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의 철야
Vigil in the Night밤의 철야 | |
---|---|
![]() 연극 포스터 | |
연출자 | 조지 스티븐스 |
작성자 | 프레드 구이올 P. J. 울프슨 롤랜드 리 |
에 기반을 둔 | 밤의 철야 A. J. 크로닌에 의해 |
생산자 | 조지 스티븐스 |
주연 | 캐롤 롬바르드 브라이언 애런 앤 셜리 |
시네마토그래피 | 로버트 드 그라세 |
편집자 | 헨리 버먼 |
음악 기준 | 알프레드 뉴먼 |
생산 동행이 | |
배포자 | RKO 라디오 픽처스 주식회사 |
출시일자 |
|
러닝타임 | 96분 102분(미국) |
나라 | 미국 |
언어 | 영어 |
예산 | $920,000[1] |
박스오피스 | $1,004,000[1] |
《밤의 밤샘》은 A. J. 크로닌이 1939년 연재 소설 《밤의 밤샘》을 원작으로 한 1940년 영화(RKO Pictures가 제작, 배급)이다. 이 영화는 조지 스티븐스가 제작하고 감독했으며 캐롤 롬버드, 브라이언 애런, 앤 셜리가 주연을 맡았다.
플롯
영국에서는 밤샘 간호사인 앤 리(Carole Lombard)가 간호사였던 언니 루시(Anne Shirley)가 저지른 치명적인 실수에 대한 책임을 지고 둘 다 일하는 병원을 떠나야 한다. 그녀는 다른 병원에서 일을 하는 대도시로 이사하여 로버트 프레스콧 박사(브리안 아헤른)와 사랑에 빠진다. 도중에 장애물과 개인적인 비극을 극복하면서, 앤과 프레스콧은 이 도시의 아이들을 위협하는 홍역 전염병과 싸우기 위해서뿐만 아니라 환자들을 돌볼 수 있는 더 나은 조건을 가져오기 위해 함께 일한다.
대체 버전
이 영화의 유럽 개봉은 약간 다른 결말을 가지고 있다: 네빌 체임벌린 영국 총리의 목소리가 프레스콧 박사의 사무실에서 라디오를 통해 히틀러가 폴란드에서 군대를 철수하는 것을 거부했으며, 따라서 독일과 영국 사이에 전쟁 상태가 존재한다는 것을 설명하는 것이다. 미국이 아직 제2차 세계대전에 돌입하지 않았기 때문에, 미국의 발표에는 그러한 라디오 메시지가 담겨 있지 않고, 뉴스에 반응하는 앤 리와 프레스콧 박사의 촬영이 삭제되었다.
캐스트
- 앤 리 역의 캐롤 롬바르드
- 로버트 프레스콧 박사 역의 브라이언 아헤른
- 루시 리 역의 앤 셜리
- 줄리앙 미첼 역
- 닥터 케일리 역의 로버트 코테
- 노라 던 역의 브렌다 포브스
- 글레니 역의 리타 페이지
- 조 샨드 역의 피터 쿠싱
- 매트론 이스트 역의 에델 그리피스
- 마사 보울리 부인 역의 도리스 로이드
- 길슨 수녀 역의 에밀리 피츠로이
- 토미 역의 도니 뒤너건 (미수)
참고 항목
참조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스는 '밤의 밤'에 관한 매체(영화)를 갖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