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릭 달그렌

Ulric Dahlgren
울릭 달그렌
UlricDahlgren.jpg
Ulric Dahlgren 대령 (여기에서 대위로 보여짐)
태어난(1842-04-03)1842년 4월 3일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벅스 카운티
죽은1864년 3월 2일(1864-03-02) (21세)
버지니아 스티븐스빌 인근
파묻힌
펜실베이니아 주 필라델피아 로렐묘지
얼리전스 미국
유니온
서비스/지점 미국 해군

미국 육군

근속년수1861–1862(연합 해군)
1862–1864(연합군)
순위Union Army colonel rank insignia.png 대령
전투/와이어미국 남북 전쟁
관계존 A. 달그렌 (아버지)
찰스 G. 달그렌 (삼촌)

울릭 달그렌(Ulric Dahlgren, 1842년 4월 3일 ~ 1864년 3월 2일)은 미국 남북전쟁 당시 연합군의 대령이었다. 는 존 A 연합 해군 제독의 아들이었다. 달그렌과 조카는 남부 연합 준장 찰스 G. 달그렌에게.

그는 미국 남북전쟁의 동부극장에서 몇 차례 주요 전투에 참가했고 게티스버그 전투에서 부상을 당해 무릎 아래로 다리를 절단했다. 그는 군 복무를 마치고 돌아와 1864년 월커튼 전투 도중 버지니아 리치먼드 남부 연합의 수도에 대한 급습을 지휘하다 전사했다.

남부 연합군은 벨 에서 유니온 포로를 석방하고, 리치몬드 시를 불태우고, 제퍼슨 데이비스 남부 연합 대통령과 그의 내각을 암살하라는 명령과 함께 달그렌에 관한 문서를 발견했다. 이 문서들은 리치몬드 신문에 실렸으며, 링컨 대통령으로부터 명령이 내려왔다는 비난으로 남부에 분노를 일으켰다. 노조 신문들은 이 신문들이 위조된 것이라고 주장했고 달그렌의 시신을 학대했다는 보도는 북한 내 여론을 자극했다. 논란은 '달그렌 사건'으로 알려졌다.

초년기

울릭 달그렌

Dahlgren은 1842년 4월 3일 펜실베이니아주 벅스 카운티에서 태어났다. 는 존 A 제독의 차남이었다. Dahlgren과 Mary Clement 벙커.[1] 그의 삼촌인 찰스 G. 달그렌은 미시시피에 정착하여 남군 장군에 입대했다.

이 가족은 1843년 델라웨어주 윌밍턴으로 이주한 뒤 1848년 워싱턴 D.C.로 이주했다.[2] 1858년 학교를 마친 뒤, 달그렌의 아버지는 그에게 토목공학을 가르쳤고, 1859년에는 미시시피에 있는 그의 삼촌 찰스 G. 달그렌의 토지를 측량하는 일을 했다.[3] 1860년 9월 펜실베이니아 필라델피아로 이주하여 또 다른 삼촌인 재스퍼 W. 폴의 법률사무소에서 일했다.[4]

미국 남북 전쟁

Dahlgren은 1861년 3월에 입대하였고, 1861년 7월 24일에 미 해군에 입대하였다. 는 버지니아주 알렉산드리아 방어를 돕기 위해 워싱턴 선박 야드에서 원정대에 배치되었다.[5] 1861년 9월 필라델피아로 돌아와 법학을 재개했다. 그는 필라델피아의 한 경포 회사에 소속되어 있었다.[6]

1862년 5월 웨스트버지니아주 하퍼스 페리로 파견되어 해군 호위병의 전지를 담당하게 되었다.[7] 1862년 5월 29일 달그렌은 탄약품을 얻기 위해 워싱턴으로 돌려보내졌다. 그는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과 에드윈 M 미 육군장관을 만나고 있던 아버지를 방문했다. 당시 스탠튼이었습니다. 링컨은 울릭에게 군대에서의 경험에 대한 개요를 물었다.[8] 울릭의 경험 요약이 끝난 후 스탠튼은 프란츠 시겔 장군에게 미군에서 대위참모진 자리를 제안했다.[6]

