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 다발릴로

Vic Davalillo
빅 다발릴로
1968년 캘리포니아 에인절스의 다발릴로
외야수
출생: (1939-07-31) 1939년 7월 31일
카비마스, 줄리아, 베네수엘라
사망 : 2023년 12월 6일 (2023-12-06) (84세)
타점: 왼쪽
던짐: 왼쪽
MLB 데뷔전
1963년 4월 9일 클리블랜드 인디언스에서
MLB 마지막 출전
1980년 10월 6일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에서
MLB 통계
타율.279
홈런36
타점329
경력 하이라이트 및 수상
베네수엘라 국회의원
야구 명예의 전당
인덕션2003

빅토르 호세 다발릴로 로메로(, 1939년 7월 31일 ~ 2023년 12월 6일)는 베네수엘라의 전 야구 선수이다. 1963년부터 1982년까지 메이저 리그멕시코 리그에서 외야수로 활약했습니다.

Davalillo (pronounced da-va-LEE-yo) played in Major League Baseball (MLB) for the Cleveland Indians (1963–68), California Angels (196869), St. Louis Cardinals (196970), Pittsburgh Pirates (197173), Oakland Athletics (197374), and Los Angeles Dodgers (197780)[1] as an outfielder.

왼손 타자를 치고 던진 다발릴로는 빠른 주루와 능력 있는 수비로 유명한 선두 타자였습니다.[2][3] 그는 인디언스 시절 팬들이 가장 좋아하는 선수였고, 그의 경력 후반에 귀중한 유틸리티 플레이어가 되었습니다.[4] 그는 뛰어난 대타로도 인정받았습니다.[5]

다발리요는 베네수엘라 윈터 리그에서도 뛰어난 경력을 가지고 있었는데, 그는 총 주루 안타와 통산 타율에서 역대 선두를 달리고 있습니다.[6] 그는 미국, 멕시코, 고국에서 30년간 뛰며 총 4100개 이상의 안타를 기록했습니다.[7]

초기생

2006년, 그는 전기 작가에게 그가 1939년 7월 31일 팔콘추루과라에서 태어났다고 전했지만, 그는 그의 출생지를 베네수엘라의 카비마스라고 언급했습니다.[6][8] 그의 가족은 그가 태어난 지 며칠 후에 카비마스로 이사를 갔습니다. 그는 마라카이보 호수코스타 오리엔탈 지역에서 자랐습니다.[2][6] 그의 형인 Pompeyo Davalillo1953년워싱턴 세너터스에서 잠깐 뛰었습니다.[2]

미국 마이너리그 경력

다발릴로는 투수로서의 경력을 시작했습니다. 그는 1958년 신시내티 레즈와 아마추어 자유계약선수(FA) 계약을 맺었습니다.[9][10] 그는 1961년 인디언스 조직에 팔렸고, 국제 리그트리플 A 클럽인 잭슨빌로 승진했습니다.[11] 다발릴로는 1962년에 .346의 타율로 잭슨빌 선스 역사상 최초의 타격 타이틀을 획득했습니다.[2][9][12]

메이저리그 통산 (1기)

다발릴로는 1963년 선두타자와 중견수로 인디언스에 입단하면서 메이저리그에서 활약한 8번째 베네수엘라인이 되었습니다.[1][6] 6월 중순까지 그는 타율 0.304를 기록했고 아메리칸 리그 신인왕을 위한 배려를 받고 있었는데, 그 때 그는 행크 아기레의 투구에 맞아 손목이 부러지는 부상을 당했습니다.[2][13][14] 그는 부상에서 돌아와 90경기에서 통산 7홈런과 함께 .292의 타율로 인디언스를 이끌었지만 부상 후 그는 왼손 투구에 대해 결코 같은 타자가 아니었습니다.[1][6][15] 10월, 그는 1963년 탑스 올스타 루키 팀에 지명되었습니다.[16] 다음 시즌, 다발리요는 중견수들 사이에서 수비율에서 리그 2위를 차지했고 1964년 아메리칸 리그 골드 글러브수상자로 지명되었습니다.[17][18] 그는 아메리칸 리그 골드 글러브 상을 수상한 최초의 왼손잡이 외야수였습니다 (바다 핀슨은 왼손잡이 외야수로서 1961년 내셔널 리그 골드 글러브 상을 수상했습니다).

