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LTra(급속 운송)

ULTra (rapid transit)
히드로 공항의 울트라 포드

울트라(Ultra, Urban Light Transit)는 영국의 엔지니어링 회사 Ultra Global PRT(구 Advanced Transport Systems)에서 개발한 개인용 고속철도 PODCAR 시스템이다.[1][2]

2011년 5월 런던 히드로 공항에서 유일한 공공시스템이 개통됐다. 터미널 5와 공항 바로 북쪽에 위치한 업무용 승용차 주차장을 연결하는 3.9km(2.4mi) 노선에서 운행 중인 차량 21대로 구성됐다.[3]

공사비를 절감하기 위해 울트라에서는 주로 개방형 가이드웨이를 달리는 고무 타이어와 같은 기성 기술을 사용한다. 이 접근방식은 Ultra가 경제적이라고 믿는 시스템을 만들었다: 회사는 총 비용(차량, 인프라 및 제어 시스템)이 킬로미터당 300만 파운드에서 500만 파운드(0.62마일) 사이라고 보고한다.[4] 이와는 대조적으로 히드로 구축에는 3.8km(2.4mi)의 가이드웨이에 3,000만 파운드가 들었다.

인셉션

이 시스템은 원래 마틴 로슨과 그의 디자인 팀에 의해 설계되었다. 로슨은 이 프로젝트에 천만 파운드를 투자했다. 그는 카디프에 ATS(Advanced Transport Systems)를 만들어 시스템을 개발했고, 그 부지는 나중에 시험 트랙의 위치가 되었다. Ultra는 영국 국립 과학 기술 예술 기금 (NESTA)으로부터 두 번 재정 지원을 받았다.[5] 울트라에 대한 초기 연구의 대부분은 1990년대 브리스톨 대학의 항공우주공학부에 의해 수행되었다. 최근에는 1차 사업 때문에 'Ultra PRT Limited'로 이름을 바꾸고, 법인 본사를 브리스톨로 옮겼다.

배경

과거 PRT 설계

개인 고속 교통은 원래 전통적인 지하철 시스템의 건설 비용을 지불하기에는 밀도가 너무 낮은 지역에서 통근자들을 이동시킬 필요성에 대한 대응으로 1950년대에 개발되었다. 자동 안내를 사용하면 헤드웨이를 몇 초 또는 심지어 몇 초까지 단축할 수 있다. 이는 경로 용량을 증가시켜 차량이 훨씬 더 작아지지만 주어진 시간 동안 동일한 승객 부하를 운반할 수 있게 한다. 소형 차량에는 보다 단순한 "트랙"과 소형 스테이션이 필요하게 되어 자본 비용이 절감될 것이다. 전통적인 대중 교통 시스템에 자금을 대는 것을 결코 기대할 수 없는 작은 마을과 도시들은 PRT를 감당할 수 있었고, 그 개념은 강렬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수많은 PRT 시스템은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초반에 설계되었으며, 많은 것들이 매우 중요한 HUD 보고서의 발표 결과로 인해 설계되었다. 일반적으로 이 시스템은 4~6인승 소형 차량을 사용하도록 설계되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대부분 대형 설계로 진화했다(Alden staRCAR 참조). 그럴수록 차량과 선로는 무거워지고 자본비용은 올라가고 이자는 떨어졌다. 결국 이 개념을 증명하기 위한 정부출연 시범 시스템인 1975년 모간타운 W.Va PRT는 단 하나의 생산 PRT 시스템이 구축되었다. 원래 흰 코끼리로 조롱받던 모간타운 시스템은 그 이후 신뢰성이 높고 상대적으로 비용이 적게 든다는 것을 입증했다.[6]

