캔자스대로59번길
U.S. Route 59 in Kansas미국대로59번길 | ||||
---|---|---|---|---|
빨간색 강조 표시된 US-59 | ||||
경로 정보 | ||||
KDOT와 파슨스, 로렌스, 애치슨에 의해 유지됨 | ||||
길이 | 210.168 mi(338[1].670km) | |||
주요 접점 | ||||
남쪽 끝 | ![]() | |||
노스엔드 | ![]() | |||
위치 | ||||
카운티 | 라베트, 네오쇼, 앨런, 앤더슨, 프랭클린, 더글러스, 제퍼슨, 애치슨 | |||
고속도로 시스템 | ||||
| ||||
|
미국 국도 59호선(미국-59호선)은 멕시코에서 출발하는 미국 고속도로 시스템의 일부다.멕시코 연방 고속도로 85D 북쪽에서 랭커스터로 이어지는 텍사스 주 라레도에 있는 미국 국경캐나다 톨스토이 국경 횡단마니토바 59번 고속도로로 이어지는 미국 국경. 미국 캔자스주에서 US-59는 체토파에서 애치슨까지 이어지는 남북 간 주요 고속도로다.
경로 설명
US-59는 210마일(340km) 길이의 고속도로로 캔자스 주 동부의 남쪽에서 북으로 뻗어 있다. 체토파 남쪽 오클라호마 주에서 주 안으로 들어가 파슨스, 오타와, 오스위고, 모란, 가넷, 로렌스를 통과한다. 이 노선은 캔자스를 출발해 앳치슨에서 미주리 강을 건너 미주리로 향한다. 대부분의 노선은 오사지 대초원의 정점을 오르고,[2] 캔자스 강 북부는 빙하 지역을 관통한다.[3]
캔자스에 있는 US-59의 거의 전체 길이는 캔자스 교통부(KDOT)에 의해 유지된다. 파슨스 내 4.469마일(7.192km) 구간은 시에 의해 유지된다.[4] 로렌스 내의 구역은 시에서 관리한다.[5] 아치슨 내 US-59의 2.613마일(4.205km) 구간은 시에서 정비한다.[6] 도로공사는 정기적으로 관할 도로를 조사하여 주 고속도로를 이용한 교통량을 측정한다. 이러한 교통량은 연간 평균 일일 교통량(AADT) 단위로 표시되며, 이는 도로 구간의 일일 평균 차량 수를 계산한 것이다. 2012년 조사의 경우, AADT가 가장 높은 도로의 구간은 로렌스 시 경계선 남쪽의 하루 8,249대였다. 가장 낮은 곳은 네오쇼-일 380대였다.알렌 군선. 그 통계는 대도시 내에서 측정되지 않았다.[1]
캔자스 남동부
US-59는 2차선 고속도로를 따라 체토파 남쪽 캔자스로 진입한다. 마을로 들어서면서 3번가로 알려지게 된다. 그것은 메이플 가를 따라 흐르는 US-166과 교차한다. US-59는 메이플을 따라 서쪽으로 돌며 두 노선은 2.5마일(2.4km)을 함께 달린다. 북쪽으로 굽혀 북쪽 도시 한계에 도달한 후, 미 166은 서쪽으로 갈라지고 미-59는 북쪽으로 이어진다. 북쪽으로 13km(8마일) 떨어진 이곳은 커머스 가를 따라 오스위고로 진입해 사우스 캔자스 & 오클라호마 철도(SKOL) 노선을 건넌다. 라베트 카운티 법원 근처에서 US-160을 실은 6번가와 만난다. 이 두 노선은 함께 서쪽으로 향하다가 단일 유니온 퍼시픽 철도(UP) 선로와 평행하게 북서쪽으로 향한다.[7] 오스위고의 북서쪽은 북쪽을 향한 커브길을 따라 서쪽으로 이동하며, 이를 통해 UP선을 안전하게 건널 수 있다. 알타몬트에 도착하기 직전에, US-59가 북쪽으로 갈라져 US-160을 떠나 서쪽으로 계속된다.[8]
캔자스 주 동부
