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MM-363
VMM-363해병대 중형 틸트로터 363 편대 | |
---|---|
![]() VMM-363 유닛 휘장 | |
활동적인 | 1952년 6월 2일 – 현재 |
나라 | 미국 |
나뭇가지 | 미국 해병대 |
유형 | 마린 미디엄 틸트로터 편대 |
역할 | 어택 지원 |
의 일부 | 해양항공기 24조 제1해상항공기 날개 |
수비대/HQ | 엠씨비 하와이 |
닉네임 | 럭키 레드 라이온즈 |
테일 코드 | YZ |
마스코트 | 럭키 더 라이온 |
계약 | 베트남 전쟁 이라크 자유 작전 영속적 자유 작전 작업 고유 해결 |
지휘관 | |
현재 지휘관 | LtCol E. B. 샌드버그 |
해병대 미디엄 틸트로터 363 편대(VMM-363)는 MV-22B 오스프레이로 구성된 미국 해병대 틸트로터 편대다.'럭키 레드 라이온즈'로 알려진 이 편대는 하와이 MCB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해병항공기 24그룹(MAG-24)과 제1해상항공기동단의 지휘를 받는다.
미션
수륙양용 작전 및 후속 작전 중 전투 병력, 보급품 및 장비에 대한 공격 지원 제공.통상적으로 VMM 비행대대는 기존의 공격지원 업무와 특수작전을 포함할 수 있는 모든 수준의 해상공대지 태스크포스(MAGTF) 임무의 항공전투요소(ACE)를 위한 기초를 제공한다.
역사
초년
해병대 헬기 수송대대대 363(HMR-363)은 1952년 6월 2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해병대 공군기지 산타아나에서 해병대 항공기 36조(MAG-36)의 일환으로 기동됐다.[1]1953년에 이 부대는 시코르스키 HRS-1을 비행했고 이 기간 동안 지상군을 사용한 최초의 원자 실험인 사막 암석 작전에 참가했다.곧이어 이 편대는 시코르스키 H-34 헬기를 받은 최초의 서해안 헬기 부대가 되었다.[2]: 6 1964년 12월 북캘리포니아에 처참한 홍수가 났고, 크리스마스 이브에는 HM-363호가 베닝턴호에 배치돼 재해지역으로 북진했다.
베트남 전쟁
1965년 8월 11일, 그 비행단은 미국 선상 USS 프린스턴을 출발했다.[2]: 92 이 중대는 지난 9월 1일 MAG-36의 일환으로 남베트남 콰이논에 배치됐다.[3]이 중대가 처음 투입한 병력은 3대대대 제3 해병대를 마블산 다낭 남쪽 상륙지대로 이동시키는 MHM-161과 연합작전이었다.'날아다니는 호랑이' 작전에서 HMM-363군과 한국군 사이의 긴밀한 유대가 개발되었다.타이거 사단은 이 작전과 연계하여 78번 힐로 공수되었는데, 이 작전은 현재까지 한국군의 가장 성공적인 공격이라고 평가되었다.
1966년 초, 그 비행대는 베트남의 미국 야전군 사령관 작전통제 하에 규완논에 머물렀다.[4]: 261 3월 초에 그 비행대는 유타 작전을 지원했다.[4]: 110 7월 4일, 그 비행대는 USS Iwo Jima에 승선하는 특수 상륙부대(SLF) 헬리콥터 편대가 되었다.[4]: 305 SLF 편대로 있을 때 헤이스팅스 작전과 연계하여 발사된 데크하우스 2호 작전을 지원했다.[4]: 168 9월에 그 중대는 데크하우스 4호 작전을 지원했다.[4]: 188 9월 28일 그 비행대는 해안으로 돌아왔다.[4]: 347
1967년 1월 19일, 그 비행대는 이우지마에서 SLF 임무로 복귀했다.[5]: 153 2월 중순 그 중대는 데크하우스 6호 작전을 지원했다.[5]: 58 3월 20일부터 그 비행대는 비콘 힐 작전을 지원했다.[5]: 155 4월 4일, 그 비행대는 추라이 기지 지역의 해양 항공기 13조에 배정되었다.[5]: 281 9월에 그 비행대는 스위프트 작전을 지원했다.[5]: 113 10월에 그 중대는 킹피셔 작전을 지원했다.[5]: 137 12월까지 그 비행대는 마블 마운틴 항공 시설에서 해병대 항공기 16조에 배정되었다.[5]: 317
1968년 2월 9일, 그 비행대는 SLF 알파 헬리콥터 비행대가 되었다.[6]: 719 로켓 공격에 이어 3월 26일에는 5개 중대가 부상당해 의료진의 대피가 필요했다.해안 상공을 비행하는 동안 의료용 헬리콥터는 엔진을 잃고 추락하여 지휘관을 포함한 7명이 사망했다.4월 15일 그 비행대는 MAG-36의 통제하에 해안으로 돌아왔다.[6]: 719 9월 6일, 그 중대는 다시 SLF 알파 헬리콥터 중대가 되었다.[6]: 636 12월 7일, 그 비행대는 푸바이 전투 기지의 MAG-36에 의해 해안으로 돌아왔다.[6]: 639
1969년 1월 21일, 그 비행대는 미국으로 다시 배치되었다.[7]시코르스키 CH-53A 수송 헬기를 받아 해상 중형헬기 36 편대(HMH-363)를 재설계했다.