울트라

1975년 Morgantown 시스템이 설치된 이래, 일반적인 기술 개선은 PRT 시스템의 비용을 낮추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이어졌다. 가장 단순하지만 심오한 방법 중 하나는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이며 빠르게 충전되는 배터리 시스템의 개발이었다. 구형 PRT 시스템은 기존 지하철과 같이 선로측 도체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사용했지만, 이 시스템은 중앙역이나 노선을 따라 작은 충전 스트립에서 빠르게 충전되는 배터리를 선호하여 제거할 수 있다. 또 다른 변화는 중앙집중화된 컴퓨터에서 극적으로 성능이 개선된 온보드 시스템으로 유도 로직을 이동시켜 차량이 스스로 방향을 잡고 경로 사이를 전환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차량을 조종할 수 있는 선로 장착형 기더레일이 필요하지 않다(예: 포드 ACT 참조). 이러한 변화는 차량이 더 이상 가이드웨이에 강한 기계적 접촉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복잡성이 극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울트라(Ultra)의 경우 가이드웨이는 주차장에서 발견되는 범퍼와 유사한 2열 정도의 평행한 콘크리트 장벽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차량은 이 장애물을 미세한 안내에만 사용한다. 장애물을 수동적으로 따라가면 곡선 주위로 스스로 방향을 잡을 수 있다. 내부 지도를 바탕으로 차량이 노선 간을 스스로 선회할 수 있기 때문에 트랙에는 "전환"이 필요하지 않다. 이 차량들은 배터리로 작동하기 때문에 트랙을 따라 전기화할 필요가 없다. 즉, 이 차량은 역에 주차할 때 충전된다. 그 결과, 트랙터는 일반 노면과 복잡성이 유사하며, 경량 노면도 트랙터 트레일러의 정도까지 차량의 중량이 다양하지 않기 때문이다. 심지어 역도 매우 단순화된다. 지상 트랙의 경우, 실질적인 기반시설이 부족하면 차량이 어떤 연석에서도 정차할 수 있다. 히드로의 역들은 대각선 슬롯이 있는 주차장처럼 생겼고, 주유소의 차양과 비슷한 비막이 있다.

히드로 공항의 첫 번째 상업 시스템 개발의 일환으로, 2005년에 공항 소유주인 BAA Airports Ltd.는 회사의 25%를 구입했다.[7] 그것의 성공적인 출범에 따라, 현재 공항의 나머지 부분과 심지어 공항의 많은 직원들이 있는 가장 가까운 마을인 Staintes-upon-Thames까지 그것을 확장할 계획이 있다.[8]

설명

차량

전기자동차는 4개의 좌석을 갖추고 있으며, 적재량이 1,100파운드(500kg)에 달할 수 있으며 최대 20%의 경사로에서 시속 40km(25mph)로 주행하도록 설계되었지만, 동사는 승객의 편안함을 개선하기 위해 운행 경로를 10% 경사로 제한하자고 제안했다. 이 차량들은 승객들 외에 휠체어, 쇼핑 트롤리, 그리고 다른 짐을 수용할 수 있다.

각 포드는 4개의 자동차 배터리로 구동되며,[9] 평균 2kW의 전력을 공급하고 차량의 총 중량에 8%를 더한다. 기타 사양에는 10m(33ft)의 거리에서 측정했을 때 5m(16ft) 회전 반지름, 승객 킬로미터당 0.55MJ의 에너지 요구사항, 시속 21.6km(13.4mph)의 주행 소음 수준이 포함된다.

그 회사는 또한 화물 버전에 대한 디자인을 개발했다. 승객 버전과 외관은 같지만 내부 공간 전체가 화물 캡슐을 유치하도록 개조됐다. 그것들은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소량의 화물을 운송할 수 있는 공항 환경에서 유용할 수 있다.

제어 기술

Ultra에 따르면, 제어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특징으로 세 가지 수준의 별도 작동을 가지고 있다.