제2차 불런 전투, 프레데릭스버그 전투, 챈슬러즈빌 전투, 브랜디 스테이션 전투, 게티스버그 전투 등에서 전투를 벌였다. 프레데릭스버그 전투 중 그와 60명의 유니온 기병대가 도시를 점령하여 3시간 동안 주둔하였다. 그들은 결국 후퇴할 수밖에 없었지만 31명의 연합군 포로를 데려갈 수 있었다.[6] 1863년 3월 1일 조셉 후커[9] 장군의 참모에 합류하여 포토맥의 군대를 점령할 때 조지 미이드 장군의 참모에 유임되었다.[6] 1863년 7월 6일 메릴랜드[10] 해거스타운에서 벌어진 교전 중 게티스버그 전투 중 발에 부상을 입고 다리를 무릎 아래로 절단했다.[11] 이러한 노력으로 Dahlgren은 1863년 7월 24일 대령으로 위원회를 받았다.[6]

킬패트릭-달그렌 급습

하퍼스 위클리 출신의 달그렌 대령 암부사이드와 사망

다람그렌은 부상에서 회복한 후 브리지를 만났다. 주드슨 킬패트릭 장군은 1864년 2월 23일 파티에서 버지니아주 리치먼드를 공격하기 위한 작전에 참가하기 위해 초청되었다; 벨에서 유니온 포로를 구출하고 남부 연합의 기반 시설을 손상시켰다.[12] 이 작전은 워커튼 전투로도 알려져 있다.[13]

2월 28일 킬패트릭과 달그렌은 버지니아 스티븐스버그에서 떠났다. 킬패트릭은 북쪽에서 리치몬드를 3,500명으로, 남쪽에서 달그렌을 500명으로 공격하기로 되어 있었다. 예상치 못한 겨울 폭풍으로 인한 눈, 진눈깨비, 비가 공격을 늦추었다.[14] 달그렌의 군대는 도버 밀스 근처의 제임스 강에 있는 포드에 아프리카계 미국인 안내원 마틴 로빈슨에 의해 이끌려 갔다. 그 부대는 최근 내린 비로 높은 물로 인해 건널 수 없었다. 달그렌은 자신이 가이드에게 속았다고 믿고 보복으로 목을 매게 했다.[12]

달그렌은 동쪽에서 리치몬드를 공격하기 위해 병력을 재배치했다. 그들은 전투의 소리를 듣고 킬패트릭을 지지하기 위해 달려갔으나 곧바로 남부 연합의 내무반과 충돌하여 진격을 중단했다.[14] 달그렌은 킬패트릭의 병력과 연결하려는 시도로 동부로 후퇴했다.[12] 연합군은 퇴각하는 동안 남부 연합군의 괴롭힘을 계속 당하여 뿔뿔이 흩어지게 되었다. 3월 3일 밤, Dahlgren과 그의 일부 부대는 제임스 폴라드 중위의 지휘 아래 버지니아 9 기병대에서 150명의 병력에 의해 킹과 퀸 코트 하우스 근처에서 매복되었다. 달그렌은 4발의 총알에 맞아 전장에서 숨졌다. 매복으로 몇 명의 다른 유니온[14] 병사들이 죽었고 135명이 붙잡혔다.[15]

달그렌 사건

Dahlgren Raid 헤드라인 1864년 3월

달그렌의 시신은 13세 소년 윌리엄 리틀페이지가 수색했다. 그는 귀중품을 찾고 있었지만, 그의 선생님 에드워드 할바흐에게 준 서류 꾸러미를 발견했다.[16] 그 서류는 벨 섬에서 유니온 포로들을 석방하고 그들에게 가연성 물질을 공급하고 리치몬드 시를 성화시키라는 명령이었다. 연합군은 제퍼슨 데이비스 남부연합 대통령과 그의 내각을 점령하고 살해할 예정이었다. 그 논문들은 리치몬드 심사관에 발표되었고 남부에서 분노를 촉발시켰다.[17] 신문은 달그렌을 훈인 아틸라에 비유하며 링컨 자신이 지시를 내렸다고 추측했다.[14]

Dahlgren은 원래 그가 총에 맞은 곳에 끼어 있었다.[18] 격분한 군중들이 그의 시신을 훼손하여 리치몬드의 요크 리버 철도 창고에 전시했다.[19] 달그렌의 나무다리는 가게 창문에 진열되어 있었고 손가락은 잘려 반지를 떼어냈다.[18] 달그렌의 시신에 대한 이러한 학대 보도는 북방의 여론을 격화시켰다.[20]

