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센트 유만스
Vincent Youmans빈센트 유만스 | |
---|---|
![]() | |
배경 정보 | |
출생명 | 빈센트 밀리 유만스 |
태어난 | 미국 뉴욕 | ) 1898년 9월 27일
죽은 | 1946년 4월 5일 미국 콜로라도 주 덴버 | (47세)
직업 | 브로드웨이 작곡가, 브로드웨이 프로듀서, 노래 출판사 |
빈센트 밀리 유만스(1898년 9월 27일 ~ 1946년 4월 5일)는 미국의 브로드웨이 작곡가 겸 프로듀서였다.[1]
그의 시대의 대표적인 브로드웨이 작곡가인 유만스는 사실상 브로드웨이에서 가장 위대한 작사가들과 협력했다. 아이라 거쉰, 오토 하바흐, 오스카 해머스타인 2세, 어빙 시저, 앤 칼드웰, 레오 로빈, 하워드 디츠, 클리포드 그레이, 빌리 로즈, 에드워드 엘리스, 에드워드 헤이먼, 해롤드 애덤슨, 버디 데실바, 거스 칸.[2] 유만의 초기 곡들은 멜로디 소재의 경제성으로 주목할 만하다. 2음, 3음 또는 4음절 구절은 미묘한 조화 또는 리듬 변화에 의해 끊임없이 반복되고 변화한다. 그러나 그는 말년에 더 긴 음악 문장과 랩소딕적인 멜로디 라인으로 전향했다.[3] 유만은 100곡 미만의 곡을 발표했지만, 이 중 18곡이 ASCAP에 의해 표준으로 간주되어 현저하게 높은 비율을 보였다.[3]
전기
유만은 미국 뉴욕시에서 모자 제조가들의 번창하는 집안으로 태어났다.[4] 그가 두 살이었을 때, 그의 아버지는 가족을 뉴욕의 상류층 Larchmont로 옮겼다.[5] 유만스는 뉴욕 마마로넥의 트리니티 스쿨과 뉴욕 례의 히스코트 홀을 다녔다. 그의 야망은 처음에는 엔지니어가 되는 것이었고, 그는 예일 대학교에 잠시 다녔다. 그는 월 스트리트 중개 회사의 주자가 되기 위해 중퇴했지만, 비록 전투는 보지 못했지만, 곧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해군에 징집되었다.[4] 일리노이에 주둔하는 동안, 그는 극장에 관심을 가지고 해군용 군대 쇼를 제작하기 시작했다.[4]
전쟁이 끝난 후, 유만은 제롬 H. 레믹 음악 출판사의 틴 판 앨리의 노래 플러그인이었고, 그 후 작곡가 빅터 허버트의 오페렛타스의 리허설 피아니스트가 되었다.[2] 1921년에는 첫 브로드웨이 작곡 크레딧을 가져온 Two Little Girls in Blue의 악보에 작사가 Ira Gershwin과 협연하였으며, 첫 히트곡 "Oh Me! Oh My!", TB Hargets Company와 계약을 맺었다.[4] 그의 다음 쇼는 와일드플라워(1923년)로, 오토 하바흐와 오스카 해머슈타인 2세의 가사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4] 그의 가장 오래 지속되는 성공은 어빙 카이사르의 가사를 쓴 노, 노, 나넷으로, 시카고에서의 전례 없는 시도와 그 후의 국내외 투어 끝에 1925년 브로드웨이에 도달했다.[6] 아니, 노나넷은 유럽과 미국에서 1920년대 최대의 뮤지컬 코미디 성공작이었고, 그의 두 곡인 "Tea for Two"와 "I Want to Be Happy"는 전 세계적인 히트곡이었다.[4] 두 곡 모두 표준으로 간주된다.[4] '티 포 투'는 수십 년 동안 가장 많이 녹음된 인기곡 중 하나로 꾸준히 순위에 올랐다.[3]
1927년에 유만은 자신만의 브로드웨이 쇼를 제작하기 시작했다. 그는 또한 자신의 출판사 TB 해러스 컴퍼니를 떠나 자신의 곡을 출판하기 시작했다.[4] 그는 히트곡 "때때로 나는 행복하다"와 "할렐루야"[4]를 포함하는 "Hit the Deck!" (1927년)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1927년 이후 그의 후속 작품은 히트곡("Great Day and "Without a Song")(1929), "Time On My Hands"(1930), "Through the Years"의 타이틀 곡에도 불구하고 실패작이었다.[4] 그가 브로드웨이에 마지막으로 기여한 곡은 Take a Chance(1932년)를 위한 추가곡이었다.[3]
1933년에 유만은 Fred Astaire와 Ginger Rogers를 특집으로 한 첫 영화인 Fly Down to Rio의 곡을 썼다.[4] 그의 악보에는 '달빛 속의 오르치즈' '카리오카' '음악은 나를 만든다' '타이틀곡' 등이 수록됐다.[3] 이 영화는 엄청난 히트를 쳤고, 비록 그가 다시는 아스테르/로거스를 위해 작곡한 적은 없지만, 이 작곡가의 직업적인 전망을 되살렸다.
