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구주의

Fictionalism

허구주의는 어떤 세계의 서술로 보이는 진술들이 그렇게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대신에 어떤 것을 문자 그대로 진실하게 취급하는 척하는 "믿게"의 사례로 이해되어야 하는 철학에서의 견해다.

개념

허구주의는 적어도 다음 세 가지 논문으로 구성된다.

  1. 담화 영역 내에서 이루어진 주장은 진실에 부합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즉, 진실 또는 거짓이다.
  2. 담론의 영역은 액면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다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3. 주어진 영역에서 담론의 목적은 진리가 아니라 다른 덕목(예: 단순성, 설명 범위)이다.

두 가닥의 중요한 허구주의는 기디언 로젠이 개발한 모달 허구주의인데, 기디언 로젠은 존재 여부와 상관없이 가능한 세계가 유용한 담론의 한 부분이 될 수 있다고 말하고 있으며, 하트리 필드가 주창하는 수학 허구주의다.[1]

모달 허구주의는 텍스트에서 가능한 세계를 나타내는 것이 유용한 허구라고 주장하기 때문에 기본적인 허구주의의 한층 더 정교해진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2] 개념화는 성경과 같은 지문이 실제로 무엇을 의미하는지 서술하는 이론이라고 설명한다.[2] 그것은 둘 다 가능한 세계를 보는 관점이라는 점에서 언어적 에르사츠주의와 연관되어 있다.[3]

반면에 허구주의는 수학철학에서 숫자와 다른 수학적 사물에 대한 이야기는 과학을 하기 위한 편의에 지나지 않는다고 말한다. 필드에 따르면, 수학의 참조나 정량화를 포함하는 부분을 사실처럼 취급할 이유가 없다.[4] 이 담화에서 수학적인 물체는 맥베스 같은 문학적 인물과 같은 형이상학적 지위를 부여받는다.[4]

메타 윤리학에서도 도덕적 허구주의(Richard Joyce가 찬탈한)라는 동등한 입장이 있다. 많은 현대판 허구주의는 켄달 월튼의 미학에 영향을 받는다.

참고 항목

추가 읽기

  • Balaguer, Mark (1998). Platonism and Anti-Platonism in Mathematic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14398-0.
  • Kalderon, Mark (2005). Moral Fictionalism. Oxford: Clarendon Press. ISBN 978-0-19-927597-7.

참조

  1. ^ 필드, 하트리, Science Without Numbers, 블랙웰, 1980.
  2. ^ a b Gericke, Jaco (2012). The Hebrew Bible and Philosophy of Religion. Atlanta, GA: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p. 366. ISBN 9781589837072.
  3. ^ Nolan, Daniel (2002). Topics in the Philosophy of Possible Worlds. New York: Routledge. pp. 95. ISBN 9780815340515.
  4. ^ a b Irvine, Andrew, ed. (2009). Philosophy of Mathematics. Burlington, MA: Elsevier. pp. 345. ISBN 9780444515551.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