노조 신문들은 그 명령이 위조품이라고 주장했고 달그렌의 아버지는 아들이 그러한 스캔들에 연루될 것이라고 강하게 부인했다. 조지 미이드 연합군 소장이 직접 로버트 E 연합군을 확신시켜야 했다. 지시는 연합군에 의해 제재되지 않았다는 것이다.[21] 논란은 1년 뒤 존 윌크스 부스아브라함 링컨 대통령을 암살하기로 한 데 일조했을 수도 있다.[22]

주문서가 달그렌, 킬패트릭, 에드윈 M에 의해 쓰여진 것인지는 결코 결정되지 않았다. 스탠튼이나 링컨 대통령이나 그 신문들은 Dahlgren의 이름의 철자를 잘못 썼는데, Dahlgren이 쓴 것이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갖게 한다. 전쟁이 끝난 후, 남부 연합 정부의 논문은 워싱턴 D.C.로 옮겨졌다. 달그렌 신문들은 스탠튼으로부터 개인적으로 요청받았고 그 이후로 보이지 않았다.[14]

매장

로렐묘지의 울릭 달그렌 묘비

그의 시체가 공개된 후, 달그렌은 리치몬드의 오크우드 묘지에 있는 무표정한 무덤에 매장되었다.[18] 그의 아버지는 울릭의 시신을 필라델피아에 묻기 위해 돌려보내 달라고 탄원했다. 그는 네 차례나 먼로 요새를 방문하여 합의안을 마련하려 했고, 심지어 남부연합거래소 위원과 접촉하여 울릭의 유해 반환을 정식으로 요청하기도 했다.[23] 유니온 첩보원 엘리자베스 르우는 리치몬드의 연줄을 이용해 그의 유해를 몰래 발굴해 리치몬드[24] 외곽 10마일 농가에서 재해석해 그의 신체가 더 이상 훼손되지 않도록 했다.[18] Dahlgren은 결국 필라델피아의 Laurl Hill 묘지에 매장되었다.[25]

인용구

  1. ^ Dahlgren 1872, 페이지 11.
  2. ^ Dahlgren 1872 페이지 11–13.
  3. ^ Dahlgren 1872, 페이지 20.
  4. ^ Dahlgren 1872, 페이지 27.
  5. ^ Dahlgren 1872 페이지 42-43.
  6. ^ a b c d e Powell, William Henry (1893). Officers of the Army and Navy (volunteer) who Served in the Civil War, Volume 1. Philadelphia: L.R. Hamersly & Co. p. 64. Retrieved 4 March 2021.
  7. ^ Dahlgren 1872, 페이지 59.
  8. ^ 슐츠 1998, 페이지 95.
  9. ^ Dahlgren 1872 페이지 126–127.
  10. ^ Dahlgren 1872 페이지 168–170.
  11. ^ Brock, R.A. (1909). Southern Historical Society Papers, Volumes 37-38. Richmond, Virginia: Southern Historical Society. p. 352. Retrieved 4 March 2021.
  12. ^ a b c "Kilpatrick-Dahlgren Raid". www.encyclopediavirginia.org. Retrieved 2 March 2021.
  13. ^ Wertz, Jay and Bearss, Edwin C. (1999). Smithsonian's Great Battles & Battlefields of the Civil War. HarperCollins Publisher. p. 693. ISBN 9780688170240. Retrieved 9 March 2021.
  14. ^ a b c d e McNeer, John. "Dahlgren's 1864 Raid on Richmond Generates an Ongoing Controversy". www.historyarch.com. Retrieved 6 March 2021.
  15. ^ Ashe, Samuel A'Court (1925). History of North Carolina. Raleigh: Edwards & Broughton Printing Company. p. 877. Retrieved 5 March 2021.
  16. ^ "The Dahlgren Affair". www.historynaked.com. Retrieved 5 March 2021.
  17. ^ 로즈 1920, 페이지 514.
  18. ^ a b c d Suhr, Robert. "The Dahlgren Affair: Kilpatrick-Dahlgren Raid on Richmond". www.warfarehistorynetwork.com. Retrieved 6 March 2021.
  19. ^ Dahlgren 1872, 페이지 227.
  20. ^ "Van Lew, Elizabeth L. (1818-1900)". www.encyclopediavirginia.org. Retrieved 3 March 2021.
  21. ^ 로즈 1920, 515페이지.
  22. ^ Wittenberg, Eric J. "Ulric Dahlgren in the Gettysburg Campaign". Retrieved 2009-02-16.
  23. ^ 슐츠 1998, 페이지 190.
  24. ^ Dahlgren 1872, 페이지 274–275.
  25. ^ Dahlgren 1872, 페이지 287.

원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