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S 덴버(CL-58)

USS Denver (CL-58)
USS Denver
USS 덴버(CL-58) 1942년 12월경
역사
미국
이름덴버
네임스케이크콜로라도 덴버의 도시
빌더뉴저지 캠던 뉴욕조선공사
눕다1940년 12월 26일
시작됨1942년 4월 4일
후원자:미스 L. J. 스테이플턴
커미셔닝됨1942년 10월 15일
해체됨1947년 2월 7일
스트리킨1959년 3월
식별
명예와
상을 주다
운명1960년 폐기
일반적 특성
클래스 및 유형 클리블랜드급 경 순양함
변위
  • 11,744톤의 길이(11,932t) (표준)
  • 14,380 롱톤 (14,358 t) (최대)
길이
  • 610 ft 1 in (1998.95 m) oa
  • 608 ft (1968 m)pp
66피트 4인치(20.22m)
초안
  • 25ft 6인치(7.77m) (최대)
  • 25ft(7.6m)(최대)
설치된 전원
  • 4 × 634 psi 증기 보일러
  • 100,000 shp(75,000 kW)
추진
속도32.5kn(37.4mph, 60.2km/h)
범위15kn(17mph; 28km/h)에서 11,000nmi(20,000km)
보완1,190명의 장교와 사병
무장을
갑옷
  • 벨트: 3+12–5 인치(89–320 mm)
  • 데크: 2인치(51 mm)
  • 바베트: 6인치(150 mm)
  • 터릿: 1+12–6인치(38–152 mm)
  • 코닝 타워: 2+14–5 in (57–127 mm)
운반된 항공기플로트플레인 4대
항공시설선미 투석기 2개
서비스 기록
작업: 제2차 세계 대전
수상 내역: 해군부대 표창, 11 × 전투별
1942년 4월 4일, 뉴저지 캠던 뉴욕조선소에서 덴버 출시

USS 덴버(CL-58)는 클리블랜드급 경순양함이었다. 덴버는 1942년 4월 4일 뉴욕조선소, 뉴저지 캠든에 의해 출범했고, 덴버 시장의 딸인 미스 L. J. 스테이플턴이 후원했으며, 1942년 10월 15일 로버트 카니 선장이 지휘를 맡았다.[1] 그것은 콜로라도 덴버 시를 위해 명명된 두 번째 배였다.

서비스 이력

1943

블랙켓 해협 전투 중 발사된 총기

덴버는 1943년 1월 23일 필라델피아에서 배를 타고 2월 14일 뉴헤브리데스에파테에 도착했다. 토마스 다든이 지휘를 맡았다.[2] 이 새로운 순양함은 3월 6일 솔로몬 제도의 콜롬방가라에 있는 빌라의 폭격에서 처음으로 전투를 보았다. 이 행동 동안 그녀의 군대는 블랙켓 해협 전투에서 일본 구축함 마인구모무라사메를 교전시켜 침몰시켰다. 솔로몬스에서 작전을 계속하던 덴버는 6월 29~30일 뉴 조지아 주의 침공 상륙과 함께 발랄섬의 폭격에 가담했고, 그 후 순찰차 그 지역에 남아 있었다.[1]

1943년 10월 마지막 날 덴버부게인빌케이프 토로키나에서 상륙을 방해하려는 적군을 요격하기 위해 기동부대 39(TF 39)와 포트 푸르비스에서 정렬했다. 이에 따라 11월 1/2일 밤 발생한 황후 아우구스타만 전투에서 미국 함정은 적 경 순양함 1척과 구축함 1척을 침몰시켜 무거운 순양함 2척과 구축함 2척을 파손시켰고, 다른 적함 4척은 활동을 중단하고 퇴역했다. 집중 사격 도중 덴버는 다행히 폭발하지 않은 8인치(203mm)짜리 포탄 3발을 맞았다. 그녀는 해군부대 표창장에서 이 전투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친 공로로 자신의 부대에 상을 수여했다.[1]

덴버는 1943년 11월 10일~11일 토로키나 케이프(Kape Torokina)의 지지대 착륙을 취재했고, 이틀 뒤 중공 공격 중에 공중 어뢰에 맞아 전력과 통신이 모두 끊기고 부하 20명이 사망했다. 그녀는 수스에 의해 Purvis 항으로 예인된 후, 임시 수리를 위해 Ponee에 의해 에스피리투 산토로 예인된 후, 영구 수리를 위해 마레 섬으로 항해하여 1944년 1월 2일에 도착했다.[1]

1944

덴버는 6월 22일에 도착하여 에니웨톡에서 전진 지역으로 돌아왔다. 8일 후 마리안나스 침공 당시 보닌스마리안나스의 일본 기지를 무력화하기 위해 공격을 가하면서 그녀는 항모들을 해상 검열하기 위해 출항시켰다. 그녀는 7월 4일 이와지마에게 폭격을 가했고, 계속된 공중폭행을 심사한 후 8월 5일 에니웨톡으로 돌아왔다.[1]

덴버는 팔라우스의 침공을 위해 9월 6일 푸르비스 항에서 출항했다. 그녀는 9월 12일부터 18일까지 앙가우르섬을 폭격했고 9월 23일 울리티에 착륙하기 전에 지뢰제거, 정찰, 수중파괴 작전을 수행하는 기동부대를 취재했다. 그녀는 필리핀으로의 복귀를 준비하기 위해 9월 28일 마누스 섬으로 돌아왔다.[1]