중앙 동기식 제어

  • 탑승자에게 차량을 즉시 할당
  • 정해진 경로와 타이밍을 따라 목적지에 도착하도록 지시
  • 차량 간에 상호 작용이 없도록 보장
  • 빈 차량 관리

자율차량제어

  • 중앙 동기식 제어로부터 명령 수신
  • 레이저를 지속적으로 사용하여 차량 위치와 방향을 확인하여 포드 위치를 목적지까지 이동

자동 차량 보호 시스템

  • 철도 등 고정형 블록 신호방식 기반
  • 가이드웨이에 설정된 유도 루프는 차량의 센서와 상호 작용함
  • 각 차량이 움직이기 위해 일정한 "진행" 신호를 수신해야 함
  • 각 포드 바로 뒤에 있는 영역에서 신호가 금지되어 접근 중인 다른 장치를 자동으로 정지시킨다. 이 신호는 제어의 다른 층과 독립된 페일 세이프 시스템을 제공한다.

테스트 트랙

카디프의 Ultra PRT 테스트 트랙.

카디프의 1km(0.62mi) 시험 트랙은 2002년 1월에 발사되었다. 시험 트랙을 위한 400만 달러의 자금은 영국 정부의 다양한 출처에서 나왔다. 시간당 최대 25마일(40km/h)의 속도로 작동하는 전기 자동차 한 대가 시연되었다. 정확한 정지가 입증되었고, 차량은 가파른 경사로를 오르내렸다. 초보적인 지상 1층 정거장이 보였다.

시험선로 안내로는 대부분 지상에 있다. 상업적 어플리케이션에서는 가이드웨이의 90% 이상을 상향 조정해야 할 수 있다고 명시되어 있다. 고가도로의 폭은 약 1.5미터(4피트 11인치)이다. 19.8km(12.3mi)의 가이드웨이(89% 상승)로 구성된 가상의 도시 기반 설치 연구에 따르면, 선로 및 관련 토목공사 총 비용은 킬로미터당 290만 파운드(870만 달러/mi)로 추정된다. 역당 비용은 048만 파운드(089만 달러)로 추산되었다. 차량 비용은 연구에서 고려되지 않았다.[10]

배포

히스로5번길

히드로 포드
ULTraPodHeathrowAirport.jpg
작전
차량수22
기술
시스템 길이3.8km(2.4mi)
히드로 포드 지도

Disabled access 모든 역은 무단계 접속이 가능하다.

주차 B
창고에 넣다
주차 A
포드 워시
터미널 5로/터미널에서 출발

첫 번째 시스템은 2010년 10월에 히드로 제5터미널에서 승객 시험을 시작했으며, 2011년 5월에 하루 22시간, 주 7일, 완전 승객 서비스를 위해 개통되었다.[4] 2012년 5월의 운영 통계는 10초 동안 99% 이상의 신뢰성과 평균 승객 대기 시간을 보여준다. 울트라드는 런던 교통상과[11][12] 브리티시 파킹 어워즈로부터 다수의 상을 받았다.[13]

그것은 공항의 소유주이자 운영자인 히드로 공항 홀딩스를 대신하여 건설된 3.9 킬로미터(2.4 mi)의 노선으로 히드로 터미널 5와 공항 바로 북쪽에 있는 업무용 승용차 주차장을 연결한다.[14][15] 그 시스템은 개발하는데 3천만 파운드가 들었다.[16]

가이드웨이는 2008년 10월에 완공되었다. 이 노선은 크게 상승되어 있지만, 공항의 북쪽 활주로에 접근하여 노선이 통과하는 지상 구간을 포함한다. 터미널 5의 주차장에 2개의 포드 스테이션과 1개의 스테이션이 있는 3개의 스테이션은 게블러 토스 아키텍트가 설계했으며, 승객들이 여행 중 목적지를 선택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도 함께 설계했다. 공항 직원을 시험 승객으로 이용한 일부 등 각종 재판에 이어 2011년 5월 여객 재판으로 일반에 공개된 노선이다.[17][18][19] 이후 완전 운행에 들어갔고, 비즈니스 주차장과 제5터미널 사이의 버스 운행이 중단되었다.[20] 포드 자동차는 버스보다 50% 적은 에너지를 사용하고 하루에 22시간을 운행한다. 왼쪽을 운전하는 거의 모든 영국의 도로와 철도 교통과 달리, PRT 시스템은 오른쪽을 운전한다. 2013년 5월 현재 이 시스템은 60만 명의 승객 대기록을 통과했다.[21]