1965년, 다발리요는 시즌 중반에 타율 3할 4푼 5리로 리그를 이끌었고, 1965년 올스타전에서 아메리칸 리그 팀의 주전 중견수로 자리를 잡았습니다.[19][20] 는 1965년 시즌을 3할대 타율로 마쳤고, 이는 아메리칸 리그에서 토니 올리바와 칼 야스트르젬스키에 이어 세 번째로 좋은 기록입니다.[21] 다발리요는 1966년에 오프 시즌을 보냈고, 인디언스는 그들이 우완 투수들을 상대할 때 그를 연기하면서 플래툰 역할로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6][22] 1967년 우완 투수를 상대로 타율 0.302를 기록했지만, 좌완 투수를 상대로 타율 0.188, 전체 평균 0.287을 기록하는데 그쳤습니다.[23]

다발릴로는 1968년 6월 15일 트레이드 마감 에 인디언스에서 캘리포니아 에인절스로 이적되었을 때 .239의 타율과 12타점을 기록했습니다.[24] 그는 트레이드 후 에인절스를 이끌기 위해 반등하여 .298의 타율로 아메리칸 리그에서 6번째로 높은 .277의 평균과 함께 시즌을 마쳤습니다.[1] 투구가 지배하는 시대에, 1968년에 3할 이상의 평균을 친 선수는 아메리칸 리그에서 유일하게 야스트르젬스키였습니다.[25]

1969년 1월, 다발리요는 베네수엘라 윈터 리그에 참가하기 위해 베네수엘라에 있는 동안 신경쇠약에 걸렸습니다.[26] 그는 1969년 시즌 33경기에서 타율 0.155에 그쳤고 5월 30일 세인트루이스로 트레이드되었습니다. 짐 힉스의 루이스 카디널스.[11] 1969년 6월 1일 자신의 첫 내셔널 리그 타석에서 다발리요는 3점 홈런을 [27]쳤습니다. 그는 또한 1969년에 카디널스의 구원 투수로서 두 번 출전했지만 타자들을 한 명도 은퇴시키지 못했습니다.[28] 그는 메이저리그 역사상 무한한 평균자책점을 기록한 14명의 투수 중 한 명이며, 한 경기 이상 등판한 유일한 투수입니다.[29]

다발릴로는 1970년 카디널스에서 유틸리티 플레이어이자 매우 효과적인 대타가 되었습니다. 그는 원래 1970년에 24개의 대타를 친 것으로 인정받았는데, 이것은 샘 레슬리(1932)가 세웠던 내셔널 리그 기록을 깨고 레드 쇼엔디엔스트(1962)와 동률을 이루었습니다. 그는 또한 표면적으로는 1961년 데이브 필리가 세운 메이저리그 단일 시즌 기록과 동률을 이뤘습니다. 그 후 총합은 23으로 수정되었지만, 다발릴로가 그것을 보유한 것으로 인정받았지만, 호세 모랄레스에 의해 1976년에 깨졌습니다.[30][6][4][31][32] 이전 내셔널 리그 기록 보유자 중 한 명은 또한 1970년에 그의 감독레드 쇼엔디엔스트였습니다.[33] 다발릴로는 시즌을 .311의 평균과 33점의 타점으로 마쳤습니다.[1]