겨우 13년의 직업 경력을 가진 유만스는 결핵에 걸린 후 1934년 강제로 은퇴하였다.[4] 그는 그 질병과 싸우며 여생을 보냈다.[4] 그가 브로드웨이로 돌아온 것은 라벨의 다프니스 et Chloé를 포함한 라틴 아메리카와 클래식 음악을 야심차게 혼합한 빈센트 유만의 발레 레부(1943)라는 불운한 화려한 무대를 꾸미는 것뿐이다. 레오니드 마사인이 안무를 맡았다.[4] 그 생산은 400만 달러의 손실을 보았다.[7]
그는 47세의 나이로 콜로라도주 덴버에서 결핵으로 사망했다.[4] 그가 사망할 당시 유만은 많은 양의 미발표 자료를 남겼다. 1970년에 유만은 작사가 명예의 전당에 추증되었다. 1971년 No, Nanette는 루비 킬러가 주연한 브로드웨이 부흥기를 누렸고, 버스비 버클리(Busby Berkeley)가 안무를 맡아 브로드웨이에서 향수 시대를 시작했다는 평가를 받았다.[8] 1983년, 그는 미국 극장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9]
빈센트 유만의 음악이 있는 브로드웨이 뮤지컬
- 투 리틀 걸 인 블루 (1921년)
- 야생화(1923년)
- 메리 제인 맥케인 (1923년)
- 롤리팝 (1924년)
- 아니, 아니, 나네트(1925, 1971년 부활)
- 오, 제발! (1926년)
- 갑판 치기(1927년)
- 레인보우 (1928년)
- 베니스의 밤 (1929년)
- 위대한 날! (1929년)
- 미소(1930)
- Through the Years(1932)
- 기회 포착(1932); 추가 노래만 해당
- 빈센트 유만 발레 레뷔(1943)[4]
빈센트 유만의 음악이 담긴 영화
- 아니, 아니, 나네트(1930)
- 갑판 치기(1930)
- 서양의 노래 (1930년)
- 과부라니!(1930년)
- Take a chance (1933년)
- 플라잉 다운 투 리오 (1933년)
- 아니, 아니, 나네트(1940)
- 2인용 차(1950)
- 갑판 치기(1955)[10]
노래들
- 에드워드 헤이먼의 가사가 들어간 "초대"
- 젤다 시어스와 월터 드 레온의 가사가 실린 "고아가 내게는 소녀다"
- Ring Lardner의 가사가 들어간 "Anyway, We Had Fun"
- 허버트 스토타트의 도움과 오토 하바흐와 오스카 해머슈타인 2세의 가사를 곁들인 "4월의 꽃"
- 클리포드 그레이와 레오 로빈의 가사가 들어간 "Armful of You"
- 허버트 스토타트의 도움과 오토 하바흐와 오스카 해머스타인 2세의 가사를 곁들인 "밤발리나"
- 링 라드너의 가사가 실린 "Be Good to Me"
- 클리포드 그레이와 해롤드 애덤슨이 가사를 쓴 "블루 바워리"
- 젤다 시어스와 월터 드 레온의 가사가 들어간 '보구'
- 오토 하바흐와 슈일러 그린의 가사가 실린 「옆집 소년」
- 오스카 해머슈타인 2세의 가사와 함께 "하얀 옷을 입은 신부"
- 오토 하바흐와 어빙 카이사르의 가사가 실린 '바다의 부름'
- 거스 칸과 에드워드 엘리스의 가사가 들어간 "카리오카"는 다음과 같다. 아카데미 원곡상[11] 후보작
- 해롤드 애덤슨의 가사와 함께 "Carry on Keep Smile"
- 클리포드 그레이와 해롤드 애덤슨의 가사가 실린 '중국당'
- 오스카 해머스타인 2세와 오토 하바흐의 가사가 실린 "이리와 나를 펫 미"
- 허버트 스토타트의 도움과 오토 하바흐와 오스카 해머스타인 2세의 가사를 곁들인 "코스 I Will"
- "크리스탈 레이디"
- 클리포드 그레이와 해롤드 애덤슨의 가사가 들어간 '댄싱 웨딩'
- 어빙 시저와 오토 하바흐의 가사가 들어간 '깊은 푸른 바다'
- 젤다 시어스와 월터 드 레온의 가사가 담긴 "Deep in My Heart"
- 오스카 해머스타인 2세의 가사가 실린 "Diamond in the Rough"
- 아이라 거슈윈과 슈일러 그린의 가사가 들어간 '돌리'
- 윌리엄 로즈, 에드워드 엘리스키 등의 가사와 함께 "아가씨가 되는 것이 돈벌이가 되는가?"