개발자들은 이용자의 95%가 1분 미만을 기다리며 평균 12초 가량 대기할 것으로 예상했는데, 이는 시간당 최대 40km(25mph)로 이동하게 된다.

2018년 5월 현재 21개의 꼬투리가 하루에 1,000명 이상의 여행객을 태우고 있다.[22]

청두톈푸 국제공항, 중국 (시운전 대기 중)

2018년 청두 톈푸 신공항에 PRT 시스템이 설치될 것이라는 발표가 있었다. 이 시스템은 6마일(9.7km)의 가이드웨이, 4개의 스테이션, 22개의 포드 등을 포함할 것이며, 두 터미널 건물에 원격 주차 공간을 연결할 것이다. Ultra-MTS에서 공급하고 있다. 공항은 2021년 6월 27일에 개항했다. 2021년 8월 현재 PRT가 운영을 시작했다는 보고는 없다.[23]

제안.

인도 유대인 국제공항(제안)

2021년 3월, 노이다의 제안된 영화 도시로부터 다가오는 유대인 국제 공항까지 PRT 시스템이 설치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

아랍에미리트 아즈만시티(제안, 계약서)

2017년 7월,[24] Ultra-Fairwood(공동기업)가 아즈만 시티의 시스템 구축을 위해 아즈만 정부와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제안된 네트워크는 총 경로 길이 76km(47mi)를 포함하여 총 120km(75mi)의 선로를 포함하며 115개 역에 걸쳐 있다. 이는 1745대의 차량으로 구성된 기단이 서비스할 것이며, 하루 164만 건의 승객 수송이 예상되는 시스템 용량을 제공한다. 이 시스템은 두 개의 중복 네트워크로 구성될 것이다. 그 중 첫 번째는 6개의 좌석 차량이 고가 역이 있는 고가 가이드웨이를 운행하는 PRT 시스템이다. 두 번째는 30대의 좌석 차량이 주로 지상 역과 같은 등급으로 운행되는 그룹 고속철도(GRT)이다. 이 차량들은 인도의 한 공장에서 생산될 것이다. 프로젝트의 총 가치는 7억 2천 3백만 달러 상당의 Ultra-Fairwood가 공급하는 시스템 비용 8억 8천 1백만 달러다.[25]

인도 구루그램(제안)

2010년 3월, 하리아나 정부는 구루그램 시에 신속한 통근수송을 위한 울트라 구축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도시는 약 100 킬로미터(62 mi)의 총 거리를 커버하기 위해 10개에서 12개 이상의 개별 노선을 검토하고 있다.[26]

2012년 7월, 하리아나 촌장은 관계자들에게 "향후 3개월 안에 필요한 모든 수속을 마치고 프로젝트에 착수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27] 니틴 가드카리 인도 교통부 장관은 2016년 10월 경쟁 기술제안 4건이 접수됐으며 이 시스템은 여전히 승인과 재정입찰 대상이었다고 밝혔다.[28]

ULTra는 2017년 1월 스카이트란, 메트리노와 함께 구루그램, 벵갈루루 등 3개 기업 중 하나로, 구루그램, 벵갈루 등에 PRT 기술을 평가하기 위한 테스트 트랙 구축이 승인됐다.[29] 그 회사들은 그들 스스로 그 건설에 자금을 댈 필요가 있을 것이다. 2017년 8월 현재 메트리노는 경쟁에서 물러나고 공사가 시작되지 않았지만 재판은 계속 진행될 예정이다.[30]