1971년 1월, 카디널스는 넬슨 브릴레스와 함께 마티 알루와 조지 브루넷을 위해 다발릴로를 피츠버그 파이리츠로 트레이드했습니다.[11] 대부분 오른손 투수들을 상대하며 외야 3개 포지션과 1루수를 모두 소화하며 유틸리티 플레이어로서의 역할을 이어갔습니다.[5] 다발릴로는 파이리츠가 내셔널 리그 동부 디비전 타이틀을 차지하는 데 도움을 주면서 .285의 타율과 함께 올해를 마쳤습니다.[34] 파이어리츠는 1971년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에서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를 물리치고 볼티모어 오리올스를 상대로 1971년 월드 시리즈에서 우승했습니다. 1972년에는 팀이 1972년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에서 신시내티 레즈에 패하기 전까지 117경기에서 통산 .318의 타율을 기록하며 팀의 동부 디비전 페넌트 우승에 일조하는 등 귀중한 롤 플레이어로 계속 활약했습니다.[1][5]

1973년 7월, 파이어리츠는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에 다발릴로를 팔았고, 오클랜드 애슬레틱스는 캔자스시티 로열스페넌트레이스를 벌이고 있었습니다.[11][35] 애슬레틱스는 결국 아메리칸리그 서부지구 우승을 차지했고 1973년 아메리칸리그 챔피언십 시리즈에서 볼티모어 오리올스와 맞붙었습니다. 다발릴로는 결정적인 5차전에서 결정적인 타점 3루타를 포함하여 챔피언십 시리즈 동안 8타수 5안타 타율 0.625를 기록했습니다.[36][37][38]

그리고 나서 애슬레틱스는 1973년 월드 시리즈에서 뉴욕 메츠를 물리쳤습니다.[39] 다발리요는 7경기 중 6경기에 출전했는데, 중견수로 두 차례 선발 출전해 11타수 1안타를 기록했습니다.

1974년 시즌에 애슬레틱스 소속으로 17경기에 출전한 후, 다발릴로는 5월 30일에 방출되었습니다.[1]

멕시칸 리그

그 후 다발릴로는 멕시코 리그에서 세 시즌을 뛰었습니다. 그는 1977년 타율 0.384로 리그 최고 타자였습니다. 그는 가끔 투구를 계속했습니다.

메이저 복귀

LA 다저스는 1977년 8월 경험이 풍부한 리저브를 노리며 다발리요의 계약을 매입했습니다.[6][9][4] 1977년 다저스에서 대타 겸 수비 대타로 활약하며 24경기 타율 0.313을 기록,[1] 내셔널리그 서부지구 우승에 힘을 보탰습니다. 그리하여 다발리요는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에서 세 개의 다른 팀에서 뛴 최초의 메이저리거가 되었습니다. (1971-1972년 피츠버그, 1973년 오클랜드, 1977년 로스앤젤레스).[15][36]

다발릴로의 대타 재능은 1977년 필라델피아 필리스와의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3차전에서 다저스가 역전승을 거두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40] 9회 2사에서 필리스에 5-3으로 뒤진 그는 완벽하게 실행된 드래그 번트로 필리스 수비진을 놀라게 하며 3점차 랠리를 이끌었습니다.[41] 매니 모타가 2루타로 다발릴로를 홈으로 몰아넣은 뒤 데이비 로페스1루타로 동점을 만들었습니다.[42] 다저스는 결국 경기에서 이겼고 4차전에서 승리하여 내셔널 리그 우승을 차지했습니다.[43]

1977년 뉴욕 양키스와의 월드시리즈에서 다발릴로는 3번의 대타 경기에 출전하여 다저스가 6경기에서 시리즈에서 패하면서 단 1개의 홈런으로 홈런을 쳤습니다.[36][44]

1978년 42세의 나이로 다발릴로는 다저스의 대타로 .312의 타율을 기록했고, 1978년 월드시리즈에서 뉴욕 양키스에 2년 연속 패배하기 전에 다시 한 번 내셔널리그 페넌트 우승을 차지했습니다.[1][45]

다발리요는 토미 라소르다 감독의 선수단에 남아 1979년 시즌을 시작했지만, 6월 중순, 그는 17년 만에 트리플A로 복귀했습니다. 그는 9월에 빅 클럽에 다시 가입했고, 10타수 4안타를 기록했습니다.[6]