베트남 후기
1972년 10월, 이 편대는 강력한 CH-53D를 받은 최초의 부대였다.1977년 3월 신형 대형 및 현대식 수륙양용함 중 첫 번째인 타라와호의 작전평가에 참가하기 위해 함대가 선정되었다.1983년 초, 이 편대는 공훈부대 표창장을 수여받았다.
이 비행단은 1990년 엄청난 지진과 홍수에 이어 필리핀에서 구호 활동과 인도주의적 지원을 제공했다.HMH-363은 필리핀의 외딴 지역에 살고 있는 주민들에게 음식, 옷, 피난처를 전달하며 3시간 30분 동안 수많은 임무와 500시간 이상의 비행시간을 비행했다.그 비행대는 구호 활동으로 인도주의 봉사 훈장을 받았다.
사막 방패/데저트 스톰 기간 중 HMH-363은 오키나와 제1해상항공기동단을 지원했고 1991년 5월 캘리포니아로 복귀해 11개월간의 실전 배치 후 오키나와로의 부대 회전을 종료했다.1992년 12월 소말리아에서 열린 소말리아 작전복원희망 작전에 참가하여 합동 유공부대 표창과 국군 원정대 메달을 수여받았다.[8]이 중대는 텍사스 포트블리스에서 합동 태스크포스 6도 지원했다.1996년 8월, 레드 라이온즈는 해병대 항공 시설 가네오헤 만으로 이전하고 제1 해병대 항공기 비행장으로 재배치되었다.
세계 테러와의 전쟁
2006년 말부터 2007년 초까지 HMH-363은 이라크 자유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이라크에 배치되었다.알 아사드에 따르면, 이것은 이라크 자유 HMH-363이 한 달 동안 848.8시간을 비행한 세계 테러와의[9][10] 전쟁을 지지하는 부대의 첫 번째 배치였다.이 중대는 2008년 여름 알 아사드에 다시 배치해 이라크 자유 작전을 지원했다.그들은 2009년 2월에 MCB 하와이로 돌아왔다.
HMH-363은 2012년 5월 10일 하와이의 해병대 기지 가네오헤 만에서 비활성화되었다.그 후 이 비행대는 VMM-363으로 재지정되었고 해병대 공군기지 미라마에 탑재된 MV-22B 오스프리 비행단으로 기동되었다.
3차 MAW VMM-363을 활성화하면 MCB 하와이로 다시 이동하기 전에 중앙 지휘부 책임 지역에 3개의 전투 배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참고 항목
참조
- ^ Rawlins, Eugene W. (1976). Marines and Helicopters 1946–1962 (PDF). History and Museums Division, Headquarters Marine Corps. p. 52. ISBN 9781500102852.
이 글은 공개 도메인에 있는 이 출처의 텍스트를 통합한다..
- ^ a b Fails, William R. (1978). Marines & Helicopters, 1962 - 1973 (PDF). History and Museums Division, Headquarters Marine Corps. ISBN 0-7881-1818-8.
이 글은 공개 도메인에 있는 이 출처의 텍스트를 통합한다..
- ^ Shulimson, Jack (1978). U.S. Marines in Vietnam: The Landing and the Buildup (PDF). History and Museums Division, Headquarters, U.S. Marine Corps. p. 149. ISBN 978-1494287559.
이 글은 공개 도메인에 있는 이 출처의 텍스트를 통합한다..
- ^ a b c d e f Shulimson, Jack (1982). U.S. Marines in Vietnam: An Expanding War 1966 (PDF). History and Museums Division, Headquarters, U.S. Marine Corps. ISBN 978-1494285159.
이 글은 공개 도메인에 있는 이 출처의 텍스트를 통합한다..
- ^ a b c d e f g Telfer, Gary (1984). U.S. Marines in Vietnam: Fighting the North Vietnamese 1967. History and Museums Division, Headquarters, U.S. Marine Corps. ISBN 978-1494285449.
이 글은 공개 도메인에 있는 이 출처의 텍스트를 통합한다..
- ^ a b c d Shulimson, Jack; Blasiol, Leonard; Smith, Charles; Dawson, David (1997). U.S. Marines in Vietnam: 1968, the Defining Year (PDF). History and Museums Division, USMC. ISBN 0160491258.
이 글은 공개 도메인에 있는 이 출처의 텍스트를 통합한다..
- ^ Smith, Charles (1988). U.S. Marines in Vietnam: High Mobility and Standdown 1969 (PDF). History and Museums Division, Headquarters, U.S. Marine Corps. p. 344. ISBN 978-1494287627.
이 글은 공개 도메인에 있는 이 출처의 텍스트를 통합한다..
- ^ Simmons, Edwin H. (2003). The United States Marines: A History, Fourth Edition. Naval Institute Press. p. 320. ISBN 1-59114-790-5.
- ^ "Delta squadrons exchange aircraft as mission turnover draws near". Marine Corps News. U.S. Marine Corps.
- ^ "HMH-363 assumes role of assault support in Iraq". Marine Corps News. U.S. Marine Corps.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해병대 중공헬기 363 편대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