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형 소행성

V-type asteroid

V형 소행성 또는 베스토이드(Bestoid)는 스펙트럼 유형4베스타인 소행성이다. 메인벨트 소행성의 약 6%가 전소형이며,[citation needed] 그 중 베스타가 단연코 가장 크다. 그것들은 비교적 밝으며, 오히려 더 흔한 S형 소행성과 비슷하며, 돌로 된 철과 일반 연돌로 이루어져 있으며, V형에는 S형보다 더 많은 피록신이 포함되어 있다.

많은 비율의 베스타는 베스타 계열의 일부일 정도로 충분히 가깝거나 비슷한 편심기울기를 가지지만 약 2.18AU와 2.50AU의 커크우드 간격 사이에 반주축이 놓여 있다. 이것은 그들이 베스타의 지각의 파편에서 시작되었음을 암시한다. 베스토이드에는 20억년 전, 10억년 전 각각 거대한 남반구 분화구 베네니아와 꿩실비아에서 만들어진 두 개의 개체군이 있는 것 같다.[1][2] 3:1 목성 공명으로 끝난 파편들은 커크우드 틈새로 퍼졌고, 일부 파편들은 결국 HED 운석으로서 지구와 충돌했다.

전자파 스펙트럼은 0.75μm의 매우 강한 흡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또 다른 특징은 1μm의 매우 강한 흡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0.7μm의 매우 붉은 색은 0.7μm이다. V형 소행성(4베스타 자체 포함)의 가시 파장 스펙트럼은 기저귀성 아콘드라이트 HED 운석의 스펙트럼과 유사하다.

J타입은 4 베스타 지각의 더 깊은 부분에서 파생되었을 가능성이 [3]있는 다이겐산 운석과 유사한 특별히 강한 1μm 흡수 띠를 가진 소행성에 대해 제안되었다.

분배

V형 소행성의 대부분은 베스타 그 자체와 함께 베스타 계열의 일원이다. 9969 Brailer와 같은 화성 횡단보도도 있고 3908 Nyx와 같은 Near-Earth 물체도 있다.

베스타 일가의 일반 근처에도 사물이 흩어져 있지만 그 일부분은 아니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4]

V형 근접 지구 소행성

V형 NEAS(또는 V-NEAs)는 V 스펙트럼 타입의 지구에 가까운 소행성이다. 알려진 샘플(2016년 채취한 데이터)에 따르면 V-NEA가 지구에 미치는 영향은 약 1,200만년 만에 한 번 발생하며, 지역 대 지구 규모의 재앙적 영향을 끼칠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직경 30km에 달하는 분화구를 생산하고 3 Mt에 달하는 운동에너지를 방출한다. 이 에너지는 약 600만배 더 크다. 2013년 첼랴빈스크 행사 때 방출된 에너지 금성, 화성, 달은 각각 22Myr, 125Myr, 168Myr마다 V-NEA에 영향을 받는다. V형 NEA에서 발견된 충격률에 맞는 기저귀 임팩터가 확인된 크레이터 2개는 호주스트링웨이 분화구(24km 직경), 캐나다니콜슨 분화구(12.5km 직경)이다. 일부 V-NEA는 분버라 바위구멍 운석과 비슷한 궤도를 가지고 있다.[5]

참고 항목

참조

  1. ^ "Two craters that launched 1000 meteorites". New Scientist. May 11, 2012.
  2. ^ S. J. Bus & R. P. Binzel (2002). "Phase II of the Small Main-belt Asteroid Spectroscopy Survey: A feature-based taxonomy". Icarus. 158 (1): 146. Bibcode:2002Icar..158..146B. doi:10.1006/icar.2002.6856.
  3. ^ R. P. Binzel & S. Xu (1993). "Chips off of asteroid 4 Vesta: Evidence for the parent body of basaltic achondrite meteorites". Science. 260 (5105): 186–91. Bibcode:1993Sci...260..186B. doi:10.1126/science.260.5105.186. PMID 17807177.
  4. ^ V. Carruba; et al. (2005). "On the V-type asteroids outside the Vesta family". Astronomy & Astrophysics. 441 (2): 819–829. arXiv:astro-ph/0506656. Bibcode:2005A&A...441..819C. doi:10.1051/0004-6361:20053355.
  5. ^ Galiazzo, M. A.; Silber, E. A.; Bancelin, D.; et al. (2016). "V-type Near-Earth asteroids: dynamics, close encounters and impacts with terrestrial planets". Astronomische Nachrichten. 338 (4): 375–384. arXiv:1610.04786. Bibcode:2017AN....338..375G. doi:10.1002/asna.201613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