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드빌 악당

Vaudeville Villain
보드빌 악당
Vaudevillevillain.jpg
스튜디오 앨범 기준
방출된2003년 9월 16일(2003-09-16)
장르.언더그라운드 힙합
길이56:42
라벨
  • 사운드잉크 레코드
  • 트래픽 엔터테인먼트 그룹
프로듀서
  • 킹 허니
  • 열 센서
  • 맥스 빌
  • RJD2
  • 미스터 텐
MF 둠 연대기
Take Me to Your Leader
(2003)
보드빌 악당
(2003)
매들레이니
(2004)
Vaudeville 악당싱글스
  1. "래 여명"
    출시: 2003
  2. "살리바"
    공개 : 2003년 (프로모션)
  3. "미스터 클린"
    릴리스됨:2004년 6월

Vaudeville Britical은 영국계 미국인 래퍼 겸 프로듀서인 MF Doom의 세 번째 스튜디오 앨범으로, 빅토르 본의 가명으로 만들어졌다.2003년 9월 16일 발매된 이 트랙은 RJD2가 제작한 '살리바'를 제외한 모든 트랙은 사운드잉크 음반사 멤버 히트센서, 킹 허니, 맥스 빌이 제작하고 있다.

임계수신호

프로페셔널 등급
점수 검토
출처순위
올뮤직[1]
And It Don't StopA을[2]
엔터테인먼트 위클리A을[3]
힙합DX4.0/5[4]
피치포크9.1/10[5]
스핀B+[6]
스타일러스 매거진B[7]
타이니 믹스 테이프5/5[8]

Vaudeville BriticalPitchfork "Top 50 of 2003" 목록에서 25위를 차지했다.[9]2012년에는 비둘기 & 플레인즈 "30개의 베스트 언더그라운드 힙합 앨범" 순위에서 25위에 올랐다.[10]MF 둠이 죽은 후 2021년에 쓴 로버트 크라이스트고는 이 앨범이 "그의 최고가 될 수 있을 것"이라며 "의미와는 반대로 운치가 있는 근본적으로 희극화가인 그가 어떻게 왕이었는지를 보여주는 일관된 예로 보았다.[2]

트랙리스트

No.제목프로듀서길이
1."오베르튀르" 0:34
2."버드빌 악당"킹 허니2:31
3."리쿠폰"열 센서2:44
4."더 드롭"맥스 빌3:24
5.락토세 레시틴열 센서2:34
6."죽은 쥐"킹 허니3:55
7."열린 마이크 니이트, 1부"(서 경, 삼부카 형제, 로단을 모로 박사루이 로직으로 임명)킹 허니4:09
8."래던"열 센서3:00
9."렛미 워치"(아파니 B니키로 표현)킹 허니4:27
10."살리바"RJD22:28
11."모던데이 머깅"열 센서2:43
12."Open Mic Nite, 2부"(Lord Sear, AJ Ready WrightCreative)
  • 킹 허니
  • 미스터 텐
3:13
13."Never Dead"(감미로운 M) Curis Strifer 역의 Sayid)열 센서3:27
14."PopSnot"맥스 빌4:39
15."미스터 클린"킹 허니2:13
16."G.M.C."맥스 빌3:33
17."Change the Beat"(Hidden Track)(MF DOOM 수행)맥스 빌6:55

메모들

  • 트랙 9는 때로 "볼 수 있을까?"[11]라고도 불린다.

인원

크레딧은 앨범의 라이너 노트에서 각색되었다.[12]

인원

  • N. Gosman – 엔지니어링, 경영진 생산
  • Mark Einstmann – 마스터링
  • D. Dumile – 경영진 프로덕션
  • A. Threadgold – 경영진 프로덕션

아트워크

  • M. 맥도날드(사운드잉크 레코드의 경우) – 예술 방향
  • Ralph Borland (Lazy-R의 경우) – 레이아웃, 디자인

추가인원

  • M. Lawrence – 중역 정원 가꾸기

참조

  1. ^ Pytlik, Mark. "Vaudeville Villain – Viktor Vaughn". AllMusic. Retrieved January 7, 2017.
  2. ^ a b Christgau, Robert (January 13, 2021). "Consumer Guide: January, 2021". And It Don't Stop. Substack. Retrieved April 13, 2021.
  3. ^ Drumming, Neil (July 18, 2003). "Vaudeville Villain". Entertainment Weekl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16, 2015. Retrieved January 7, 2017.
  4. ^ K., Chris (October 8, 2003). "Viktor Vaughn – Vaudeville Villain". HipHopDX. Retrieved January 7, 2017.
  5. ^ Pemberton, Rollie (September 15, 2003). "Viktor Vaughn: Vaudeville Villain". Pitchfork. Retrieved January 7, 2017.
  6. ^ "Breakdown". Spin. 19 (11): 117. November 2003. Retrieved June 18, 2019.
  7. ^ McKeating, Scott (October 2, 2003). "Viktor Vaughn – Vaudeville Villain – Review". Stylus Magazin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31, 2014. Retrieved June 12, 2019.
  8. ^ Wolfman. "Viktor Vaughn – Vaudeville Villain". Tiny Mix Tapes. Retrieved January 7, 2017.
  9. ^ "Top 50 Albums of 2003 (3/5)". Pitchfork. December 31, 2003. Retrieved January 7, 2017.
  10. ^ "The 30 Best Underground Hip-Hop Albums". Pigeons & Planes. June 27, 2012. Retrieved January 7, 2017.
  11. ^ Saleh, Oumar (11 January 2021). "Why 'Vaudeville Villain', released as supervillain Viktor Vaughn, is MF DOOM's undersung masterpiece". NME. Retrieved 8 June 2021.
  12. ^ Vaudeville Villain (liner notes). Viktor Vaughn. New York, New York; Malden, Massachusetts: Sound-Ink Records; Traffic Entertainment Group. 2003. SIK 012; TEG 2409.{{cite AV media notes}}: CS1 maint: 인용 AV 매체 (노트) (링크)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