- 오토 하바흐와 어빙 카이사르의 가사가 실린 드레스 퍼레이드
- 에드워드 헤이먼의 가사가 실린 "드럼스 인 마이 하트"
- 어빙 시저와 오토 하바흐의 가사가 실린 "Fight Over Me"
- 어빙 시저와 오토 하바흐의 가사가 실린 "플래퍼 아 웨"
- 거스 칸과 에드워드 엘리스의 가사가 실린 "Flying Down to Rio"
- 젤다 시어스와 발터 드 레온의 가사가 실린 "조정하러 가다"
- 허버트 스토타트의 도움과 오토 하바흐와 오스카 해머스타인 2세의 가사를 담은 "굿바이 리틀 로즈버드"
- 윌리엄 로즈와 에드워드 엘리스의 가사가 들어간 "Great Day"
- 클리포드 그레이와 레오 로빈의 가사가 들어간 "할렐루야"
- 윌리엄 로즈와 에드워드 엘리스키의 가사가 담긴 "사랑하기 때문에 행복하다"
- 클리포드 그레이와 레오 로빈의 가사가 실린 "내 마음의 항구"
- 오스카 해머스타인 2세의 가사가 들어간 "헤이 스트로프"
- 아이라 거쉰의 가사가 실린 "여기, 스튜어드"
- 클리포드 그레이와 해롤드 애덤슨의 가사가 실린 "Here's a Day to Be Happy"
- 젤다 시어스와 월터 드 레온의 가사가 들어간 '허니 번'
- 클리포드 그레이와 해롤드 애덤슨이 가사를 쓴 "핫차 마 쵸치"
- 에드워드 헤이먼의 가사가 실린 "신부란 얼마나 행복한가"
- 앤 콜드웰의 가사가 들어간 "I Know That You Know"
- 윌리엄 로즈와 에드워드 엘리스의 가사가 들어간 "I Like What You Like"
- 오스카 해머스타인 2세의 가사가 실린 "I Like You As You Are"
- 오스카 해머스타인 2세의 가사가 들어간 "I Want a Man"
- 오토 하바흐와 어빙 카이사르의 가사가 실린 '행복해지고 싶다'
- 버디 드 실바의 가사가 담긴 "I Want Be With You"
- 허버트 스토타트의 도움과 오토 하바흐, 오스카 해머스타인 2세의 가사로 "만약 내가 너에게 말했다면"
- 링 라드너의 가사가 실린 "If I Wer You"
- 클리포드 그레이와 해롤드 애덤슨의 가사가 실린 "기다려줘서 기쁘다"
- 에드워드 헤이먼의 가사와 함께 "I'll Come Back to You"
- 젤다 시어스의 가사가 들어간 "It Must Be Love"
- 에드워드 헤이먼의 가사가 들어간 "It's Every Girl's Aboutivity"
- 오토 하바흐와 어빙 시저의 가사가 실린 「사랑하는 그대에게 고백했다」.
