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렌타인 모가담

Valentine Moghadam

발렌타인 모가담(Valentine Moghadam, 1952년 출생)은 페미니스트 학자, 사회학자, 활동가, 저자로, 개발, 세계화, 페미니스트 네트워크, 중동 여성 고용 등에서 여성에 초점을 맞춘 작품이다.[1]

그녀는 여러 고등교육 기관에서 가르치고 연구를 수행했는데, 가장 최근에는 동북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및 국제업무 담당 이사로 재직하고 있다.[2] 이전에 그녀는 퍼듀 대학교의 여성학 프로그램 이사직을 맡았으며, 그곳에서 사회학과 교수도 지냈다. 모하담은 그 임명 이전에 유엔 교육과학문화기구에서 양성평등과 발전 책임자로 일했다.[3]

그녀가 펴낸 세계화 여성: 초국가적 페미니스트 네트워크는 세계화를 지더링 과정으로 고찰하고 초국가적 페미니스트 네트워크(TFNs)를 유심히 살펴본다.[4] 모하담은 서문에서 '세계화-위로부터의 세계화'는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와 가부장적 근본주의에 맞서온 역동적이고 초국가적인 여성 운동을 만들어냈다'고 쓰고 있다.[4]

초년기

발렌타인 모가담은 1952년 이란 테헤란아시리아 가정에서[5] '도시, 엘리트 가정'[6]으로 태어났다. 국제학교에서 중등교육을 받은 후, 그녀는 주요 일간지 카이한에 고용된 노동인력으로 첫 2년을 보냈다. 신문에서 시간을 보낸 후, 모하담은 제국 공군 언어 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쳤다.[6] 이러한 초기 직장 경험 후 발렌타인 모가담은 부모의 후원으로 서부의 대학 교육을 추구하였다.

교육

발렌타인 모가담은 처음에 워털루 대학교(캐나다 온타리오 주)에서 공부했는데, 그곳에서 그녀는 "이란 학생 운동에 동참하여 좌익 운동가가 되었다"[6]고 한다. 학부 시절인 1978년 역사정치학을 전공해 학사 학위를 받았다. Moghadam은 워싱턴 D.C.의 American University에서 사회학 석사학위(1983)와 박사학위(1986)를 취득했다.[7]

경력

1985년부터 1988년까지 뉴욕대학교 사회학과 방문 조교수로 재직하면서 모하담은 사회학, 여성, 발달에 관한 여러 과목을 가르쳤다. 이듬해 펨브로크 브라운대 여성교육연구센터 산하에 모하담 교수가 박사후 연구원으로서 연구를 마쳤다. 1989년 가을, 그녀는 또한 럿거스 대학교의 중동 연구 프로그램에서 방문 조교수로도 가르쳤다. 모하담은 1990년 가을 방문 강사로, 1992년 가을 방문 수석 강사로 헬싱키 대학에서 강의했다.[7] 그 후 1990년부터 1995년까지, 그녀는 여성 및 개발 연구 프로그램의 수석 연구자 겸 코디네이터로 핀란드 헬싱키에서 연구를 마쳤다.[8] 2004년 5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모가담은 프랑스 파리에서 유네스코 사회·인적서비스 분야의 양성평등 및 발전을 위한 과장으로 일했다.[8] 2007년 1월 모가담은 퍼듀대 문리대학 여성학부 과장으로 임명되어 사회학과 교수로도 재직하고 있다.[3] 가장 최근에는 동북대 사회학과 교수 겸 국제업무학과장이라는 직책을 수락했다.

회원 자격 및 성과

Moghadam은 다양한 전문적이고 페미니스트 단체의 회원이다. 그녀는 미국사회학회국제사회학회에 소속되어 있으며 집행위원회에 소속되어 있다.[9] 1995년 3월 코펜하겐에서 열린 세계 사회개발정상회의(World Summit on Social Development)에 참석한 유엔대학교 대표단의 일원으로 활동했다. 그해 말, 9월에는 베이징에서 열린 제4차 세계여성대회에 참가하기도 했다.[8] 그녀는 또한 라말라에 위치한 팔레스타인 여성 연구 문서 센터 설립을 도왔다.[8] 그녀의 책 "여성 현대화: 중동의 성별과 사회적 변화"[7]는 1993년부터 1994년까지의 학년 동안 "선택" 우수 학술서로 인정받았다.

연구, 영향력 및 이념

현재 발렌타인 모가담의 연구 분야는 '세계화, 초국가적 페미니스트 네트워크, 시민사회와 시민권, 중동 여성 취업' 등이다.[8] 이란에서 성장한 그녀의 경험은 대학 교육에서 더 명확해진 그녀의 정치적 견해에 영향을 주었다. 1979년 이란 혁명과 그 혁명 이후 계속된 이란 이슬람화는 모가담의 이념에 각인되었다. 이란의 이러한 상황, 그리고 그 결과로 생긴 이란 여성들의 상황은 성 정치에 대한 그녀의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모하담은 박사학위 수여에 이어 여성 발달에 관심을 돌렸고, 페미니스트로서의 신분 확인도 강화됐다. 오늘날 모하담이 가장 우려하는 글로벌 이슈는 '경제 세계화, 군국주의의 역효과'와 '어디서나 여성의 권리, 특히 이란, 이라크, 아프가니스탄'을 위한 싸움이다.[6]

추가 읽기

  • 모하담, 발렌타인 여성 세계화: 초국가적 페미니스트 네트워크. 볼티모어: 존스 홉킨스 대학 출판부, 2005.
  • 모하담, 발렌타인 정체성 정치와 여성: 문화적 재확보와 국제관에서의 페미니즘. 볼더: 웨스트뷰 프레스, 1994.
  • 모하담, 발렌타인 여성 현대화: 중동의 성별과 사회적 변화. 볼더: L. Rienner, 1993.
  • 모하담, 발렌타인 중동과 북아프리카의 여성, 직장, 경제 개혁. 볼더: 린 라이너 출판사, 1998.[10]

참조

  1. ^ "An assessment of Trump's Syria pullback: a misstep or a credibility calamity?".
  2. ^ "Valentine M. Moghadam". Northeastern Universi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3-01-19. Retrieved 2013-02-21.
  3. ^ a b Purdue News Service (January 5, 2007). "Purdue Notebook: Appointments and promotions". Purdue University. Retrieved 2008-06-16.
  4. ^ a b Moghadam, Valentine (2005). Globalizing Women: Transnational Feminist Networks.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5. ^ "Zinda 12 November 2005".
  6. ^ a b c d 모하담, 발렌타인 캐롤라인 홀컴과 이메일 서신을 보내세요. 2007년 3월 26일.
  7. ^ a b c "비타에: 발렌타인 M. 모가담." 일리노이 주립 대학교. http://wsarch.ucr.edu/archive/bios/moghadam.htm
  8. ^ a b c d e 모하담, 발렌타인 캐롤라인 홀컴과 이메일 서신을 보내세요. 2007년 3월 23일.
  9. ^ 국제 사회학 협회 집행위원회 위원: 발렌타인 모가담" http://www.isa-sociology.org/cv/cv_valentine_moghadam.htm.[dead link]
  10. ^ 디렉토리: 인문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