 | 6,542 | 0 | 160,860 | 8,589 | |
2005 | 9,374 (3위) | 14,932 | 5,635 | 0 | 159,356 | 8,172 | |
2006 | 9,643(1차) | 12,985 | 6,932 | 0 | 163,924 | 7,476 | |
2007 | 9,749 (1위) | 14,109 | 7,421 | 0 | 165,738 | 7,819 | |
2008 | 9,569(1일) | 15,210 | 6,842 | 0 | 162,669 | 7,948 | |
2009 | 8,011 (5위) | 14,439 | 5,239 | 0 | 136,184 | 8,029 | |
툴사 쇼크 | |||||||
연도 | 평균 | 높은 | 낮음 | 매진 | 년도합계 | WNBA 게임 평균 | |
2010 | 4,812호(11일) | 7,806 | 3,333 | 0 | 81,811 | 7,834 | |
2011 | 4828(12일) | 7,509 | 3,435 | 0 | 82,069 | 7,954 | |
2012 | 5,196(12일) | 7,509 | 4,102 | 0 | 88,453 | 7,452 | |
2013 | 5,474명(12일) | 7,381 | 4,107 | 0 | 93,055 | 7,531 | |
2014 | 5,566(12일) | 7,256 | 4,107 | 0 | 94,626 | 7,578 | |
2015 | 5,190(11일) | 7,256 | 4,145 | 0 | 87,854 | 7,184 |
드래프트 픽
- 1998년 확장 드래프트: 론다 블레이드(1), 타지마 아브라함(3), 타라 윌리엄스(5), 리넷 우다드(7)
- 1998: Korie Hlede(4), Rachel Sporn(14), Gergana Branzova(24), Sandy Brondello(34)
- 1999: 제니퍼 아지(5), 발 휘팅(17), 도미니크 캔티(29), 아스토우 은디아예 디아타(41)
- 2000: 에드위나 브라운(3), 타미차 잭슨(8), 시보네 해먼드(44), 칼 부샤드(60)
- 2001: 디애나 놀런(6), 재킹니(22), 스베틀라나 볼나야(38), 켈리 산투스(54)
- 2002: 스윈 캐시(2), 라나에 윌리엄스(18), 아야나 워커(20), 질 채프먼(21), 캐시 왓베(22), 에리카 헤이니(47)
- 2003년 마이애미/포트랜드 분산 드래프트: 루스 라일리(1)
- 2003: 셰릴 포드(3), 카라 로슨(5), 시리타 브롬필드(28)
- 2004년 클리블랜드 디스퍼살 드래프트: 제니퍼 리조티(13)
- 2004: 아이시스 틸리스(11), 셰레카 라이트(13), 에리카 발레크(23), 제니퍼 스미스(32)
- 2005: 카라 브랙스턴(7), 디온나 잭슨(13), 니키타 벨(20), 제니 링고르(33)
- 2006: Ambrosia Anderson (17), Zane Teilane (35)
- 2007년 샬럿 디스패설 드래프트: 선발 포기
- 2007: 아이보리 라타(11)
- 2008: 알렉시스 혼버클(4), 타샤 험프리(11), 올라잉카 산니(18), 나타샤 레이시(28), 발레리야 베레진스카(42)
- 2009년 Houston Dispersal 초안: 선정 포기
- 2009: Shavonte Zellous (11), Britany Miller (18), Tanae Davis-Cain (37)
- 2010년 새크라멘토 디스패설 초안: 스콜란다 로빈슨 (7)
- 2010: 아만다 톰슨(19), 비비안 프리슨(31)
- 2011: 리즈 캠비지(2), 카일라 페더슨(7), 이탈리 루카스(21), 순결 리드(25)
- 2012: 글로리 존슨(4), 리쿠나 윌리엄스(17), 비키 보우(25), 리넷타 키저(29)
- 2013: 스카일러 디긴스(3), 엔젤 굿리치(29)
- 2014: 오디세이 심스(2), 조던 후퍼(13), 테레사 플라이샌스(27)
- 2015: 아만다 자후이 B.(2), 브리아나 키젤(13), 미미 문게디(25)
무역
- 1999년 7월 29일: 더 쇼크는 웬디 파머와 올림피아 스콧 리차드슨과 교환하여 코리 흐레드와 신디 브라운을 유타 스타즈로 트레이드했다.
