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르다르 바노비나
Vardar Banovina바르다르 바노비나 Вардарска бановина 바르다르스카바노비나 | |||||||||||||
---|---|---|---|---|---|---|---|---|---|---|---|---|---|
바노비나 | |||||||||||||
1929–1941 | |||||||||||||
![]() 바르다르 바노비나(빨간색) 안에 유고슬라비아 왕국(연황색) | |||||||||||||
자본의 | 스코페 | ||||||||||||
지역 | |||||||||||||
• 1931 | 36,6722 km (14,189 평방 마일) | ||||||||||||
인구. | |||||||||||||
• 1921 | 1,323,546 | ||||||||||||
• 1931 | 1,574,243 | ||||||||||||
역사 | |||||||||||||
역사 | |||||||||||||
• 성립됨 | 1929 | ||||||||||||
• 설정 안 됨 | 1941 | ||||||||||||
| |||||||||||||
오늘의 일부 | 코소보 북마케도니아 세르비아 |
역사 북마케도니아 |
---|
![]() |
연대기적 |
토픽 |
관련된 |
목록 및 개요 |
![]() |
바르다르 바노비나 또는 바르다르 바노비나 (마케도니아어: вбановинаардарскабановина, 로마자: 바르다르스카 바노비나; 세르비아어: ардарскав,ized, 로마자: 바르다르스카 바노비나; 알바니아어: 바노비나 에 바르다리트)는 1929년에서 1941년 사이에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한 주였습니다.
역사
이 나라는 오늘날의 북마케도니아 전역, 세르비아 남부와 동부, 코소보와 세르비아의 남동부를 아우르는 최남단에 위치해 있었습니다.그것은 바르다르 강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고 행정 수도는 스코페였습니다.1930년 각료[1] 이사회 중앙 공보국의 통계에 따르면 유고슬라비아의 바노비나 9곳 중 바르다르스카 바노비나가 38,879km2(15,011 평방 마일)로 가장 컸고, 인구는 1,386,370명으로 네 번째였습니다.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서부 외딴 지역과 바르다르 마케도니아에서 일어난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지역 불가리아인/마케도니아인들은 인정받지 못했고 세르비아화의 국가 정책이 [2][3][4]발생했습니다.또한 최악의 건강 문제, 특히 티푸스와 천연두를 겪었고 위생 연구소 1곳, 보건소 3곳, 조제실 6곳과 요양원이 필요했습니다.반면 유고슬라비아가 탄생하기 전까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 몬테네그로 땅에 속했던 바노비나와는 달리 채무를 물려받지 못했습니다.1931년 유고슬라비아 왕국 헌법에 따르면 바르다르 바노비나는 북쪽으로는 제타 강, 모라바 바노비나 강, 동쪽, 남쪽, 서쪽으로는 불가리아, 그리스, 알바니아와 국경을 접하고 있었습니다.1941년, 제2차 세계 대전 추축국은 바르다르 바노비나를 점령하고 불가리아, 독일이 점령한 세르비아, 그리고 이탈리아의 알바니아로 나누었습니다.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이 지역의 남부 지역은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이 되었고 북부 지역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내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일부가 되었습니다.
바르다르 바노비나 금지령
- 지보진 라지치(1929-1932)
- 도브리카 마트코비치(1932-1933)
- 드라고슬라프 조르제비치 (1933–1935)
- 란코 트리푸노비치 (1935–1936)
- 두샨 필리포비치 (1936)
- 드라간 파우노비치 (1936 ~ 1937)
- 마르코 노바코비치 (1937 ~ 1939)
- 블라디미르 하이두크 벨코비치 (1939)
- 알렉산다르 크베트코비치 (1939)
- 알렉산다르 안드레예비치 (1939 ~ 1940)
- 지카 라파일로비치 (1940–1941)
도시와 마을
-
1929년 유고슬라비아 바노비나 지도 (바르다르 바노비나는 9위)
-
바르다르 바노비나 지도
-
오늘날 북마케도니아 공화국 의회인 바노비나의 행정 건물인 소브라니에 궁전
참고 항목
참고문헌
- ^ 1930년 베오그라드 각료회의 중앙보도국에서 발간
- ^ 폴튼, 휴 (2003)"마케도니아인과 알바니아인을 유고슬라비아인으로"조키치에서 데얀 (편집).유고슬라비아:실패한 아이디어의 역사, 1918-1992. C.허스트 앤 코출판사 123쪽 ISBN9781850656630.
- ^ 파파비자스, 조지 C. (2015)마케도니아 주장:역사적인 헬레니즘의 땅의 유산, 영토 그리고 이름을 위한 투쟁, 1862-2004맥팔랜드. 92-93쪽, ISBN 9781476610191쪽
- ^ Horowitz, Shale (2004). "Structural Sources of Post-Communist Market Reform: Economic Structure, Political Culture, and War". International Studies Quarterly. 48 (4): 765. doi:10.1111/j.0020-8833.2004.00324.x.
외부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