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레타 FC

Valletta F.C.
발레타
Valletta F.C. logo.png
풀네임발레타 축구단
닉네임릴리화이트
탈팔레스티나
시민[1]
설립됨1943; 79년 전 (1998년)
회장빅토르 시리하
관리자안토니우 호세 카르도소 멘데스
리그몰타 프리미어리그
2020–21몰타 프리미어리그 7위
웹사이트클럽 웹사이트

발레타 FC몰타의 수도 발레타에 본부를 둔 프로 축구 클럽으로 몰타 축구의 최고 비행편인 몰타 프리미어 리그에 출전한다.[2] 이 클럽은 발레타 프레스턴스, 발레타 세인트 폴스, 발레타 유나이티드가 합병한 후 1943년에 설립되었으며, 후자는 제2차 세계대전 이전까지 리그 2회 우승자였다.

몰타 축구에서 가장 지지받고 성공한 클럽 중 하나로 여겨지는 이 클럽은 25개의 리그 우승, 14개의 FA 트로피, 그리고 13개의 기록적인 슈퍼 컵을 획득했다.[3]

역사

발레타 FC가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에 대한 명확한 증거가 없기 때문에 발레타가 그 시대에 두 개의 클럽을 소유하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발레타 FC의 토대는 발레타 유나이티드 팀의 창설과 함께 마련되었다. 발레타 유나이티드는 클럽이 세인트루이스에 위치해 있었기 때문에 "광장의 팀"으로 알려져 있었다. 조지의 광장. 발레타 유나이티드는 1904년부터 1932년까지 그 도시를 대표했다.

몰타의 발레타 시는 1886년과 1919년 사이에 오랜 축구 역사를 가지고 있는데, 약 14개 팀이 몰타를 대표하여 경쟁을 벌였다. 이 초기 팀들 중에는 인기 있는 보이즈 엠파이어 리그, 발레타 칼리지, 세인트 조지 스퀘어, 독야드 알비온, 몰타 애슬레틱 클럽 이 포함되어 있었다.

현 클럽 역사의 초기 단계는 1903년 지역 청소년들에 의해 발레타 유나이티드 풋볼 클럽이 설립되었다. 영국인들이 이 섬에 데려온 경기에 대한 그들의 열정에도 불구하고, 젊은이들은 한정된 물량으로 힘든 출발을 했다. 그들은 흰색 바지를 긴 반바지로 자르고 유니폼을 위해 셔츠를 클럽 색상(갈색, 노란색 소매)으로 염색했다.

1886년 몰타 축구 사상 첫 경기 기록이었던 '포르테 데 봄베스의 배수로'는 1904년 1월 9일 발레타 유나이티드의 첫 경기 개최지로 선정됐다.[4] 맨유는 콜리지아테스쿨 소속팀과 맞붙어 포워드 L의 스트라이크로 1-0으로 승리했다. 아지우스. 그날 발레타 유나이티드의 전체 팀이 포함되었다.[4]

  • M.H. 라페라 (대장)
  • P. 페란테
  • 갈레아 E.
  • 벨라 E.
  • L. 아지우스
  • L. 프레지오시
  • C. 벨라
  • 카솔라니 V
  • R. 바달라
  • V. 카밀레리
  • L. 카스탈디

그 클럽은 곧 세인트루이스에 더 영구적인 집을 찾았다. 발레타에 있는 그랜드마스터 궁전 바로 맞은편에 있는 조지의 광장; 그들은 이것 때문에 "광장의 팀"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발레타는 1914-15시즌에 처음으로 은식기를 얻었는데, 쿠시스 실드몰타 리그 챔피언십에서 모두 우승한 것은 몰타에서 리그가 경합된 5번째 시즌에 불과했다.

몰타 축구의 대부분은 플로리아나슬리마 원더러스에 의해 제2차 세계대전 전까지 여러 차례 현 상태를 뒤집으려고 시도했다. 발레타는 1920-21년에 쿠시스 실드를 두 번째로 수상했고 1925-26년과 1926-27년에 몰타 리그 준우승으로 마쳤다. 발레타 유나이티드는 지난 시즌 동안 몰타에서 1931-32년 몰타 리그에서 우승함으로써 당시 몰타에서 두 주요 구단을 격분시켰지만 다음 시즌에는 진출하지 않았다.

비록 슬리마와 플로리아나가 그 당시 국내 무대를 지배했지만, 이러한 트로피를 거머쥐면서 이 독점에 뛰어들어 더 큰 경쟁을 유도하기 시작한 것은 발레타 유나이티드였다. 발레타 유나이티드는 1부 리그 챔피언십에서 매우 활동적이었고, 실제로 97경기를 뛰었다.