- 2000년 4월 24일: 더 쇼크는 2000년 초안의 3번째와 8번째 선택과 교환하여 2000년 초안의 12번째 선택지를 유타 스타즈에게 교환했다.
- 2001년 4월 20일: 더 쇼크는 2002년 드래프트에서 발 휘팅을 2라운드 선발을 조건으로 미네소타 링스로 이적시켰다.
- 2001년 4월 24일: 더 쇼크는 제니퍼 리조티와 교환하여 안나 드포지를 휴스턴 코메트로 트레이드했다.
- 2001년 5월 13일: 더 쇼크는 2002년 드래프트에서 타미차 잭슨을 2라운드 선발을 조건으로 포틀랜드 파이어로 트레이드했다.
- 2001년 5월 27일: 더 쇼크는 제니퍼 리조티를 클리블랜드 로커스로 이적시켜 2002년 드래프트에서 3라운드 선발을 조건으로 내세웠다.
- 2001년 5월 27일: The Shock은 2002년 초안에서 2차 선발과 교환하여 2002년 초안에서 올림피아 스콧-리처드슨과 3차 선발전을 인디애나 열기에 맞바꾸었다.
- 2002년 5월 3일: The Shock은 2003년 드래프트에서 클라우디아 다스 네브스를 4라운드 픽업과 교환하여 피닉스 머큐리로 이적시켰다.
- 2002년 5월 11일: The Shock은 Stacy Clinesmith와 교환하여 2003년 초안에서 새크라멘토 군주에게 4라운드 선택을 교환했다.
- 2002년 7월 7일: 더 쇼크는 2003년 드래프트에서 웬디 파머와 2라운드 피크를 엘레인 파웰과 교환하고 2003년 드래프트에서 1라운드 피크를 교환했다.
- 2003년 4월 27일: 더 쇼크는 앨리슨 커틴과 교환하여 도미니크 캔티를 휴스턴 코메트로 트레이드했다.
- 2003년 4월 28일: 더 쇼크는 에드위나 브라운과 라나에 윌리엄스를 텔리샤 츄렐레스와 페트라 우젤리와의 교환으로 피닉스 머큐리로 트레이드했다.
- 2003년 4월 29일: 더 쇼크는 Kendra Holland-Corn과 교환하여 카라 로슨을 새크라멘토 모나키스로 트레이드했다.
- 2003년 5월 19일: 더 쇼크는 2004년 드래프트에서 타마라 무어와 교환하여 미네소타 링스에 3라운드 피크를 교환했다.
- 2003년 7월 31일: 쇼크는 타마라 무어를 스테이시 토마스와 교환하여 피닉스 머큐리로 트레이드했다.
- 2004년 2월 11일: 더 쇼크는 2004년 드래프트에서 켄드라 홀랜드 콘과 26번째 픽을 11번째와 32번째 픽과 교환하여 휴스턴 코메츠에 트레이드했다.
- 2004년 4월 17일: 더 쇼크는 찬디 존스와 교환하여 세레카 라이트, 쉴라 램버트, 에리카 발레크를 피닉스 머큐리로 트레이드했다.
- 2005년 4월 14일: The Shock은 2005년 초안의 13번째 선택과 교환하여 Iciss Tillis를 Washington Mistics로 이적시켰다.
- 2005년 6월 29일: 더 쇼크는 2006년 드래프트에서 안드레아 스틴슨과 2라운드 피닉스를 플레넷 피에슨과 교환하여 피닉스 머큐리로 이적시켰다.
- 2005년 7월 30일: The Shock은 Katie Smith와 교환하여 Chandi Jones, Stacey Thomas, 그리고 2006년 드래프트의 1라운드 피크를 미네소타 링스로 교환했고 2006년 드래프트에서 2라운드 피크를 교환했다.
- 2006년 4월 5일: 더 쇼크는 2007년 드래프트에서 암브로시아 앤더슨과 2라운드 피크를 미네소타 링스로 트레이드하고, 2007년 드래프트에서 재클린 배트티스트와 3라운드 피크를 교환했다.