멕시코와 메이저에서 지속적인 활동

1979년 시즌 후 다저스는 다발릴로를 방출했습니다. 그는 멕시코로 돌아왔고, 94경기에서 .394의 타율을 기록한 후, 다저스는 그를 위해 다시 손을 내밀었습니다. 그는 앨버커키에 있는 다저스의 트리플 A 팀에서 뛰었고 1980년 9월과 10월에 마지막 6번의 빅 리그 타석에서 44세의 나이로 소집되었습니다.[6]

다발리요는 1981년 멕시칸 리그에서 마지막 40경기에 출전했습니다. 그러나, 그의 경력은 국경 남쪽의 리가 나시오날에서 계속되었습니다. 이 서킷은 1981년 멕시코 선수 협회인 ANABE(Asociación Nacional de Beisbolista)에 의해 시작되었습니다. 1982년, 다발리요는 레취게로스 데 레온에서 뛰었습니다. 만약 리가 나시오날의 기록이 여전히 존재한다면, 그것들을 찾는 것은 매우 어려울 것입니다. 그러나 분명히 다발릴로는 상추 그라우저스에서 124경기에서 .360의 타율을 기록했습니다. 1986년, 그는 또다른 나시오날 소속 구단인 투조스 데 자카테카스로 초대받았지만, 그는 고퍼스 소속으로 뛰기 전에 순회 경기가 중단되었습니다.[6][7]

윈터리그 경력

다발리요는 50세까지 베네수엘라 윈터 리그에서 계속 뛰었습니다.[46] 1957년부터 1987년까지 30시즌을 뛰었습니다.

다발리요는 1987년 캐리비안 시리즈에 출연한 후 은퇴했습니다.[6]

베네수엘라의 다른 리그

  • 1959-60: 리가 옥시덴탈 줄리아나 (포스트시즌 강화)[7]
  • 1983: 리가 센트로 옥시덴탈[7]
  • 1985-86: 리가 데 베라노 (선수 겸 감독)[7]
  • 1985년: 리가 인스트루시브 "엔젤 밀란"[7]

죽음.

다발리요는 2023년 12월 6일 향년 84세의 나이로 사망했습니다.[47]

경력통계

16년의 메이저 리그 경력에서 다발릴로는 1,458개의 경기에 출전하여 4,017개의 타석에서 1,122개의 안타를 기록하여 36개의 홈런, 329개의 타점, .315 출루율, 509개의 득점, 160개의 2루타, 37개의 3루타, 125개의 도루와 함께 통산 타율을 기록했습니다.[1] 그는 .988의 수비율로 중견수에서 선수 생활을 마쳤고, 1913년 이래 메이저 리그 중견수 중 61위를 차지했습니다.[48]

베네수엘라 윈터리그에서 그는 타율(.325), 안타(1,505), 경기 출전(1,280), 타수(4,633), 득점(668), 2루타(196), 타수(483), 경력 시즌(30)에서 여전히 유효한 평생 리그 기록을 세웠습니다.[6][46][49][50] 이 외에도, 그는 4번의 타격 타이틀을 획득했고, 한 시즌에 안타(100개) 기록을 세웠습니다.[6][50]

2019년 전기 바이티컬 베이트는 프로 통산 4,158개의 안타를 기록했습니다.

  • 베네수엘라 윈터리그 정규시즌 안타 1,505개와 함께 리그 포스트시즌 131개, 올스타전 21개 추가
  • 메이저리그 1,122명과 함께 MLB 포스트시즌 10명, 올스타전 1명 추가
  • 미국 마이너리그에서 379명과 함께 3명이 올스타전에 출전했습니다.
  • 829 인 멕시코
  • 다른 베네수엘라 리그에서 130개
  • 캐리비안 시리즈와 인터아메리칸 시리즈[7] 27편

이 총액은 미국 마이너리그 포스트시즌 경기를 고려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또한엔시클로피디아 비스볼 멕시카노는 다발릴로에게 멕시코 리그에서 782점의 공을 돌렸습니다. 리가 나시오날의 총합을 중심으로 불확실성이 존재합니다.

