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S 두부크 (LPD-8)
USS Dubuque (LPD-8)좌표: 47°33′10″N 122°39′09″w / 47.5527306°N 122.6523807°W
![]() | |
역사 | |
---|---|
![]() | |
이름 | USS 두부크 |
네임스케이크 | 아이오와 주 두부크 시 |
주문된 | 1963년 1월 25일 |
빌더 | 잉걸스 조선 |
눕다 | 1965년 1월 25일 |
시작됨 | 1966년 8월 6일 |
커미셔닝됨 | 1967년 9월 1일 |
해체됨 | 2011년 6월 30일 |
스트리킨 | 2017년 11월 13일 |
좌우명 | 우리 나라: 헤리티지와 미래 |
닉네임 | 마이티 8 |
명예와 상을 주다 |
|
상태 | 스트리킨, 최종 처리 보류 중 |
배지 | |
일반적 특성 | |
클래스 및 유형 | 오스틴급 |
유형 | 수륙양용 수송부두(LPD) |
변위 | |
길이 |
|
빔 |
|
초안 | 최대 23ft(7.0m) |
갑판 | 우물 데크 7000평방피트 |
램프 | 2 |
설치된 전원 | 축당 24,000개(2개 축) |
추진 | 600psi 포스터-휠러 보일러 2대, 델라벌 증기 터빈 2대, 샤프트 2대 |
속도 | 21노트(24mph; 39km/h) |
보트 & 착륙 운반하는 공예 | 2리히브 |
역량 | 화물 적재량 2,500톤 |
보완 | 장교 24명, 사병 396명, 해병대 840명, 국기/기장 90명 |
크루 | 혼합 |
무장을 | 25mm Mk 38 체인 건 2개, 20mm Mk 15 Phalanx CIWS 2개, 0.50-calibre 기관총 8개 |
운반된 항공기 | CH-46/CH-53 등가물 2개 또는 UH-1/AH-1 등가물 4개 또는 AV-8B 해리어 2개 |
항공시설 | 격납고 1개 |
오스틴급 수륙양용 수송부두인 USS 두부크(LPD-8)는 아이오와주 두부크 시에 이름을 올린 미 해군의 두 번째 배다.
USS Dubuque는 미시시피 강에 있는 아이오와주 두부케와 그의 설립자인 줄리앙 두부케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두부크호라는 이름을 가진 두 번째 배는 1967년 9월 1일 버지니아주 포츠머스의 노퍽 해군 조선소에서 취역되었다.[1]
역사
두부케의 킬은 1965년 1월 25일 미시시피주 파스카굴라에서 잉걸스조선에 의해 함몰되었다. 그녀는 1966년 8월 6일에 발사되었고 1967년 9월 1일 버지니아주 포츠머스의 노퍽 해군 조선소에서 임관했다. 1967년 11월, 그 배는 파나마 운하를 횡단한 후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의 첫 번째 본거지에 도착했다.
1968년부터 1975년까지 두부케는 베트남에서 광범위한 임무를 수행한 5개의 서태평양 배치를 했다. 1968년 10월 크게 공개된 행사에서 이 배는 14명의 국군포로들을 북베트남으로 돌려보냈다. 1969년부터 1971년까지 그 배는 미군 철수의 일환으로 오키나와로 10번의 키스톤 카디널 부대 승선 작전을 수행했다. 두부케는 북베트남 연안의 혼라(타이거 섬) 인근 HMA-369의 마린헌터 킬러(MARHUK) 작전의 발사 플랫폼으로 USS 클리블랜드호를 안심시켰다.[2] 1973년 2월부터 6월까지 이 배는 작전종료(Operation End Sweep)의 일환으로 하이퐁항에서 해군 기뢰제거 작전을 수행하는 헬리콥터를 운용했다. 1975년 4월, 이 배는 빈번한 바람 작전, 사이공의 피난, 남베트남에서 도망치는 피난민 구출작전에 참가했다.
1985년 8월 15일 두부케는 샌디에이고를 출발하여 1985년 9월 4일에 도착한 일본 사세보의 새 본거지로 향했다. 그곳에서 그녀는 서태평양의 해병대를 지원하는 1차 임무인 제7함대 해외 가족 레지던시 프로그램에 참가했다.
1988년 5월 두부케는 이란-이라크 전쟁 당시 미국 국적 유조선들을 보호하기 위해 페르시아만에 배치되어 기뢰를 소탕하는 작전통제선 역할을 했다. 그녀가 이 작전에 참여한 것에 대해, 그 배는 pm을 받았다. 공로부대 표창. 1989년, 그 배는 쿠데타 시도가 실패한 동안 필리핀에서 미국인들을 대피시키기 위한 비상 작전에 참가했다.
1990년 8월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 직후 두부케는 사막 방패 작전의 일환으로 페르시아만에 배치되었다. 이 선박은 다국적군 증강 초기의 중요한 초기 단계 동안 사우디아라비아의 알 주바일로 해병대 연대 상륙팀 4호를 수송한 수륙양용 레디 그룹 브라보의 선도적 요소로 기능했다.