US-54와 교차한 후, US-59는 Mildred를 향해 북쪽으로 계속 간다. 밀드레드 안과 주변은 고속도로가 다시 한번 UP 철도와 평행하게 구부러진다.[7] 이 노선은 밀드레드 바로 북쪽에 있는 앤더슨 카운티로 진입하여 북쪽으로 커브한다. 여기서 북쪽으로 항로가 서쪽으로 돌아서 K-31과 동시통행을 시작한다. 고속도로는 서쪽으로 계속되었다가 북쪽으로 구부러져 론 엘름 시를 우회한다. 북쪽으로 트레킹을 한 후, 그 노선은 서쪽으로 휘청거리며 US-169를 가로지른다. 이 세 노선은 가넷 바로 남쪽까지 동시 운행되며, US-169는 우회도로에서 북동쪽으로 갈라진다. US-169는 이 우회도로에서 시작하여 6번가까지 US-59와 K-31을 따라 북쪽으로 가는 비즈니스 루트를 가지고 있다. 여기, 버스. US-169는 동쪽으로 갈라지고 US-59와 K-31은 북쪽으로 이어진다. K-31과의 동시통행은 파크 스트리트에서 서쪽으로 K-31 포크가 이어지고 US-59가 도시를 떠나면서 북부 가넷에서 끝난다.[8]
가넷 북쪽, US-59는 서쪽으로 약간 구부러져 몇 개의 작은 호수를 우회한 다음 북쪽으로 계속 나아가 프랭클린 카운티로 들어간다. 카운티 라인의 바로 북쪽에 US-59가 서부지역을 관통하는 리치몬드의 작은 공동체가 있다. 여기서 북쪽으로 몇 마일 떨어진 곳에서는 커브길이 북서쪽으로 고속도로를 타고 북쪽으로 프린스턴 시로 향한다. 이 노선은 프린스턴을 거쳐 북쪽으로 계속되며, 35번 주간 고속도로(I-35)와 미국-50번 교차로 근처 오타와로 진입한다. 이 교차로에서 US-59는 두 노선과 동시에 고속도로가 된다. 고속도로는 순간적으로 동쪽으로 흐른 뒤 북쪽으로 커브를 돌면서 K-68과 US-50의 사업로를 교차한다. 이 인터체인지의 북쪽, 노선은 동쪽으로 굽어 있으며, US-59는 트럼펫 인터체인지에서 I-35와 US-50을 떠난다.[8]
캔자스 주 북동부
오타와에서 로렌스까지
I-35/US-50을 떠난 후, US-59는 통제된 접근 고속도로로 북쪽으로 향한다. 이전까지 US-59는 2차선 도로로 오타와를 거쳐 로렌스까지 달렸었다. 높은 사고율 때문에, US-59의 이 구간은 분할된 고속도로로 전환되었고, 이 프로젝트는 2012년에 완공되었다. 옛 도로는 프랭클린과 더글러스 카운티로 넘어갔고, 더글러스 카운티 부분은 더글러스 카운티 고속도로 1045로 재지정되었다.
US-59 고속도로는 시골 프랭클린 카운티를 지나 더글러스 카운티로 건너간다. 카운티 라인에서 북쪽으로 3마일 떨어진 이 곳은 볼드윈 시에서 서쪽으로 약 4마일 떨어진 US-56과 교신이 가능하다. 쾌적한 그로브(이전의 얼라인먼트가 정착지를 통과함)의 비법인 공동체를 우회한다. 로렌스 남쪽, 더글러스 카운티 458번 고속도로가 US-59와 동시에 2마일을 연장한다. 이 인터체인지에 이어 고속도로가 등급 교차로로 하향 조정되며 제한속도는 시속 70~55mph로 떨어진다. CR-458이 등급 교차로에서 US-59를 떠난 후, US-59는 로렌스의 남쪽에 도달하여, South Lawrence Trafficway로 알려진 K-10을 가로지른다. 이 도로의 서쪽은 클린턴 호수, 캔자스 턴파이크, 렙톤으로 향하며, 동쪽은 올라테와 리네사를 향해 갈라진 고속도로로 향한다. 2016년 11월 이전에 K-10은 도로 준공 문제로 소송으로 사우스 로렌스 교통로와 23번가 사이에 US-59와 합병되었다.
로렌스에서는 US-59가 아이오와 거리를 따라 운행하는데, 이 거리에는 많은 소매상점과 패스트푸드점이 있다. 23번가/클린턴 파크웨이 북쪽, US-59는 캔자스 대학의 서쪽 가장자리를 따라 달린다. 9번가를 건너면 캔자스 턴파이크에 접근하려는 여행객들은 US-59를 맥도날드 드라이브로 빠져나갈 수 있고, US-59는 US-40과 동시에 6번가에서 출발할 수 있다.
US-40/US-59는 로렌스 시내까지 6번가를 따라 동쪽으로 운행한다. 이 지점에서 고속도로는 북쪽으로 방향을 바꿔 캔자스강을 건너 노스로렌스 지구로 진입하는데, 이 도로가 노스 2번가와 노스 3번가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US-40/US-59는 턴파이크의 이스트 로렌스 광장에서 주간 70번 도로로 서명된 캔자스 턴파이크와 교류가 있다. 그 후, US-40/US-59는 로렌스 시 경계선을 벗어나게 된다.