발레타 유나이티드가 몰타 축구 협회 내에서 활약한 기간(즉, 1909년부터 1932년까지) 동안 발레타 유나이티드는 1931-32년에 우승을 차지했다. 그러나 그 다음 시즌에는 왠지 발레타 유나이티드가 축구계에서 사라지면서 슬리마와 플로리아나의 축구 클럽들의 독점이 재개되었다.

발레타 유나이티드는 M.F.A.의 최고 디비전에서 활약한 도시 출신 팀만이 아니었다. 1925-26 시즌과 1926-27 시즌에는 M.F.A.의 최고 부대에서 활약한 발레타 로버스가 있었고, 1937-38, 1938-39 시즌에는 발레타 시가 있었다.

한 시즌에 다섯 잔의 우승

1996-97년 발레타 FC는 몰타 축구가 제공하는 5개 대회에서 모두 우승했다. 이는 프리미어리그, 로스만스 트로피, 슈퍼파이브컵, 로웬브라우컵, 슈퍼컵 우승에 성공함으로써 이루어졌다.

역사적인 시즌 – 2000-01 – 한 시즌에 6컵

2000-01시즌에는 발레타 FC가 1996년부터 1997년까지 자체 기록을 경신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에 그들은 M.F.A.가 제공한 6개 대회에서 우승했다. 이번 시즌에는 100주년 컵이라는 추가 시즌이 있었다. 그것은 M.F.A. 1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추가되었다.

2007-08: 다시 챔피언

그들의 7년 만의 트로피에 대한 희망은 2007년 여름 발레타 팬들을 관통하는 큰 생각이었다. 발레타는 이적시장에서 많은 돈을 썼고 기대가 컸다. 발레타는 이터널 라이벌 플로리아나에게 3-2로 패하며 최악의 방식으로 시즌을 시작했다. 발레타의 부진한 출발은 브라이베니아와의 1-1 무승부, 슬리마에게 패배, 햄런 스파르타와 MSIDa가 각각 0-0 무승부를 기록하는 등 이어졌다. 그러나 결국 발레타는 비르키르카라를 1-0으로 완파하고 챔피언 마르사슬로크에게 7-0으로 대파하며 좋은 컨디션을 보였으며 12월 8일 플로리아나에게 4-0으로 승리하며 복수를 했다. Msida, Mqabba, Hamrun, Sliema, Marsaxlokk를 이긴 후, 그 클럽은 우승 혈통을 보여주었다. 발레타는 고공행진을 하며 시즌 마지막 라운드로 향했다.

발레타는 지난 5월 3일 토요일, 마르사슬로크 선수가 비르키르카라를 꺾지 못하자 19번째 프리미어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하지만 우승이 가방에 들어감에 따라 오랜 무패행진은 곧 막을 내렸고, 시즌은 여러 번의 패배로 막을 내렸다. 그 팀은 또한 U*Bet F.A.에 도달하는 데 실패했다. 준결승에서 비르키르카라에게 4-2로 패한 후 2008년 트로피 결승전. 그러나 초반 경기와 포스트 챔피온쉽 경기를 제외하면 발레타가 가장 일관된 편이었다.

20번째 타이틀

발레타는 2010-11년 BOV 프리미어 리그에서 무패 팀으로 우승하여 발레타 FC의 역사에 20번째 우승을 가져다 주었다.

21번째 타이틀 (3/4컵)

발레타는 슬리마 원더러스를 3-0으로 꺾고 2011-12 BOV 프리미어리그에서 2승을 거두며 발레타 역사상 21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그들은 국내 리그에서 네 개의 컵 중 세 개를 우승했다. 2011–12 BOV 프리미어 리그, 2011–12 몰타 슈퍼컵, 그리고 유로 챌린지 컵.

플레이어스

현 분대

2021년[5][6] 12월 27일 기준

참고: 국기는 FIFA 자격 규정에 따라 정의된 국가 대표팀을 나타낸다. 선수들은 둘 이상의 비FIFA 국적을 보유할 수 있다.