- 2006년 5월 18일: 더 쇼크는 2007년 드래프트에서 안젤리나 윌리엄스와 교환하여 피닉스 머큐리에 3라운드 피크 2개를 교환했다.
- 2007년 2월 22일: 더 쇼크는 2008년 초안에서 케이티 파인스트라와 1라운드 선발권을 교환하는 대가로 루스 라일리를 샌안토니오 실버스타즈로 트레이드했다.
- 2008년 2월 6일: The Shock은 2008년 초안 18번째 선택과 라토야 토마스와의 교환으로 아이보리 라타를 애틀랜타 드림으로 트레이드했다.
- 2008년 2월 19일: 더 쇼크는 2008년 드래프트에서 네 번째 선택권을 받는 대가로 스윈 캐시를 시애틀 스톰에 트레이드했다.
- 2008년 6월 22일: 더 쇼크는 에스하야 머피와의 교환으로 라토야 토마스를 미네소타 링스로 트레이드했다.
- 2008년 8월 12일: The Shock은 Taj McWilliams-Franklin과 교환하여 2009년 드래프트에서 Eshaya Murphy, Tasha Humphrey, 그리고 Washington Mistics에게 2라운드 픽을 교환했다.
- 2009년 4월 9일: 더 쇼크는 2009년 드래프트에서 18번째 우승과 교환하여 애슐리 쉴즈를 애틀랜타 드림으로 이적시켰다.
- 2010년 4월 7일: The Shock은 Chante Black과 Amber Holt와 교환하여 2010년 드래프트에서 7번째 선택과 2011년 드래프트에서 2번째 선택을 코네티컷 태양에 교환했다.
- 2010년 4월 14일: 더 쇼크는 크리스탈 켈리를 섀너 크로슬리와 교환하는 조건으로 샌안토니오 실버스타즈로 트레이드했다.
- 2010년 5월 27일: The Shock은 2011년 초안에서 2라운드 선정을 조건으로 Shavonte Zellous를 인디애나 피버로 트레이드했다.
- 2010년 6월 14일: 더 쇼크는 티파니 잭슨과 교환하여 플레넷 피에슨을 뉴욕 리버티로 트레이드했다.
- 2010년 7월 22일: The Shock은 2011년 드래프트에서 니콜 오엘데와 1라운드 선발을 대가로 카라 브랙스턴을 피닉스 머큐리로 트레이드했다.
- 2010년 7월 26일: 더 쇼크는 알렉시스 혼버클을 라샨다 맥캔츠와 교환하여 미네소타 링스로 이적시켰다.
- 2011년 2월 1일: 더 쇼크는 2012년 드래프트에서 안드레아 라일리와 2라운드 선발을 교환했다.
- 2011년 5월 2일: 더 쇼크는 2012년 드래프트에서 스콜란다 로빈슨을 2라운드와 3라운드 선발로 교환하는 조건으로 샌안토니오 실버스타즈로 트레이드했다.
- 2012년 1월 12일: 더 쇼크는 안드레아 라일리를 테메카 존슨과 교환하여 피닉스 머큐리로 트레이드했다.
- 2012년 7월 2일: 더 쇼크는 로네카 호지스와 교환하여 카리마 크리스마스를 인디애나 피버로 교환했다.
- 2013년 3월 1일: 더 쇼크는 니콜 파월과의 교환으로 2013년 뉴욕 리버티 드래프트에서 2라운드 1순위인 디애나 놀런과 3라운드 1순위를 맞바꾸었다. 3개 팀 트레이드의 일환으로, 쇼크는 또한 캔디스 위긴스와 교환하여 2014년 드래프트에서 그들의 2라운드 피크를 미네소타 스링스로 교환했다.
- 2013년 6월 20일: 더 쇼크는 카일라 페데르센을 2014년 초안 2차 선정 조건으로 코네티컷 선으로 트레이드했다.