1998년 11월 두부케는 사막 여우 작전의 지원으로 벨라우 우드 수륙양용 레디 그룹(ARG)의 일부로 페르시아만에 다시 배치되었다.
1999년 7월 30일, 두부케는 전진배치된 해군군의 일부로서 주노(LPD-10)에 의해 구출되었다. 그 이후로, 그녀는 캘리포니아 샌디에이고에서 다시 한번 홈포트를 받았다.
1999년 6월부터 9월까지 두부케는 자매선인 주노와 함께 제1차 SHIP-SWAP에 참가하여, 각 배의 선원들이 원래의 본거지에 남아 있어 두부케는 샌디에이고의 본거지로 돌아갈 수 있었다.
2006년 9월부터 2007년 5월까지 두부케는 USS 복서(LHD-4)와 USS 콤스톡(LSD-45)과 함께 배치되어 이라크 자유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15번째 MEU를 이라크로 수송했다. 두부케는 페르시아만 북부의 석유 플랫폼 보호와 유지에도 도움을 주었다.
두부케는 2008년 펠레리우 원정타격단과 함께 다시 배치했다. 그녀의 선원들은 오만의 만과 아프리카의 뿔 해역에서 해적들을 찾아내고 해적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데 참여했다. 그녀는 또한 페르시아만으로 가는 도중에 필리핀 해안선에서 침몰하는 선박에서 6척의 선원을 구조하는 데 참여하였다.[1]. 이번 행사는 위기나 유사시 미국 해상전략의 유연성을 입증한 모범적인 사건이었다.
2009년 5월 초 두부케는 배에 타고 있던 선원이 돼지 독감에 걸린 후 남태평양에 대한 인도주의적 지원 임무를 중단해야 했다. 나중에 밝혀진 바에 의하면 약 50명의 환자들도 H1N1(스윈독감)일 가능성이 있다.[3]
2010년 9월 9일, 제15 해병 원정대 해상 급습부대에 소속된 해병대가 두부크에서 진수하여 소말리아 해안에서 독일제 MV 마젤란 별에 승선하여 통제권을 장악하였다. 해적들은 전날 그 배를 장악했었다. 해병대는 해적 9명을 생포해 선박의 '안전실'로 피신한 선원 11명을 구조했다. 총성도 발사되지 않았고 부상자도 보고되지 않았다.[4]
두부크함은 2011년 6월 30일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
난민 논란
1988년 6월 10일, 페르시아만으로 가는 도중에 두부케는 110명의 베트남 난민들이 탄 배를 마주쳤다. 이 보트의 엔진은 고장이 났고 그들은 19일 동안 표류해 왔으며, 약 20명의 난민들이 이미 목숨을 잃었다. 두부케 사령관이던 알렉산더 발리안 대위는 난민들에게 차트와 물, 음식을 제공했지만 의사소통이 잘못돼 난민은 60명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고 보고 부족한 양을 제공한 뒤 페르시아만으로 이동했다. 그 결과 30명의 난민이 더 사망했고, 일부는 필리핀 어부들에 의해 구조될 때까지 배가 표류한 19일 동안 생존자들에 의해 식인되었다. 이 사건의 결과로, 캡틴. 발리안은 지휘권을 박탈당하고 군법회의에 회부되었다. 유죄 판결을 받자마자 그는 견책 편지를 받았다.[5] 그 사건은 오늘날 해군이 선박 선장들을 위한 윤리 강좌의 일부로 가르치고 있다.
돼지독감 발생
2009년 5월, 해군은 전 세계적으로 2009년 돼지독감이 유행하는 동안 배에 타고 있던 선원이 A형 인플루엔자 A형 바이러스 H1N1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되었다고 발표했다. 선원의 50여 명도 감염됐을 것으로 추정됐다. 그 결과 태평양 파트너십 프로그램을 지원하기 위해 2009년 6월 오세아니아에 대한 선박의 배치는 취소되었다.[6]
수상

해군상 웹사이트[2]에 따르면, 두부케는 해군부대 표창 1건, 공훈부대 표창 4건, 전투효율상 3건, 국군 원정훈장 3건, 인도주의 봉사훈장 3건을 수상했으며, 서태평양과 인도양 전역에서 수많은 수륙양용 훈련과 작전에 참여했다.
메모들
- ^ http://www.public.navy.mil/surfor/lpd8/pages/ourship.aspx[bare URL]
- ^ "Talks Through Time: Operation MARHUK", http://aviationtrivia.blogspot.com/2011/02/operation-marhuk-combat-debut-of.htm
- ^ "US navy halts aid vessel over flu". BBC News. 6 May 2009. Retrieved 6 May 2009.
- ^ "U.S. forces board pirate-captured vessel, seize control". CNN. 10 September 2010.
- ^ "USS Dubuque LPD 8 Austin class amphibious transport dock landing ship - US Navy". seaforces.org.
- ^ 2009년 5월 5일 샌디에이고 유니언-트리부네에 있는 리워, 스티브, "감기 의심으로 해군 함정이 임무를 수행하게 되었다."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USS 두부크(LPD-8)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