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임시 행정부
United Nations Temporary Executive Authority서뉴기니 | |||||||||
---|---|---|---|---|---|---|---|---|---|
1962–1963 | |||||||||
![]() | |||||||||
상황 | 유엔총회 부속기관[1] | ||||||||
자본의 | 올란디아[2] | ||||||||
공용어 | 더치 영어 파푸아어족 오스트로네시아어족 | ||||||||
관리자 | |||||||||
• 1962–1963 | Jalal Abdoh | ||||||||
역사시대 | 냉전 | ||||||||
• 설립 | 1962년 10월 1일 | ||||||||
• 불성립 | 1963년 5월 1일 | ||||||||
통화 | 더치뉴기니굴덴 | ||||||||
|
유엔의 관리를 받는 서뉴기니는 1962년 10월 1일부터 1963년 5월 1일까지 네덜란드와 인도네시아 정부가 1962년 8월에 체결한 뉴욕 협정 제2조에 따라 서뉴기니가 유엔 임시 집행국(UNTEA)의 관리를 받은 기간을 말합니다.
유엔이 영토에 대한 직접적인 행정적 책임을 지는 것은 역사상 처음이었습니다(감시나 감독이 아닌). 유엔은 국가 차원에서 인권을 증진하고 보호할 책임이 있습니다. 유엔은 캄보디아(UNTAC), 크로아티아(UNTAES), 코소보(UNMIK) 및 동티모르(UNTAET)에서 유사한 임무를 수행할 것입니다.
역사
서부 뉴기니는 네덜란드의 독립을 인정한 후 네덜란드와 인도네시아 사이의 정치적 분쟁의 초점이 되었습니다. 인도네시아 측은 자국의 영토라고 주장했고 네덜란드 측은 자국민이 인도네시아인이 아니며 네덜란드가 자결권을 가질 수 있을 때까지 네덜란드령 뉴기니로 계속 관리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1959년 5월, 미국 외교관은 "제한된 기간 동안 그 영토에 대한 특별 유엔 신탁통치령"을 사용하는 계획을 제안했고,[3] 1961년 3월, 미국은 미국의 주권을 인도네시아에 넘겨줄 것을 제안했습니다. 자카르타 주재 대사관은 "인도인들은 어떤 상황에서도 유엔 신탁통치는 하나의 주제가 될 것이라고 주장한 적이 있습니다. 지금은 신탁통치를 신탁통치라고 부를 정도까지는 가지 못했지만, 그들은 일종의 '1년 또는 2년'을 수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야기합니다.[4] 네덜란드는 식민지를 인도네시아로 직접 이전하는 것을 거부했고 트리코라 작전이 진행 중이던 1962년 유엔에 자결권을 요구했습니다.[5] 8월 15일, 인도네시아와 네덜란드는 임시 유엔 행정부를 통한 이전을 공포한 뉴욕 협정에 서명했습니다.
유엔 총회는 1752년 9월 21일 총회 결의에서 협정을 승인하고 행정을 수용했습니다.[6] 유엔 행정부는 1962년 10월 1일에 발효되었습니다.
1963년 5월 1일에 권력 이양이 이루어졌고 서뉴기니는 서이리안(이리안 바라트)으로 알려진 인도네시아의 한 주가 되었습니다.[7] 권한 이양에 따라 엘리아스 얀 보나이 뉴기니 평의회 의원이 초대 인도네시아 주지사로 임명되기로 합의했습니다.[citation needed] 후에 현재의 파푸아 주, 남서 파푸아 주, 중앙 파푸아 주, 남 파푸아 주, 하이랜드 파푸아 주, 서 파푸아 주로 진화했습니다.
행정부.
민사행정
뉴욕 협정에 따라 UNTEA는 법을 제정하고 정부 관리를 임명하며 법과 질서를 보장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허가는 법원 시스템, 뉴기니 의회 및 지역 의회의 설립으로 이어졌습니다.[8] 관보는 1062년 10월 1일에 제정되었습니다.[9] 7개월의 과도기 동안 네덜란드 공무원들과 공무원들은 천천히 네덜란드로 소환되었고 UN, 현지 및 인도네시아 공무원들로 대체되었습니다.
1961년 1월에 처음 선출된 뉴기니 의회는 1962년 12월 4일 행정관에 의해 다시 소집되었고 회원국들은 UNTEA에 충성을 맹세하며 새로운 취임 선서를 했습니다. 관리자는 발생할 수 있는 공석을 채우기 위해 새로운 위원회 구성원을 임명할 권한이 있었습니다. 11개의 지역 의회도 설립되었습니다.[10]
사무소주
관리자
UNTEA는 처음에는 1962년 10월 1일부터 11월 15일까지 과테말라의 호세 롤즈-베넷 행정관 대행이 이끌었고, 그 후 1962년 11월 15일부터 1963년 5월 1일까지 행정관을 지낸 이란의 잘랄 압도 가 이끌었습니다.