올스타즈
- 1999: 샌디 브론델로
- 2000: 웬디 파머
- 2001: 없음
- 2002: 없음
- 2003: 스윈 캐시, 셰릴 포드, 디애나 놀런
- 2004: 셰릴 포드, 디애나 놀런
- 2005: 스윈 캐시, 셰릴 포드, 디애나 놀런, 루스 라일리
- 2006: 셰릴 포드, 디애나 놀런, 케이티 스미스
- 2007: 카라 브랙스턴, 셰릴 포드, 디애나 놀런
- 2008년: 올스타 게임 없음
- 2009년: 케이티 스미스
- 2010: 없음
- 2011년: 리즈 캠비지
- 2012: 올스타 게임 없음
- 2013년: 글로리 존슨
- 2014년: 스카일러 디긴스, 글로리 존슨
- 2015년: 스카일러 디긴스, 플레넷 피어슨, 리쿠나 윌리엄스
- 2016년: 올스타전 노
올림피아인
- 2004: 스윈 캐시, 루스 라일리
- 2008년: 케이티 스미스
- 2012: 리즈 캠비지 (AUS)
영예와 상
- 1998년 올-WNBA 2군: 신디 브라운
- 2003년 결승 MVP: 루스 라일리
- 2003년 신인왕: 셰릴 포드
- 2003년 올해의 감독: 빌 라임베어
- 2003년 올 WNBA 2차 팀: 스윈 캐시
- 2003년 올-WNBA 2차 팀: 셰릴 포드
- 2003년 올 WNBA 2군: 디애나 놀런
- 2004년 올-WNBA 2군: 스윈 캐시
- 2005 올 디펜시브 2군: 디애나 놀런
- 2006년 파이널 MVP: 디애나 놀런
- 2006년 올-WNBA 2군: 디애나 놀런
- 2006년 올 디펜시브 2군: 셰릴 포드
- 2006년 올 디펜시브 2군: 디애나 놀런
- 2007 올스타전 MVP 셰릴 포드
- 2007년 올해의 여섯 번째 여성: 플레넷 피어슨
- 2007년 올 디펜시브 퍼스트 팀: 디애나 놀런
- 2008년 파이널 MVP: 케이티 스미스
- 2008년 올 WNBA 2군: 디애나 놀런
- 2008년 올 디펜시브 2군: 디애나 놀런
- 2008년 올 디펜시브 2팀: 케이티 스미스
- 2009년 올-WNBA 2군: 디애나 놀런
- 2009년 올 디펜시브 2군: 디애나 놀런
- 2009년 올루키 팀: 샤본테 젤루우스
- 2011년 올루키 팀: 리즈 캠비지
- 2012 올루키 팀: 글로리 존슨
- 2012년 올루키 팀: 리쿠나 윌리엄스
- 2013년 제6회 올해의 여성: 리쿠나 윌리엄스
- 2013년 올 디펜시브 2군: 글로리 존슨
- 2013 올루키 팀: 스카일러 디긴스
- 2014년 가장 향상된 플레이어: 스카일러 디긴스
- 2014년 최고 성능(리바운드): 코트니 파리
- 2014년 올 WNBA 퍼스트 팀: 스카일러 디긴스
- 2014 올루키 팀: 오디세이 심스
- 2015년 최고 성능자(리바운드): 코트니 파리
참조
- ^ "WNBA Approves Relocation of Shock from Tulsa to Dallas-Fort Worth" (Press release). WNBA. July 23, 2015.
- ^ "NBA.com". WNBA. Retrieved 2013-03-22.
- ^ 롱맨, 제레. "디트로이트를 떠나 툴사를 위해, 충격은 그들의 길을 잃었다." 뉴욕타임즈 2011-09-05
- ^ "2012 Regular Season Conference Standings". WNBA. 2012-09-30. Retrieved 2013-03-22.
- ^ Dillon Hollingsworth; Jarrel Wade (July 21, 2015). "Tulsa Shock announces plans to move to Dallas-Fort Worth; minority owner Stuart Price files suit". Tulsa World.
- ^ Evans, Jayda (July 23, 2015). "WNBA owners unanimously approved relocation of Tulsa Shock to Dallas-Fort Worth area". Seattle Times. Retrieved August 3, 2015.
- ^ "Tulsa Shock, Osage Casino Enter Partnership". Greater Tulsa Reporter. D. Forrest Cameron. Retrieved 1 August 2020.
- ^ "SHOCK: Osage Casino Partnership". WNBA. Retrieved July 21,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