덴버는 10월 12일 레이테 상륙을 위해 출발하여 술루안 섬둘라그를 폭격하여 레이테 만으로 들어가는 광대한 침략 함대의 길을 열게 한 다음, 남쪽 상륙 해변을 폭격하기 위해 항해를 계속했다. 일제가 상륙을 무산시키려는 필사적인 시도로 남은 전투함대의 주요 부분을 남쪽으로 보내자 덴버 일당은 10월 24일 일본 남부군의 레이테 만 통행을 막기 위해 수리가오 해협에 주둔했다. 전투선 앞에 배치된 모터 어뢰정과 구축함들이 공격을 가했다. 야마시로, 모가미, 시구레덴버와 전선의 다른 함선들이 0351로 포문을 열었을 때 일본 함선에 남아 있던 전부였다. 다른 순양함 3척과 함께, 야마시로를 침몰시킨 누적된 총성에 물질적인 공헌을 했다. 모가미는 후에 항공기에 의해 침몰되었고, 시구레레이테 만을 위한 결전의 이 단계를 위해 항해한 니시무라 함대의 유일한 생존자였다. 이 조치 이후 덴버는 10월 25일 이른 아침 아사구모를 침몰시키는 것을 도우며 생존해 있는 적 함정의 파괴를 돕기 위해 덴버는 항해를 했다.[1]

레이테 걸프에서 복무하면서, 그녀는 수많은 공격을 막아냈다; 10월 28일 중 한 때, 그녀가 쏜 비행기들 중 하나에서 나온 폭탄이 근처에서 폭발하여 작은 손상과 약간의 홍수를 일으켰다. 그녀는 11월에 강화 착륙을 심사했고 11월 27일에 가미카제 공격을 막아냈으며, 우현 분기점에서 200야드(180m) 떨어진 곳에서 폭발한 폭탄 파편에 4명의 남자가 부상을 입었다. 그녀는 12월 13-16일의 민도로 착륙을 위해 무거운 커버링 그룹에 합류한 후 12월 24일에 마누스로 돌아왔다.[1]

1945

1월 3일 산 페드로 만으로 돌아온 덴버는 다음날 링가이엔 만의 상륙을 취재하기 위해 정리했다. 그녀는 그 섬들의 통폐합에 동참하기 위해 필리핀에 남아 있었다. 그녀는 1월 29~30일 잠발레스의 착륙을 취재했고, 그란데섬 인근과 착륙을 지원했으며, 1월 31일 나수그부에서 화재를 지원했으며, 2월 1일부터 7일까지 보충 호송차를 민도로까지 호송했으며, 2월 13일부터 16일까지 매리벨레스 만 주변의 육군 착륙을 취재하며, 구축함 라발레트의 생존자들을 구출했다.;; 그리고 2월부터 5월까지 팔라완민다나오 제도에 대한 작전을 지원했다.[1]

6월 7일, 덴버브루나이 만, 보르네오 , 그리고 나중에 발릭파판에서의 수륙양용 공격을 위해 수빅베이를 항해했다. 그녀는 지뢰제거부대와 수중파괴팀의 사전침투 작업을 취재했고, 7월 4일 레이테주 산페드로만으로 복귀할 때까지 침략군에 대한 화력지원을 했다.[1]

덴버태스크포스 95의 일환으로 8월 7일까지 중국 연안에서 일본 선박을 사냥하기 위해 7월 13일 오키나와로 출항했다. 그녀는 와카야마 지역의 수용소에서 구출된 연합군 병력의 후송을 취재하기 위해 9월 9일 오키나와에서 출항했으며, 본국으로 출항한 9월 25일부터 10월 20일까지 와카노우라 완에 점령군이 상륙하는 것을 취재했다.[1]

덴버는 11월 21일 노르포크에 도착했고, 정비를 마치고 1946년 1월 로드아일랜드 뉴포트에 해군 예비군의 임무훈련을 보고했으며, 선의의 캐나다 퀘벡 방문도 했다. 4월에 그녀는 필라델피아 해군 조선소에 도착했고, 그곳에서 1947년 2월 7일 예비역에서 제외되었다. 1959년 3월 1일, 전 덴버는 1960년 2월 4일 26만689.89달러에 뉴욕시 유니언 광물합금회사에 매각되었고, 1960년 11월 뉴저지주 키어니에서 해체되었다.[1]

수상

덴버는 해군부대 표창 외에도 제2차 세계대전의 복무로 11명의 전투 스타를 받았다.[1]

참조

  1. ^ a b c d e f g h i j k l m "Denver II (CL-58)". Dictionary of American Naval Fighting Ships. Navy Department, Naval History and Heritage Command.
  2. ^ Morison, Samuel Eliot (2002). History of United States Naval Operations in World War II. Vol. 13: The Liberation of the Philippines--Luzon, Mindanao, the Visayas, 1944-1945. Urbana, Illinois: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p. 246. ISBN 0-252-07064-X.

이 글에는 공용 도메인에서 온 텍스트가 포함되어 있다. 미국 해군 전투함 사전이 항목은 여기에서 찾을 수 있다.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