No. | 초상화 | 이름. (출생-사망) | 임기 | ||
---|---|---|---|---|---|
취임 | 레프트 오피스 | 재임시간 | |||
- | 호세 롤즈-베넷 | 1962년 10월 1일 | 1962년 11월 15일 | 45일 | |
1 | ![]() | Jalal Abdoh | 1962년 11월 15일 | 2063년 5월 1일 | 167일 |
국제관계
네덜란드, 인도네시아, 호주 정부는 올랜도에 연락사무소를 설치했습니다.[11][12]
보안 및 법 집행
유엔은 민사 행정 외에도 유엔 보안군(UNSF)을 통해 평화 유지 역할도 수행했습니다. 최대 병력은 보병 1,500명과 항공기 76명이었습니다. 파키스탄, 캐나다, 미국이 병력을, 파키스탄이 병력 1,500명을, 미국과 캐나다가 공군 병력 60명과 16명을 각각 지원했습니다.[13] 1961년 네덜란드가 창설한 현지 모집 파푸안 봉사단도 UNSF 지휘 아래 놓였습니다.[14] UNSF의 사령관은 파키스탄의 사이드 우딘 칸이었습니다. 네덜란드 경찰관들이 떠난 후, 필리핀 경찰관들은 처음에 징집되었고, 마침내 UNTEA 지휘하에 있는 인도네시아 경찰관들로 대체되었습니다.[15]
우편 역사
UNTEA는 19개의 우표와 일부 우편 문구류를 발행했습니다. 이들은 네덜란드 뉴기니 발행의 기존 주식을 과대 인쇄하여 만들어졌습니다.[16] 모든 우표는 유엔 우편국에 의해 유엔 본부에서 팔렸고 소매 시장에서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 UNTEA 우표
참고 항목
참고문헌
- ^ Myung-Ki, Kim (1990). "Some Legal Problems Concerning Withdrawal of the United Nations Forces". The Journal of East Asian Affairs. 4 (2): 299. ISSN 1010-1608. JSTOR 23254021.
- ^ https://peacekeeping.un.org/sites/default/files/past/unsffacts.html
- ^ 미국의 대외관계, 1958-1960, 인도네시아, 제17권; 203. 주인도네시아 대사관에서 국무부로 파견
- ^ 미국의 대외관계, 1961-1963, 제XX권III, 동남아시아; 150. 주인도네시아 대사관에서 국무부로 텔레그램
- ^ Lopez-Reyes, Ramon (1995). "United Nations Zones of Peace Territories: A Proposal for Transforming the Trusteeship System". Peace Research. 27 (1): 78. ISSN 0008-4697. JSTOR 23607653.
- ^ McCorquodale, Robert; Robinson, Jennifer; Peart, Nicola (January 2020). "Territorial Integrity and Consent in the Chagos Advisory Opinion". International and Comparative Law Quarterly. 69 (1): 221. doi:10.1017/S0020589319000551. S2CID 212816137.
- ^ 1973년 3월 3일까지 사용된 이름입니다.
- ^ Kondoch, Boris (2001). "The United Nations Administration of East Timor". Journal of Conflict & Security Law. 6 (2): 252. doi:10.1093/jcsl/6.2.245. ISSN 1467-7954. JSTOR 26294294.
- ^ Childs, James B. (December 1963). "UNTEA Official Gazette. 1962 numbers 1–9, to 1963, number 17. Official Gazette of the United Nations Temporary Executive Authority, West New Guinea, West Irian. (Hollandia, West New Guinea, UNTEA, 1962–63. 5 nos. 62 leaves mimeographed.)".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57 (4): 1036. doi:10.1017/S0003055400283470. S2CID 152038960 – v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 ^ https://peacekeeping.un.org/sites/default/files/past/unsfbackgr.html
- ^ https://www.mpil.de/files/pdf2/mpunyb_gruss_9_97_126.pdf
- ^ https://peacekeeping.un.org/sites/default/files/past/unsfbackgr.html#four
- ^ Goodwin, Geoffrey L. (1965). "The Commonwealth and the United Nations". International Organization. 19 (3): 691. doi:10.1017/S0020818300012510. ISSN 0020-8183. JSTOR 2705876. S2CID 153884868.
- ^ https://www.mpil.de/files/pdf2/mpunyb_gruss_9_97_126.pdf
- ^ https://www.mpil.de/files/pdf2/mpunyb_gruss_9_97_126.pdf
- ^ "UNTEA (UNITED NATIONS TEMPORARY EXECUTIVE AUTHORI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February 2009. Retrieved 14 March 2010.
외부 링크
- 공식 UNTEA / UNSF 웹사이트
- 유엔서이리안 임시집행국(UNTEA) 기록(1962-1963)
- 타임지 1962년 10월
- 파푸안 자결 - 역사적 뿌리 XI
- 파푸안 자결 - 역사적 뿌리 XII
- UNTEA와 UNRWI: 1960년대 서뉴기니에 대한 유엔의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