명예

1987년 줄리아주 카비마스에 있는 야구장은 에스타디오 빅토르 다발릴로로 이름이 바뀌었습니다.[6] 베네수엘라 프로 야구 리그에서 가장 가치 있는 선수상 또한 그의 이름을 따서 붙여졌습니다.[6]

2003년, 다발릴로는 베네수엘라 야구 명예의 전당과 박물관의 첫 수업에 선정되었습니다.[6]

베네수엘라 겨울 리그는 다발리요를 기리기 위해 2019-20 시즌을 치렀습니다.[6]

2022년 3월, 카라카스의 유소년 야구 프로그램 "Escuela de Beisbol Menor Victor Davalillo"가 운영을 시작했습니다.[6]

"프랜차이즈의 초상: 60년대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야구에 대한 친밀한 시선"에는 다발릴로에 대한 장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참고 항목

참고문헌

  1. ^ a b c d e f g h i j "Vic Davalillo Stats". Baseball-Reference.com. Sports Reference LLC. 2011. Retrieved February 8, 2011.
  2. ^ a b c d e Stann, Francis (December 1963). "Vic Davalillo May Prove He Was '63's Top Rookie In '64". Baseball Digest. Century Publishing. Retrieved February 8, 2011.
  3. ^ Rumill, Ed (May 1964). "A Three-Gear Base Runner". Baseball Digest. Century Publishing. Retrieved February 8, 2011.
  4. ^ a b c "www.netshrine.com". netshrine.com. Retrieved 8 February 2011.
  5. ^ a b c Tobin, Jack (August 28, 1972). "Brobdingnagian In Lilliput". SI.com. Sports illustrated. Retrieved February 8, 2011.
  6.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SABR 야구 전기 프로젝트의 빅 다발릴로, 로리 코스텔로, 2011년 10월 25일 회수.
  7. ^ a b c d e f g González, Javier and Carlos Figueroa Ruiz (2019). Vitico al Bate. Biblioteca Digital Banesco.
  8. ^ Fuenmayor, Asdrúbal (2006). Víctor Davalillo. Colección de Bolsillo Radio Deporte 1590 AM.
  9. ^ a b c "Vic Davalillo at Baseball Cube". thebaseballcube.com. Retrieved 8 February 2011.
  10. ^ Rumill, Ed (September 1965). "A Slap Champ?". Baseball Digest. Retrieved 8 February 2011.
  11. ^ a b c d "Vic Davalillo Trades and Transactions". Baseball Almanac. Retrieved 8 February 2011.
  12. ^ "1962 International League Batting Leaders". Baseball Reference. Retrieved 8 February 2011.
  13. ^ "1963 Vic Davalillo batting log". Baseball Reference. Retrieved 7 February 2011.
  14. ^ "Persistent Peters Top Rookie". Sarasota Journal. Associated Press. 22 November 1963. p. 79. Retrieved 7 February 2011.
  15. ^ a b Schneider, Russell (2004). The Cleveland Indians Encyclopedia. ISBN 9781582618401. Retrieved 8 February 2011.
  16. ^ "Berra 'Knew' Year Ago". Reading Eagle. 25 October 1963. p. 22. Retrieved 8 February 2011.
  17. ^ "1964 American League Fielding Leaders". Baseball Reference. Retrieved 7 February 2011.
  18. ^ "1964 Gold Glove Award winners". Baseball Reference. Retrieved 7 February 2011.
  19. ^ "1965 All-Star Game". Baseball Reference. Retrieved 8 February 2011.
  20. ^ "AL Picks Bats In All-Star Vote". Schenectady Gazette. Associated Press. 1 July 1965. p. 31. Retrieved 6 February 2011.
  21. ^ "1965 American League Batting Leaders". Baseball Reference. Retrieved 8 February 2011.
  22. ^ August, Bob (August 1966). "The Big Hole in the Platoon". Baseball Digest. Retrieved 8 February 2011.
  23. ^ "1967 Vic Davalillo batting splits". Baseball Reference. Retrieved 8 February 2011.
