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몬트 C. 로이스터

Vermont C.

버몬트 코네티컷 로이스터(1914년 4월 30일 ~ 1996년 7월 22일)는 1958년부터 1971년까지 월스트리트 저널의 편집장이다. 그는 대통령 자유 훈장을 받았다. 그는 두 개의 퓰리처 상을 수상했고, 다른 많은 상들도 받았다. 로이스터는 특히 경제 문제와 관련하여 매일 뉴스에 대한 보수적인 해석을 제공하는 것으로 유명했다.[1]

초년기

비록 그의 삶은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롤리에서 시작되어 끝이 났지만, 그 사이에 있는 부분들은 그를 세계의 다른 지역으로 데려갔다. 그는 친할아버지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그의 독특한 첫 번째와 중간 이름은 증조부가 시작한 국가 이름을 자손에게 사용하는 가족 전통의 결과였다. 할아버지의 특이한 이름 외에도 그의 위스콘신 일리노이 주, 오레곤 미네소타 주, 아이오와 미시간 로이스터 주(州)의 이름을 따서 아칸소 델라웨어, 위스콘신 일리노이 주, 아이오와 주(州) 미시간 로이스터라는 이름을 붙였다. 그들은 보통 첫 번째와 중간 이니셜로 불렸다. 이 이름들은 너무 특이해서 수년 동안 리플리의 Believe It or Not! 시리즈 책들에 인쇄되었다. 로이스터의 아버지 윌버 하이 로이스터는 롤리에 로이스터 캔디 회사를 소유하고 운영했는데, 1900년대 초에는 캐롤리나스버지니아 전역에 초콜릿, 땅콩 조각, 그리고 다른 사탕들을 팔았다. 그의 가족은 또한 채플 힐에 있는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근처에도 강한 유대감을 가지고 있었다; 버몬트의 할아버지는 대학에서 라틴어그리스어를 가르쳤고, 그의 큰 삼촌인 위스콘신 로이스터는 UNC에서 의대를 만드는 것을 도왔다. 버몬트는 밴드 리더이자 라디오 성격인 케이 키저의 사촌이었다.

경력

로이스터는 1935년 채플 힐의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를 졸업했으며, UNC에 재직하는 동안 박애 협회의 일원으로 학생 신문인 데일리 타르 힐의 편집장을 역임했다. 졸업 직후 뉴욕으로 건너가 뉴욕시 뉴스국 기자로 취직했고, 1년 뒤 월스트리트저널(WSJ)에서 61년 경력을 쌓기 시작했다.

Journal에서의 그의 경력은 꾸준한 진보 중 하나였다: 기자, 1936; 워싱턴 특파원, 1946–40, 1945–46; 논설위원 겸 칼럼니스트, 1948–51; 수석 편집자, 1951–58; 편집자, 1958–71; 기고 편집자, 칼럼니스트, 1971–96; 1993-96.

1940년에 로이스터는 미국 해군 예비군에 입대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그는 태평양 전쟁 극장에서 미 해군 구축함인 USS밀러의 함장으로 근무했다. 그는 해군 중령 계급에 올랐다. 잭 밀러는 일본 해군과 상당한 양의 전투를 보았고,휘말려 살아남았다 태풍에두 번의. 1945년 9월 초, 로이스터는 일본에 투하된 2차 원폭으로 파괴된 일본 나가사키시의 유적을 처음으로 본 미국 장교들 중 한 명이었다. 전쟁이 끝난 후 로이스터는 월스트리트 저널에서 활동을 재개했다.

1953년 로이스터는 퓰리처상을 받았다. 그는 1965-66년에 미국 신문 편집 협회 회장을 역임했다. 1971년 월스트리트 저널의 편집자로 은퇴하여 인기 있는 주간 칼럼 Thinking Things Over를 쓰기 시작했는데, 이 칼럼은 1986년 노년의 핸디캡으로 인해 중단될 때까지 계속되었다. 그는 1984년에 해설로 두 번째 퓰리처상을 받았다.

저널에서 은퇴한 후, 그는 채플 힐의 노스 캐롤라이나 대학의 케난 저널리즘 및 공공 업무 교수가 되었다.

명예

1986년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으로부터 대통령 자유의 메달을 수여받았을 때, 인용문은 다음과 같이 쓰여 있었다.

언론인, 작가, 교사로서 반세기 넘게 버몬트 로이스터는 우리 시대의 정치와 경제 생활을 조명했다. 그의 상식은 '전문가의 의견'이라는 가식을 폭발시켰고, 그의 설득력 있는 웅변은 신앙에 얽매인 계류에서 느슨해진 사회의 폐해를 경고했다. 미국인들의 목소리는 그의 산문, 즉 정직, 개방, 자랑, 그리고 자유에서 들을 수 있다.

그가 받은 다른 상으로는 1958년 시그마 델타 치, 1971년 캔자스 대학의 윌리엄 앨런 화이트상, 1975년 제럴드 기념사업상,[2] 1976년 엘리야 러브조이상, 1980년 노스캐롤라이나 저널리즘 명예의 전당 등이 있다.

1976년 로이스터는 콜비 칼리지에서 명예 법학박사 학위를 받았을 뿐만 아니라 엘리야 패리쉬 러브조이 상을 받았다.

그가 쓴 몇몇 사설은 고전으로 여겨지고 있다: "황량한 황야"와 "그리고 페어랜드"는 현재 월스트리트 저널전통적인 추수감사절 사설이고, "인혹 아노 도미니"는 매년 크리스마스마다 등장한다.

사생활

로이스터는 1937년 프랜시스 클레이풀과 결혼했고, 이 부부는 프란시스와 엘리노어라는 두 딸을 두었다. 그는 1996년 7월 22일에 사망했고, 그녀는 2년 후인 1998년 4월 23일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롤리에서 사망하였다. 그는 82세였고 그녀는 83세였다.

그는 1930년대와 1940년대에 유명한 밴드 리더였던 케이 키저(Kay Kyser)의 사촌이다.

참고 문헌 목록

  • Royster, Vermont C. (1962). Journey through the Soviet Union. New York: Dow Jones. LCCN 62052268. OCLC 2809888.
  • Royster, Vermont C. (1967). A Pride of Prejudices. New York: Knopf. LCCN 67022219. OCLC 369163.
  • Royster, Vermont C. (1983). My own, My country's time : a journalist's journey. Chapel Hill, N.C.: Algonquin Books. ISBN 9-912697-02-4. LCCN 83232385. OCLC 10029654.CS1 maint: ISBN 오류 무시(링크)
  • Fuller, Edmund (1985). The essential Royster : a Vermont Royster reader. Chapel Hill, N.C.: Algonquin Books. ISBN 0912697199. LCCN 85001302. OCLC 11728333.

메모들

  1. ^ Richard Better, "Wall Street Journal", 브루스 프로넨, 에드. 미국 보수주의 (2006) 페이지 898–99
  2. ^ "State reporter awarded Loeb". The Raleigh Register. 96 (80) (afternoon ed.). United Press International. September 24, 1975. p. 1. Retrieved February 15, 2019 – via Newspapers.com.

참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