로런스 토 애치슨
로렌스를 떠난 후, US-40/US-59는 현지에서 "테피 분기점"으로 알려진 교차로에서 US-24와 만난다. US-40은 통가녹시로 가는 도중에 US-24 EB와 합류하고, US-59는 오스칼루사와 토페카로 가는 도중에 US-24 WB와 합류한다. US-24/US-59는 더글러스/제퍼슨 카운티 노선을 가로지르면서 유니온 퍼시픽 철도와 북서쪽으로 평행하게 운행한다. 그리고 나서 그 도로는 급격히 북쪽으로 돌다가 적당한 서쪽을 지나 지역 공동묘지를 지나 윌리엄스타운의 비법인 공동체에 접근한다. 이때 두 고속도로가 갈라져 US-24는 페리와 토페카 쪽으로 서쪽으로 계속 가고 US-59는 오스칼루사 쪽으로 북쪽으로 향하고 있다. 이전에, 이 교차로에는 윌리엄스타운과 마주친 매우 짧은 경로인 K-76도 포함되어 있었다. K-76은 2013년에 해체되었고, 모든 표지판과 그것에 대한 참조가 제거되었다.
Williamstown으로부터, US-59는 2차선 고속도로로서 북쪽으로 계속된다. 이 US-59는 토페카에서 레븐워스로 이어지는 명칭인 "The Iron Men Of Metz Highway"의 일부분이며, 윌리엄스타운과 오스칼루사 외곽의 K-16/K-92와의 분기점 사이의 US-59를 포함한다. 이 교차로에서 K-16과 K-92는 모두 US-59와 동시에 된다. 이 도로는 오스칼루사로 진입하고, K-92는 동시성을 남겨 페리호 쪽으로 서쪽으로 향하게 된다. US-59/K-16은 윈체스터 서쪽 K-192와의 접점을 만날 때까지 북쪽으로 계속 이동하며, 그 지점에서 K-16은 도로를 벗어나 밸리 폭포 쪽으로 서쪽으로 향한다. 여기서부터 US-59는 노턴빌까지 북쪽으로 계속된다. K-4의 동쪽 종착역을 형성한 후, 거의 즉시 에프링엄 북쪽으로 향하는 미국-159번 도로와 연결된다. 이후 US-59는 애치슨 카운티를 가로지르고, 카운티를 가로지르면서 더 북쪽의 항로를 취한다. 이 연장선의 대부분은 BNSF 철도와 평행하게 뻗어 있다. US-59는 애치슨에 입성해 서부를 관통하는 US-73과의 잘못된 동시통행의 일부가 된다. US-73은 US-59를 떠나 K-7과 동시에 남하하여 레븐워스까지 도달하기 때문에 이러한 동시성은 K-7과의 접점에서 끝난다. US-59는 마을의 나머지 지역을 통해 동쪽으로 계속 이동하며, 세인트루이스로 가는 도중에 아멜리아 이어하트 메모리얼 다리를 건너 미주리주 윈드롭으로 간다. 조셉
주요 교차점
모든 출구는 번호가 없다.
카운티 | 위치 | mi[1] | km | 목적지 | 메모들 |
---|---|---|---|---|---|
라벳 | 리치랜드 타운쉽 | 0.000 | 0.000 | ![]() | 오클라호마까지 계속 |
체토파 | 2.579 | 4.150 | ![]() | US-166 동시성 남단 | |
4.073 | 6.555 | ![]() | US-166 동시성 북단 | ||
오스위고 | 12.193 | 19.623 | ![]() | US-160 동시성 남단 | |
페어뷰-마운트 플레전트 읍내선 | 22.051 | 35.488 | ![]() | US-160 북단 동시성 | |
파슨스 | 34.145 | 54.951 | ![]() ![]() ![]() | 다이아몬드 인터체 | |
네오쇼 | 센터빌 타운쉽 | 44.658 | 71.870 | ![]() | K-47 동시성 남단 |
45.580 | 73.354 | ![]() | K-47 동시성 북단 | ||
이리 타운쉽 | 50.842 | 81.822 | ![]() | K-146의 서부 종착역 | |
빅 크릭 타운쉽 | 56.351 | 90.688 | ![]() | K-39 동시성 남단 | |
그랜트 타운쉽 | 61.525 | 99.015 | ![]() | K-201의 서부 종착역 | |
63.536 | 102.251 | ![]() | K-39 동시성의 북쪽 끝 | ||
앨런 | 모란 | 77.678 | 125.011 | ![]() | |
앤더슨 | 리치 타운쉽 | 88.778 | 142.874 | ![]() | K-31 동시성 남단 |
웰다워싱턴 읍내선 | 100.915 | 162.407 | ![]() | US-169 동시성 남단 | |
워싱턴 타운쉽 | 105.133 | 169.195 | ![]() ![]() ![]() ![]() | 우회전; 미국-169 동시성의 북쪽 끝; 미국-169 버스의 남쪽 끝 동시성 | |
가넷 | 106.554 | 171.482 | ![]() ![]() | 미국-169번 버스의 북쪽 끝 동시성 | |
107.205 | 172.530 | ![]() | K-31 동시성 북단 | ||
프랭클린 | 오타와 | 127.449 | 205.109 | ![]() ![]() | I-35의 남쪽 끝 / US-50 동시성, 고속도로의 남쪽 끝, 다이아몬드 교환, I-35 출구 183 |
해리슨 타운쉽 | 동일로15길 | 다이아몬드 교환, I-35 출구 185 | |||
오타와 | ![]() | 다이아몬드 교환, I-35 출구 187 | |||
오타와 타운쉽 | 133.025 | 214.083 | ![]() ![]() | I-35의 북단 / US-50 동시성, I-35 출구 188, 트럼펫 교환 | |
몬태나 로드 | |||||
헤이스 타운쉽 | 아이젠하워 테라스(구 US 59) | 북쪽 방향 출입구 및 남쪽 방향 출구만 | |||
스태퍼드 로드 | |||||
더글러스 | 윌로우 스프링스 타운쉽 | 143.869 | 231.535 | ![]() | 보충 신호는 US-56이 Baldwin City와 Burlingame, 다이아몬드 교환 서비스도 제공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