No. Pos. 나라 플레이어
1 GK Malta MLT 옌츠치니
4 DF Malta MLT 장 보그
5 DF Malta MLT 라이언 카밀레리
6 MF Malta MLT 트리스탄 카루아나
8 MF Ghana GHA 제임스 아서
9 FW Bosnia and Herzegovina BIH 하리스 딜라버
10 MF Malta MLT 숀 디메치
11 MF Malta MLT 미셸 산소네
13 MF Malta MLT 셸던 맥케이
14 DF Malta MLT 크리스티안 고치
17 MF Malta MLT 제러미 미칼레프
18 MF Dominican Republic 에니 페냐
19 DF Malta MLT 조지프 제라파
No. Pos. 나라 플레이어
20 MF Croatia CRO 이반 처리치
22 FW Malta MLT 이사야 미칼레프
24 MF Malta MLT 로웬 무스카트
26 GK Italy ITA 알레산드로 과르논
37 GK Malta MLT 안손살리바
52 GK Malta MLT 마누엘 바르톨로
66 DF Albania ALB 에스라이트 살라
77 FW Brazil 브라 카이오 앙리케
89 FW Italy ITA 마리오 폰타넬라
92 MF Italy ITA 케빈 툴리미에리
97 FW Brazil 브라 루카스 캄포스
FW Malta MLT 키리안 누코

대출금외

참고: 국기는 FIFA 자격 규정에 따라 정의된 국가 대표팀을 나타낸다. 선수들은 둘 이상의 비FIFA 국적을 보유할 수 있다.

No. Pos. 나라 플레이어
MF Malta MLT 주르겐 수다 (2022년 6월 30일까지 펨브로크에서)
MF Malta MLT 라이언 톤나 (마작슬로크 FC에서 2022년 6월 30일까지)
GK Malta MLT 리브스 시니 (2022년 6월 30일까지 피에타 홋스퍼 FC에서)

회수번호

인원

코칭스태프

포지션[5] 스태프
코치 Portugal 안토니우 호세 카르도소 멘데스
보조 코치 Malta 길버트 아지우스
골키퍼코치 Malta 로미오 켐브리
팀 매니저 Malta 제라드 엘룰
트레이닝 어시스턴트 Malta 제이슨 갈레아 루카스
물리 트레이너 Malta 카를 시코르티노
생리학 Spain 오스카 알론소
키트 관리자 Malta 클린트 미지

경영이력

날짜[7] 이름
1949–1950 England 해리 테더
1958–1959 England 조크 길무어
1959–1960 England 윌리엄 딩월
1962–1964 Malta 캄 보그
1968–1970 Malta 토니 포모사
1970–1972 Malta 조시 우르파니
1973–1975 Malta 토니 포모사
1976–1977 Italy 테렌지오 폴베리니
1977–1978 Malta 롤리 데바티스타
1978–1982 Malta 존 칼레자
1982–1984 Malta 조 실리아
1986–1988 Malta 토니 포모사
Malta 조 미칼레프
1989–1990 Malta 조지 부슈틸
1989–1990 Malta 에디 벨라
1991–1993 Malta 토니 에우차르 그레흐
1993–1994 Malta 로런스 보그
1994–1995 Malta 조 실리아
Malta 에드워드 아킬리나
1995–1998 Malta 에드워드 아킬리나
1998–2001 Bulgaria 크라시미르 마놀로프
2001–2002 Bulgaria 게오르기 디에노프
2003–2004 Bulgaria 아타나스 마리노프
2004–2005 Malta JJ 아킬리나
2004–2009 Malta 폴 잠밋
2009–2010 Netherlands 톤 카넨
2010–2012 Malta 제스몬드 제라파
2012–2013 England 마크 밀러
2014 Netherlands 안드레 파우스
2014–2015 Malta 길버트 아지우스
Malta 이반 잠밋
2015–2017 Malta 폴 잠밋
2015–2017 Serbia 조란 포포비치
2017– 2019 Serbia 다닐로 돈치치
2019 Malta 길버트 아지우스
2019–2020 Malta 대런 압딜라[8]
2020 Italy 조반니 테데스코[9]
2020 Malta 제스몬드 제라파[10]
2020 Malta 길버트 아지우스[11]
2020- Portugal 안토니우 호세 카르도소 멘데스[12]

유럽 기록

2020년[13] 8월 10일 현재
경쟁 놀았다. 드류 로스트 GF GA GD 승률
유러피언컵/챔피언스리그 45 8 6 31 37 112 −75 017.78
컵 위너스컵 14 0 2 12 6 54 −48 000.00
UEFA컵 / UEFA 유로파리그 36 5 7 24 35 80 −45 013.89
UEFA 인터토토컵 4 0 2 2 3 9 −6 000.00
합계 99 13 17 69 75 255 −180 013.13

범례: GF = 목표를 위한. GA = 목표 대비. GD = 목표 차이.

