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우동
Uhwudong우우동 | |
한글 | |
---|---|
한자 | |
수정 로마자 표기법 | 어우동, 어을우동 |
매쿠네-라이샤워 | 우동, 우동 |
출생명 | |
한글 | 박구마 |
한자 | 朴丘麻 |
수정 로마자 표기법 | 박구마 |
어우동 또는 우우동(어우동, ? - 1480년 10월 18일)은 어우동(어우동, ?)이라고도 하며, 네에박(박,, 朴)이라고도 하며, 15세기 조선 시대의 귀족 가문 출신의 무용가, 작가, 미술가, 시인이었다.그녀의 작품 대부분은 보존되지 않았다.
인생
박구마(朴九馬, 朴丘 朴)로 태어난 우우동은 조선시대의 귀족 가문 출신이었다.그녀는[1] 태종의 증손자인 태강왕자 이동과 결혼했다.[2]그녀는 간통 혐의로 그와 이혼할 수 밖에 없었고, 그 후 그녀는 활발한 시인, 작가, 예술가, 무용가가 되었다.
그녀는 뛰어난 미모, 춤, 노래 재능, 시, 재치와 매력, 그리고 비상한 지성으로 유명했다.
성 추문 및 처형
1480년 간통죄로 재판에 넘겨졌다.그녀는 왕족, 궁중 관료, 노예 등 여러 남성 파트너와 간통을 저지른 혐의로 기소되었다.[3]
이 시기 동안 한국에서는 유교적 성차별이 도입되면서 여성의 지위가 악화되었고, 간통을 저지른 여성들, 특히 귀족 여성들에 대한 박해의 정도가 심해졌다.노예 기생이 된 유감동이나, 남친과 간통했다는 죄로 처벌받은 금음동·동자 등 몇 가지 사례가 알려져 있다.이구지 역시 간통을 저지른 예였다.우우동 사건은 그러나 아마도 가장 악명 높은 사건이었고, 많은 지위가 있는 사람들이 연루된 유명한 스캔들이 되었다.그 사건은 그녀의 유죄 판결과 사형 집행으로 끝났다.여자 간통죄의 사형은 1513년 조선 중종이 정식으로 도입하였다.[3]
가족
- 아버지
- 박윤창(朴尹昌, 朴允)
- 어머니
- 정귀덕(鄭귀덕, 鄭貴德) (? - 1488년 6월 20일)[4]
- 형제
- 오빠 - 박성근(朴成根, 朴成根) (? - 1488년 8월 22일)
- 남편
- Yi Dong (이동, 李仝)[5]
- 아이들.
- 딸 - 이번좌(이번좌)
- 이름없는아들[6]
작동하다
오늘날 시조와 거문고 작품들은 극히 일부만 존재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말솜씨와 음악 편곡의 숙련된 솜씨를 보여준다.이 구절들은 그녀의 잃어버린 사랑의 비극을 암시한다.몇몇은 또한 수많은 유명한 중국 고전 시와 문학에 대한 반응이다.
시
[玉淚東東淸 / 구슬이 흐르며 밤을 밝히다][7]
玉淚東東夜淸 / 구슬이 눈물처럼 흐르며 밤을 밝히다
白雲高捲 / / / 흰 구름이 높이 흐르며 달빛이 더 밝다.
間房謐謐在 / / 당신의 향기는 하나의 작은 방에 남아 있다.
可寫今今裏 / / 꿈같은 애정을 그려낼 수 있을 것이다.
[白馬空空經 / / 백마대는 얼마 동안 비어 있었는가?]
白馬空空歲 / / / 몇 년이 지나 집이 비어 있었는가?
落花立過 / / '날개꽃을 핀 돌(낙화암am ])'은 여러 해를 서서 보냈다.
靑山若不曾黙 / '푸른 산(청산)'이 침묵하지 않았다면
千古亡亡可 / / / 긴 세월의 흥망성쇠에 대해 알 수 있었을 것이다.
레거시
그녀의 사생활은 소설, 영화, TV 시리즈, 오페라, 그리고 수많은 시인들에게 영감을 주어 거의 신화처럼 되었다.1910년 조선왕조가 멸망한 후, 그녀의 저명한 고집과 독립성 때문에 그녀는 한국의 현대 대중문화 아이콘이 되었다.
대중문화에서
- 1985년 영화 어우동에서 이보희가 연기했다.
- 1987년 영화 요화어울루동에서 김무희가 연기했다.
- 2007-2008 SBS TV 시리즈 The King and I에서 김사랑이 연기했다.
- 강은비가 2015년 영화 '소유자 없는 꽃 우우동'에서 연기했다.
참고 항목
외부 링크
- 어우동 (한국어)
- 어우동과 양반의 성문화 (한국어)
- 왕가의 며느리였던 '어우동'은 어떤 스캔들? - 오마이뉴스 2012.03.01 (in Korean)
- 남성지배 사회에 맞선 어우동 (한국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