- 클리포드 그레이와 레오 로빈의 가사가 들어간 "Join the Navy"
- 에드워드 헤이먼의 가사가 들어간 "캐슬린 마인"
- 클리포드 그레이와 레오 로빈의 가사가 실린 "Keepin' Myself for You"
- 에드워드 헤이먼의 가사가 들어간 "Kinda Like You"
- 레오 로빈의 가사가 들어간 "키스 오어 투"
- 레오 로빈의 가사가 실린 "Lady From The Bayou"
- 오스카 해머슈타인 2세의 가사와 함께 "그에게 모든 사랑을 줄께"
- 앤 콜드웰의 가사가 실린 "Like He Loves Me"
- 클리포드 그레이와 레오 로빈의 가사가 들어간 "루 루"
- 젤다 시어스와 월터 드 레온의 가사가 들어간 "Love in a Cotty"
- J. Russel Robinson과 George Waggner의 가사가 들어간 "Love Is Like A Song"
- 클리포드 그레이와 레오 로빈의 가사가 들어간 "럭키 버드"
- 윌리엄 캐리 던컨과 오스카 해머스타인 2세의 가사가 들어간 "메리 제인 맥케인"
- 빌리 로즈와 에드워드 엘리스의 가사가 들어간 "모어 더 유 노우"
- 거스 칸과 에드워드 엘리스의 가사가 들어간 "Music Makes Me"
- 어빙 시저와 오토 하바흐의 가사가 들어간 '나의 닥터'
- 클리포드 그레이와 해롤드 애덤슨의 가사가 들어간 '내 사랑'
- 오스카 해머스타인 2세의 가사를 가진 병사를 믿지 말라는 "엄마가 내게 말했다"
- 앤 콜드웰의 가사가 들어간 "니코데무스"
- 어빙 시저와 오토 하바흐의 가사가 들어간 "아니, 노 나네트"
- 클리포드 그레이와 레오 로빈의 가사가 들어간 "Nothing Canbe Sweeter"
- 버디 드 실바의 가사가 담긴 "오, 내가 너의 소유가 되고 싶어 하는 방법"
- 아이라 거슈윈의 가사가 들어간 '오미, 오마이, 오유'
- 오스카 해머스타인 2세의 가사가 실린 "황금 트레일에"
- 오스카 해머스타인 2세의 가사가 들어간 "원 걸"
- 윌리엄 로즈와 에드워드 엘리스의 가사가 들어간 "One Love"
- 어빙 시저와 오토 하바흐의 가사가 실린 "잠시 전"
- 윌리엄 로즈와 에드워드 엘리스의 가사가 담긴 "열려라"
- 거스 칸과 에드워드 엘리스의 가사가 실린 "달빛 속의 오르치즈"
- 아이라 거슈윈의 가사가 들어간 오리엔타
- 어빙 시저와 오토 하바흐의 가사가 실린 '페이 데이 폴린'
- 오토 하바흐와 어빙 카이사르의 가사가 실린 '해변에서 피치 온 더 비치(Peach on the Beach'
- 윌리엄 로즈와 에드워드 엘리스키의 가사가 들어간 '게임하기'
- 링 라드너의 가사가 실린 "Rally 'Round Me"
- 아이라 거슈윈과 슐라이어 그린의 가사가 들어간 '밥과 신발'
- 버디 드 실바의 가사가 담긴 'Rise N' Shine'
- 에드워드 헤이먼의 가사가 실린 "집으로 가는 길"
- 오토 하바흐의 가사가 들어간 '산타 클로스'
- J. 러셀 로빈슨과 조지 와그너의 가사가 실린 "Say Oui Cheri"
- 클리포드 그레이와 해롤드 애덤슨이 작사를 맡은 "맨하탄의 젊은 남자"
- 윌리엄 로즈와 에드워드 엘리스의 가사가 들어간 "Scarecrows"
- 폴 라닌의 도움과 아이라 거슈윈의 가사가 담긴 '그녀는 결백하다'
- 클리포드 그레이와 레오 로빈의 가사가 들어간 "쇼어 휴가"
- 버디 드 실바의 가사가 담긴 '달콤해야 할까'
- 윌리엄 로즈와 에드워드 엘리스의 가사가 들어간 시, 시, 시 세노르
- 아이라 거슈윈의 가사가 들어간 '실없는 시즌'
- 오스카 해머스타인 2세의 가사가 실린 "솔리오구이"
- 클리포드 그레이와 해롤드 애덤슨의 가사가 실린 "Something to Sing About"
- 어빙 시저의 가사와 함께 "가끔 나는 행복하다(가끔 나는 블루다)"
- 윌리엄 로즈와 에드워드 엘리스의 가사가 들어간 "스위트 as Sugar Cane"
- 젤다 시어스의 가사와 월터 드 레온의 "작은 한 걸음"
- 어빙 시저(Irving Caesar)의 가사가 들어간 "Tea for Two"
- 오토 하바흐와 어빙 카이사르의 가사가 들어간 '전화 걸리'
- 아서 프랜시스와 프레드 잭슨의 가사가 실린 "내겐 뭔가 있어"
- 에드워드 헤이먼의 가사가 들어간 "Through the Years"
- 젤다 시어스와 월터 드 레온의 가사가 실린 "손가락에 끈을 매다"
- 젤다 시어스와 월터 드 레온의 가사가 들어간 "야근을 위한 시간과 반"
- 맥 고든과 해롤드 애덤슨이 가사를 쓴 "Time on My Hands"
- 클리포드 그레이와 해롤드 애덤슨의 가사가 들어간 "톰, 딕, 해리"
- 오토 하바흐와 어빙 카이사르의 가사가 실린 '로지 주위에 반지가 너무 많다'
- 에드워드 헤이먼의 가사가 들어간 "트럼펫 연주자와 연인"
- 클리포드 그레이와 레오 로빈의 가사가 들어간 '유토피아'
- 오스카 해머스타인 2세의 가사가 들어간 "비르기니아"
- 오토 하바흐와 어빙 카이사르의 가사가 실린 "Waiting for You"
- 윌리엄 로즈와 에드워드 엘리스의 가사가 들어간 "웨딩 벨이 울린다"
- 아이라 거슈윈의 가사가 실린 "(우린) 멋진 여행을 떠난다"
- 아이라 거슈윈의 가사가 실린 "우리는 인도로 떠났다"
- 링 라드너의 가사와 함께 "What Can I Say?"