계절 경쟁 둥글다 클럽 멀리 골재
1963–64 유러피언컵 PR Czechoslovakia 두클라 프라하 0–2 0–6 0–8
1964–65 유러피언컵 위너스컵 1R Spain 레알 사라고사 0–3 1–5 1–8
1972–73 UEFA컵 1R Italy 인터 밀란 0–1 1–6 1–7
1974–75 유러피언컵 1R Finland HJK 헬싱키 1–0 1–4 2–4
1975–76 유러피언컵 위너스컵 1R Hungary 할라다스 VSE 1–1 0–7 1–8
1977–78 유러피언컵 위너스컵 1R Soviet Union 다이나모 모스크바 0–2 0–5 0–7
1978–79 유러피언컵 1R Switzerland 베짱이 3–5 0–8 3–13
1979–80 UEFA컵 1R England 리즈 유나이티드 0–4 0–3 0–7
1980–81 유러피언컵 PR Hungary 부다페스트 혼베드 0–3 0–8 0–11
1983–84 유러피언컵 위너스컵 1R Scotland 레인저스 0–8 0–10 0–18
1984–85 유러피언컵 1R Austria 오스트리아 빈 0–4 0–4 0–8
1987–88 UEFA컵 1R Italy 유벤투스 0–4 0–3 0–7
1989–90 UEFA컵 1R Austria 퍼스트 빈 1–4 0–3 1–7
1990–91 유러피언컵 1R Scotland 레인저스 0–4 0–6 0–10
1991–92 UEFA컵 위너스컵 1R Portugal 포르투 0–3 0–1 0–4
1992–93 UEFA 챔피언스리그 PR Israel 마카비 텔아비브 1–2 0–1 1–3
1993–94 UEFA컵 1R Turkey 트라브존스포르 1–3 1–3 2–6
1994–95 UEFA컵 PR Romania 래피드 부쿠레슈티 2–6 1–1 3–7
1995–96 UEFA컵 위너스컵 QR Slovakia 인터르 브라티슬라바 0–0 2–5 2–5
1996–97 UEFA컵 위너스컵 QR Romania 글로리아 비스트리차 1–2 1–2 2–4
1997–98 UEFA 챔피언스리그 1QR Latvia 스콘토 리가 1–0 0–2 1–2
1998–99 UEFA 챔피언스리그 1QR Cyprus 아노르토시스 파마구스타 0–2 0–6 0–8
1999–00 UEFA 챔피언스리그 1QR Wales 배리 타운 3–2 0–0 3–2
2QR Austria 래피드 빈 0–2 0–3 0–5
2000–01 UEFA컵 1QR Croatia 리제카 4–5 2–3 6–8(a.e.t.)
2001–02 UEFA 챔피언스리그 1QR Finland 하카 0–0 0–5 0–5
2002 UEFA 인터토토컵 1R Albania 테우타 1–2 0–0 1–2
2003–04 UEFA컵 1QR Switzerland 신경샤텔자맥스 0–2 0–2 0–4
2005 UEFA 인터토토컵 1R Serbia and Montenegro 부두치노스트 포드고리차 0–5 2–2 2–7
2008–09 UEFA 챔피언스리그 1QR Slovakia 아트미디어 0–2 0–1 0–3
2009–10 UEFA 유로파 리그 1QR Iceland 케플라비크 3–0 2–2 5–2
2QR Republic of Ireland 세인트 패트릭스 애슬레틱스 0–1 1–1 1–2
2010–11 UEFA 유로파 리그 2QR Poland 루흐 초르조프 1–1 0–0 1–1 (a)
2011–12 UEFA 챔피언스리그 1QR San Marino 트레 피오리 2–1 3–0 5–1
2QR Lithuania 에크라나스 2–3 0–1 2–4
2012–13 UEFA 챔피언스리그 1QR Andorra 루시타노스 8–0 1–0 9–0
2QR Serbia 파르티잔 1–4 1–3 2–7
2013–14 UEFA 유로파 리그 1QR San Marino 피오리타 1–0 3–0 4–0
2QR Belarus 민스크 1–1 0–2 1–3
2014–15 UEFA 챔피언스리그 2QR Azerbaijan 카라바슈 0–1 0–4 0–5
2015–16 UEFA 유로파 리그 1QR Wales 뉴타운 1–2 1–2 2–4
2016–17 UEFA 챔피언스리그 1QR Faroe Islands B36 토르손 1–0 1–2 2–2 (a)
2QR Serbia 레드 스타 베오그라드 1–2 1–2 2–4
2017–18 UEFA 유로파 리그 1QR San Marino 엽고레 2–0 1–0 3–0
2QR Netherlands FC 위트레흐트 0–0 1–3 1–3
2018–19 UEFA 챔피언스리그 1QR Albania 쿠커시 1–1 0–0 1–1 (a)
UEFA 유로파 리그 2QR Bosnia and Herzegovina 즈린스키 모스타르 1–2 1–1 2–3
2019–20 UEFA 챔피언스리그 1QR Luxembourg F91 두들란지 1–1 2–2 3–3 (a)
2QR Hungary 페렌크바로스 1–1 1–3 2–4
UEFA 유로파 리그 3QR Kazakhstan 아스타나 1–5 0–4 1–9
2020–21 UEFA 유로파 리그 1QR Wales 발라 타운 0–1 해당 없음 해당 없음