  24. ^ 1968년 6월 17일 월요일, Scenectady (NY) Gazette "메이저 리그 팀들이 막판 트레이드 스퍼트로 시계를 이겼습니다." 2023년 2월 17일 회수.
  25. ^ "1968 American League Batting Leaders". Baseball Reference. Retrieved 8 February 2011.
  26. ^ Vass, George (April 1969). "How Big League Clubs Shape Up For 1969". Baseball Digest. Retrieved 8 February 2011.
  27. ^ "Cardinals, Dodgers And Pirates Explode Into June". St. Petersburg Times. Associated Press. 2 June 1969. p. 2. Retrieved 7 February 2011.
  28. ^ "1969 Vic Davalillo pitching log". Baseball Reference. Retrieved 8 February 2011.
  29. ^ "To Infinity And Beyond! » Baseball-Reference Blog » Blog Archive". Baseball Reference. Retrieved 19 Aug 2016.
  30. ^ "Pinch Hitter records". Baseball Almanac. Retrieved 8 February 2011.
  31. ^ Vass, George (November 2004). "Pinch Hitting: Baseball's Toughest Job". Baseball Digest. Retrieved 9 February 2011.
  32. ^ Dunn, Bob (27 September 1976). "The Super Supernumerary". Sports Illustrated. sportsillustrated.cnn.com. Retrieved 9 February 2011.
  33. ^ Beach, Jerry (June 1999). "Hitting In A Pinch; Baseball's Most Difficult Job". Baseball Digest. Retrieved 9 February 2011.
  34. ^ "1971 Pittsburgh Pirates". Baseball Reference. Retrieved 8 February 2011.
  35. ^ "1973 Oakland Athletics". Baseball Reference. Retrieved 8 February 2011.
  36. ^ a b c "Vic Davalillo post-season batting statistics". Baseball Reference. Retrieved 8 February 2011.
  37. ^ "1973 American League Championship Series". Baseball Reference. Retrieved 8 February 2011.
  38. ^ "1973 American League Championship Series Game 5 box score". Baseball Reference. Retrieved 8 February 2011.
  39. ^ "1973 World Series". Baseball Reference. Retrieved 8 February 2011.
  40. ^ Fitzpatrick, Frank (2004). You Can't Lose 'Em All: The Year the Phillies Finally Won the World Series. ISBN 9781589790865. Retrieved 8 February 2011.
  41. ^ "Dodger Comeback Sinks Phils". Spokane Daily Chronicle. Associated Press. 8 October 1977. p. 12. Retrieved 8 February 2011.
  42. ^ "1977 National League Championship Series Game 3 box score". Baseball Reference. Retrieved 8 February 2011.
  43. ^ "1977 National League Championship Series". Baseball Reference. Retrieved 8 February 2011.
  44. ^ "1977 World Series". Baseball Reference. Retrieved 8 February 2011.
  45. ^ "1978 World Series". Baseball Reference. Retrieved 8 February 2011.
  46. ^ a b "Davalillo, 47, Still Going Strong". Los Angeles Times. United Press International. 8 February 1987. Retrieved 8 February 2011.
  47. ^ 팔레체 비티코 다발릴로, 레이엔다 베네솔라나엔 그란데스 리가시 라 LVBP (스페인어로)
  48. ^ "Career Leaders & Records for Fielding Percentage as Center Fielder". Baseball Reference. Retrieved 8 February 2011.
  49. ^ 라틴 비트가 있는 야구: 피터 C의 라틴 아메리카 게임의 역사. Bjarkman, McFarland, 1994 ISBN 0-89950-973-8 ISBN 978-0-89950-973-0
  50. ^ a b Bjarkman, Peter (2005). Diamonds around the globe: the encyclopedia of international baseball. ISBN 9780313322686. Retrieved 9 February 2011.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