Heathrow New PRT(이해된 제안)

2013년 5월 히드로 공항 유한회사는 5개년(2014~2019년) 기본계획 초안의 일환으로 PRT 시스템을 사용하여 터미널 2와 터미널 3을 각 비즈니스 주차장에 연결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21] 이 제안은 다른 자본 프로젝트에 지출 우선순위가 주어지기 때문에 최종 계획에 포함되지 않았고, 연기되었다.[31]

PRT를 공항 전역으로, 400개의 팟을 이용해 인근 호텔까지 확대할 계획도 있었다.[15]

인도 암리차르(제안 실패)

2011년 12월, Ultra-Fairwood(합작 벤처기업)는 인도 암리차르의 "Y"자형 네트워크에 8km(5.0mi)의 고가 가이드웨이를 건설하는 계획을 발표하여 7개 역에 200개가 넘는 팟을 설치하였다. 그 네트워크는 기차역, 버스정류장, 황금사원을 연결할 것이다. 당초 예상은 오전 4시부터 자정까지 하루 최대 10만 명의 승객이 탑승할 것으로 예상돼 관람객의 35%가 황금사원을 찾을 것으로 보인다. 이 시스템은 2014년까지 '빌드, 소유, 운영, 전송'(BOOT) 기준으로 민간 금융을 통해 완료될 것으로 예측되었다.[32]

불청객 입찰은 지자체가 진행하기로 해 발표했고, 기초석이 깔렸다. 제안된 노선은 특히 홀 바자르에서[33] 일부 사업체로부터 이의신청을 받았고 이후 노선이 변경되었는데, 카트라 자말 싱 지역은 철도역과 사원 사이의 노선에서 하차되었다.[34][35]

2013년 3월 펀자브 정부는 스위스 챌린지 방식으로 경쟁입찰에 개방하겠다고 발표했다. Ultra-Fairwood는 입찰이 예상되었던 3개 공급사 중 한 곳이었다.[36] 보도에 따르면 정부는 2013년 6월 말까지 입찰에 대한 최종 결정을 내릴 예정이다.[37]

2014년 6월 저렴한 고속버스 환승시스템으로 대체하기 위해 폐지됐다. [38]