명예

경쟁 제목 계절들
몰타 프리미어리그 Star full.svgStar full.svg 25 1914–15,[a] 1931–32,[a] 1944–45, 1945–46, 1947–48, 1958–59, 1959–60, 1962–63, 1973–74, 1977–78, 1979–80, 1983–84, 1989–90, 1991–92, 1996–97, 1997–98, 1998–99, 2000–01, 2007–08, 2010–11, 2011–12, 2013–14, 2015–16, 2017–18, 2018–19
몰타 FA 트로피 14 1959–60, 1963–64, 1974–75, 1976–77, 1977–78, 1990–91, 1994–95, 1995–96, 1996–97, 1998–99, 2000–01, 2009–10, 2013–14, 2017–18
몰타 슈퍼컵 13 1990, 1995, 1997, 1998, 1999, 2001, 2008, 2010, 2011, 2012, 2016, 2018, 2019
카사르 컵 4 1943–44, 1958–59, 1965–66, 1967–68
슈퍼 5 복권 토너먼트 4 1992–93, 1996–97, 1999–2000, 2000–01
쿠시스 실드 2 1914–15, 1920–21
스키클루나컵 2 1960–61, 1963–64
인디펜던스컵 3 1974–75, 1979–80, 1980–81
몰타컵 1 1943–44
테스타페라타컵 1 1979–80
100주년 컵 1 2000–01
몰타 내셔널리그 100주년 기념컵 1 2009–10
유로 챌린지컵 6 1983–84, 1987–88, 1989–90, 2011–12, 2013–14, 2014–15
뢰웬브레우컵 6 1993–94, 1994–95, 1995–96, 1996–97, 1997–98, 2000–01
대관식컵 1 1953–54
아들스 오브 몰타 컵 2 1974–75, 1978–79
올림픽컵 1 1962–63
멜리타컵 1 1911
레인저스컵 1 1914
파피 데이 펀드컵 1 1960–61
벳페어컵 1 2008
마레 블루 컵 2 2010–11, 2011–12
두 배: 같은 시즌 리그 & 트로피 8 1914–15, 1959–60, 1977–78, 1996–97, 1998–99, 2000–01, 2013–14, 2017–18
같은 시즌의 모든 컵 3 1996-97(5/5컵), 2000-01(6/6컵), 2017–2018(3/3컵)

메모들

  1. ^ a b 발레타 FC의 전신인 발레타 유나이티드는 1914–15, 1931–32 시즌에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참조

  1. ^ "Valletta edge Balzan to capture BOV Super Cup". 13 December 2018. Retrieved 16 July 2020.
  2. ^ https://usa.laliga.es/en/news/laliga-the-best-show-in-malta-1
  3. ^ "UEFA-MFA study confirms football as no.1 sport in Malta". Malta Football Association. 26 September 2018. Retrieved 14 October 2018.
  4. ^ a b "The Birth of Valletta United". VallettaFCOfficial.net. 12 July 2007.
  5. ^ a b "Squad 2018–19". Valletta F.C. Retrieved 14 October 2018.
  6. ^ "Valletta". UEFA. Retrieved 12 July 2018.
  7. ^ "The Coaches". Valletta F.C. Retrieved 14 October 2018.
  8. ^ V. Camilleri (19 February 2020). "Abdilla sacked as Valletta coach". Retrieved 19 February 2020.
  9. ^ V. Camilleri (19 February 2020). "Updated: Proud Tedesco keen to lead Valletta to more trophies". Retrieved 19 February 2020.
  10. ^ V. Camilleri (17 June 2020). "Zerafa agrees terms to become Valletta coach". Retrieved 18 June 2020.
  11. ^ Camilleri, Valhmor (2 December 2020). "Agius appointed interim coach at Valletta FC". Times of Malta . Retrieved 30 December 2020.
  12. ^ V. Camilleri (28 December 2020). "Portuguese coach Cardoso Mendes takes over at Valletta FC". Retrieved 30 December 2020.
  13. ^ "UEFA Competitions". Valletta F.C.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