147.369 | 237.167 | ![]() | |||
와카루사 군 | 151.033 | 243.064 | ![]() | CR-458 동시성의 남쪽 끝, 고속도로의 북쪽 끝 | |
152.702 | 245.750 | ![]() | CR-458 동시성의 북쪽 끝 | ||
![]() | 이전부터 서쪽으로 향하는 K-10에 한함; S. 로렌스 교통로의 동부 지역은 2016년 11월 8일에 개통됨 | ||||
로렌스 | 157.130 | 252.876 | ![]() ![]() ![]() ![]() ![]() | 맥도날드 박사와의 교환, 미국-40과 교차로, 미국-40의 남쪽 끝 동시성 | |
158.449 | 254.999 | 캔자스 강 상공의 미국 40, 59 교량 | |||
159.738 | 257.073 | ![]() ![]() | I-70 출구 204 | ||
그랜트 타운쉽 | 160.368 | 258.087 | ![]() ![]() | US-40 동시성의 북단, US-24 동시성의 남단 | |
제퍼슨 | 윌리엄스타운 | 168.719 | 271.527 | ![]() | US-24 동시성 북단 |
오스칼루사 타운쉽 | 178.850 | 287.831 | ![]() ![]() | K-16 / K-92 동시성 남단 | |
오스칼루사 | 179.810 | 289.376 | ![]() | K-92 동시성의 북쪽 끝 | |
제퍼슨 타운쉽 | 187.916 | 302.421 | ![]() ![]() | K-16 동시성의 북쪽 끝 | |
노턴빌 | 193.589 | 311.551 | ![]() | K-4의 동쪽 종착역 | |
193.888 | 312.032 | ![]() ![]() ![]() | US-159의 남쪽 종착역, K-4 알트의 동쪽 종착역. | ||
애치슨 | 센터 타운쉽 | 198.928 | 320.144 | ![]() | K-116의 동쪽 종착역 |
섀넌 타운쉽 | 208.247 | 335.141 | ![]() ![]() ![]() | US-73 동시성 남단, K-7 북쪽에 북쪽 방향만 서명 | |
애치슨 | 209.660 | 337.415 | ![]() ![]() ![]() | US-73 동시성 북단 | |
미주리 강 | 210.440 | 338.670 | 아멜리아 이어하트 다리; 캔자스-미수리 주 라인 | ||
![]() | 미주리주까지 계속 | ||||
1.000 mi = 1.609 km, 1,000 km = 0.621 mi |
참조
- ^ a b c "Pavemen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Kansa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Retrieved January 5, 2013.
- ^ GeoKansas (May 2, 2005). "Osage Cuestas". University of Kansas. Retrieved January 8, 2013.
- ^ GeoKansas (April 29, 2005). "Glaciated Region". University of Kansas. Retrieved January 8, 2013.
- ^ Kansa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May 8, 2009). "Resolution Designating City Connecting Links in State Highway System". Topeka: Kansa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Retrieved September 12, 2020.
- ^ Kansa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February 2, 2007). "Resolution Designating City Connecting Links in State Highway System". Topeka: Kansa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Retrieved September 12, 2020.
- ^ Kansa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December 11, 2009). "Resolution Designating City Connecting Links in State Highway System". Topeka: Kansa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Retrieved September 12, 2020.
- ^ a b Kansa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December 28, 2010). Kansas Railroad Map 2011 (PDF) (Map). Topeka: Kansa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Retrieved January 8, 2013.
- ^ a b c Google (January 8, 2013). "U.S. Route 59 in Kansas" (Map). Google Maps. Google. Retrieved January 8, 2013.
외부 링크
KML 파일(편집 • 도움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