참조

  1. ^ "Company Information". Ultra corporate websit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March 2012. Retrieved 18 May 2013.
  2. ^ "ULTra ™ (Urban Light Transit)" (PDF). Corporate brochure. 1 June 2009. Retrieved 18 May 2013.
  3. ^ "Heathrow T5". Ultra Global website. 5 September 2011. Retrieved 18 May 2013.
  4. ^ a b "ULTRA FAQ" ULTra PRT 사이트의 Wayback Machine에 2007년 10월 11일 보관
  5. ^ "Martin Lowson, Advanced Transport Systems Ltd 수상자 프로필" 웨이백 머신 NESTA 이정표에 2006년 9월 26일 보관
  6. ^ Hamill, Sean D. (11 June 2007). "City's White Elephant Now Looks Like a Transit Workhorse". The New York Times.
  7. ^ "Heathrow Tests Personal Rapid Transit System"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4 March 2016.
  8. ^ "News". Airport-world.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August 2012. Retrieved 12 July 2013.
  9. ^ "ULTra PRT Fully Charged". YouTube. 1 August 2012. Retrieved 12 July 2013.
  10. ^ A.D. Kerr, P.A. James (Ove Arup and Partners), C.V. Cook, A.P. Craig (ATS Ltd.) (May 2005), Infrastructure Cost Comparisons for PRT and APM, ASCE 1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utomated People Movers{{citation}}: CS1 maint : 복수이름 : 작성자 목록(링크)
  11. ^ "Heathrow pod recognised at London Transport Awards". Ultra. 22 March 2012. Retrieved 19 December 2015.
  12. ^ "Inspiring Transport Projects Rewarded at London Transport Awards Ceremony". Transport Times. Retrieved 19 December 2015.
  13. ^ "British Parking Awards 2012". British Parking Awards. Retrieved 19 December 2015.
  14. ^ Rodgers, Lucy (18 December 2007). "Are driverless pods the future?". BBC News. Retrieved 18 December 2007.
  15. ^ a b Dodson, Sean (11 October 2007). "Welcome to the transport of tomorrow". The Guardian. Guardian News and Media Limited. Retrieved 13 June 2011.
  16. ^ Hicks, Melanie (12 September 2011). "Heathrow: Driverless ULTra Pods Replace Buses At Terminal 5". Huffington Post.
  17. ^ "Heathrow rapid transit guideway construction completed". Transport Briefing. 23 October 2008. Retrieved 24 October 2008.
  18. ^ "Videos". ULTra PR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June 2011. Retrieved 13 June 2011.
  19. ^ "Heathrow Pod Passenger Trials Begin". ULTra PR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July 2011. Retrieved 13 June 2011.
  20. ^ "Taking a ride on Heathrow's ULTra Personal Rapid Transit System".
  21. ^ a b "Heathrow announces plans for an additional Personal Rapid Transit (PRT) system". 13 February 2013.
  22. ^ Phenix, Matthew (10 May 2018). "Curious About Driverless Cars? Make This Easy Heathrow Detour AFAR". www.afar.com. Retrieved 17 July 2019.
  23. ^ "Chengdu Tianfu International Airport PRT System". ATRA Pulse. ATRA. Retrieved 10 June 2021.
  24. ^ "Fairwood joins hands with UK's Ultra for urban mobility". The Economic Times. Retrieved 19 July 2017.
  25. ^ "Ultra Fairwood to build the world's largest autonomous vehicle transportation system in the UAE". Traffic Technology Today.com. 4 July 2017. Retrieved 20 January 2019.
  26. ^ Hitender Rao, "Heathrow 이후, Pod Cars는 Millennium City를 강타할 수 있다" 2011년 1월 22일 Hindustan Times, Wayback Machine, 2010년 2월 18일 기록
  27. ^ "CM puts pod taxi project on fast trac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October 2012.
  28. ^ "Metrino Driverless Pod Taxis To Come Up In Delhi-Haryana: Government". New Delhi Television. Retrieved 5 July 2017.
  29. ^ "Global companies get go-ahead for pod taxi experiments in India". Live Mint. 31 January 2017. Retrieved 1 September 2017.
  30. ^ "BBMP FINDS A POD-HOLE, NEEDS RS 10 LAKH TO FIX IT". Bangalore Mirror. 24 August 2017. Retrieved 1 September 2017.
  31. ^ "My Pods". Futureairports. 2014 (1): 61. Retrieved 8 September 2014.
  32. ^ "Amritsar, India". Ultra Global website. 22 December 2011. Retrieved 18 May 2013.
  33. ^ "20-feet magnetic track to throw our business off track, fear traders".
  34. ^ "Amritsar PRTS route changed again, Municipal Commissioner says Katra Jaimal Singh area dropped from plan on residents' demand".
  35. ^ "Holy city's PRTS project inching towards reality".
  36. ^ "Amritsar all set to get rapid 'pod' cars".
  37. ^ "Sukhbir reviews Amritsar development project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June 2013.
  38. ^ "Amritsar BRTS to get operational by December Chandigarh News - Times of India".

원천

  • 이사야 리트박과 크리스토퍼 모울, 1982년 교통분야 토론토 대학/요크대 공동과정 "LRC(Light-Rapid People) 열차와 중간용량 수송시스템(ICS): 도시교통장비 제조업 혁신의 2가지 사례 연구"

외부 링크

좌표: 51°28′45″N 0°29′16″w / 51.479287°N 0.487687°W / 51.479287; -0.4876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