- 클리포드 그레이와 레오 로빈의 가사와 함께 "친구들 사이에 키스란 무엇인가?"
- Ira Gershwin의 가사가 들어간 "I With the Girls"
- 젤다 시어스와 발터 드 레온의 가사가 실린 '우리가 결혼할 때'
- 오토 하바흐와 어빙 시저의 가사와 함께 "내 허비는 어디로 갔는가?"
- 오스카 해머슈타인 2세의 가사와 함께 "누가 스페인 여자들을 사랑하고 싶은가?"
- 아이라 거슈윈의 가사가 실린 '누가 너와 함께'
- Ring Lardner의 가사가 실린 "Why Ain's not I Home"
- 클리포드 그레이와 레오 로빈의 가사가 들어간 "왜 오 왜"
- 허버트 스토타트의 도움과 오토 하바흐와 오스카 해머슈타인 2세의 가사를 곁들인 "Wildflower"
- 빌리 로즈와 에드워드 엘리스의 가사가 들어간 "Without a Song"
- 오토 하바흐와 어빙 카이사르의 가사가 들어간 '어느 소녀와 함께 춤을 출 수 있다'
- 아이라 거슈윈의 가사와 함께 "당신이 왔을 때 뭔가를 시작했어"
- 에드워드 헤이먼의 가사가 들어간 "You're Everywhere"
- J. Russel Robinson과 George Waggner의[10][12][13] 가사가 수록된 "You're The One"
참조
- ^ Slonimsky, Nicolas (1978). "Youmans, Vincent". Baker's Biographical dictionary of musicians (6th ed.). New York: Schirmer Books. pp. 1927–1928. ISBN 0028702409.
- ^ a b "Vincent Youmans Songwriters Hall of Fame". Songhall.org. Retrieved 19 October 2021.
- ^ a b c d e 보르드만, 제럴드. "Vincent Youmans", Grove Music Online, Ed. L. Macy, 2008년 7월 12일에 접속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Colin Larkin, ed. (1992). The Guinness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First ed.). Guinness Publishing. pp. 2752/3. ISBN 0-85112-939-0.
- ^ 수스킨, 스티븐 "빈센트 유만스" 튜닝 표시: 브로드웨이 주요 작곡가들의 노래, 쇼, 그리고 커리어스.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2000.
- ^ Dunn, Don (Oct 28, 1972). The Making of No, No Nanette. Citadel Press, Inc. ISBN 0806502657.
- ^ 빈센트 유만스, <20세기 대중음악의 파버 컴패니언>(2001년). 2008년 4월 13일 검색됨
- ^ Bordman, Gerald. Days to be Happy, Years to be Sad. Oxford University Press.
- ^ "Theater Hall of Fame Gets 10 New Members". The New York Times. May 10, 1983.
- ^ a b 빈센트 유만: 2013년 1월 12일에 접속한 작곡가 명예의 전당, 영화 점수"
- ^ IMDb의 빈센트 유만스
- ^ [1][데드링크]
- ^ The Broadway League. "The official source for Broadway Information". IBDb.com. Retrieved 2012-05-21.
외부 링크
- 인터넷 브로드웨이 데이터베이스의 빈센트 유만스
- 송라이터 명예의 전당 빈센트 유만스
- IMDb의 인터넷 동영상 데이터베이스(Internet Movie Database)에서 Vincent Youmans
- 빈센트 유만스 미국 역사 기록의 음반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