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타르

Vintar
빈타르
빈타르 현
Vintar Bikeline 2020
빈타르 비클라인 2020
Map of Ilocos Norte with Vintar highlighted
빈타르가 강조 표시된 Ilocos Norte 지도
오픈스트리트맵
Vintar is located in Philippines
Vintar
빈타르
필리핀 내 위치
좌표: 18°13′30″N 120°39′00″E / 18.225°N 120.65°E / 18.225; 120.65좌표: 18°13′30″N 120°39′00″E / 18.225°N 120.65°E / 18.225; 120.65
나라필리핀
지역일로코스 주
일로코스 노르트
제1구
설립됨1909
바랑게이33(바랑게이 참조)
정부
• 유형상무니앙바얀
시장라리사 C. 포론다
부시장아마도 빅터 R. 라시모 주니어
대표리아 크리스티나 G. 파리냐스
• 시 의회
회원들
유권자유권자 2만2,192명(2019년)
면적
• 합계614.35km2(237.20 sq mi)
표고
59m(제곱 피트)
최고 고도
338m(1,520ft)
최저 고도
8m(26ft)
인구
(1998년 인구조사)
• 합계33,339
• 밀도54/km2(140/sq mi)
가구
7,686
이코노미
소득계층제1차 시 소득계층
빈곤 발생8.50% (2015)[4]
수익₱261,741,730.99 (2020)
자산₱526,949,182.81 (2020)
지출₱204,841,883.16 (2020)
부채₱118,022,569.68 (2020)
서비스 제공업체
• 전기INEC(Ilocos Norte Electric Cooperative)
시간대UTC+8(PST)
우편번호
2915
PSGC
IDD : 지역번호+63 (0)77
네이티브 언어일로카노
타갈로그어
웹사이트www.vintar.gov.ph

빈타르, 공식적으로 빈타르 자치주(ilocano: 일리 ti 빈타르, 타갈로그어: 바얀 ng 빈타르)는 필리핀 일로코스 노르트 지방의 1급 자치단체다. 2020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인구는 33,339명이다. [3]

빈타르는 일로코스 노르테에서 가장 큰 자치단체다. 그것의 수호성인은 성 니콜라스 데 톨렌티노다. 이곳은 세인트 니콜라스 아카데미가 있는 지방에서 가장 큰 수녀원 중 한 곳이기도 하다. 또한 빈타댐이 있는 곳으로, 동남아시아의 세계은행으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은 최초의 댐으로, 국가문화예술위원회(NCA)에 등재된 중요 문화재로, 이 도시의 인기 있는 피크닉 휴양지인 우목니 시와이어 생태관광 네이처 파크의 현장이기도 하다.

어원

빈타르는 그 이름을 일로카노어인 '인타르'에서 따온 것으로서, 족장이 주의를 끌 때 마다 피험자가 지배자로부터 빼앗은 형상이나 질서를 묘사하곤 했다. 방문 중인 스페인 선교사가 이 말을 듣고 V자를 덧붙여 선교사가 본 'V' 편성을 언급했다고 한다.

역사

이 마을의 초기 정착민들은 말레이계인 것으로 여겨진다. 그들은 먼저 비슬락이 내려다보이는 언덕에 자리를 잡았다. 이 마을은 스페인 선교사들이 사랏과 피디그 사이를 사냥하다가 숲에서 길을 잃으면서 생겨났다. 빈타르는 바카라의 방문자가 되었으나, 후에 산 니콜라스 데 톨렌티노의 교구로 설립되었다. 이에 앞서 1763년 빈타르는 1774년 독립할 때까지 방문자로 되돌아갔다.

1903년 빈타르는 바카라의 바리오로 합병되었다. 1909년에 분리 독립하였다.

이 마을에는 일로코스 노르트 지방에서 가장 큰 수녀원 중 한 곳이 있다. 1931년, 지진이 교회와 수녀원을 부분적으로 파괴했다. 5년 후, 그것은 복구되었다. 세인트 니콜라스 아카데미가 있는 수녀원은 1982년에 복원되었다.

빈타르는 마르코스 행정부를 지지한다는 국민적 인식에도 불구하고 계엄령 시절 각종 인권침해가 기록됐던 일로코스 지방 자치단체 중 하나였다.[5] 빈타르의 원주민 공동체 구성원 3명은 1984년에 '살육'을 당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는데,[5] 같은 해 반구이의 8명의 농부들도 사라졌고 빈타르, 두말네그, 솔소나, 마르코스, 피디그 마을의 농부들도 고문을 당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5]

빈타르는 성인의 잔치를 축하한다. 매년 9월 10일 니콜라스- 아우구스티니아인으로부터 물려받은 종교적 전통이 아직도 "티나페이 니 산 니콜라스"(무교화 빵)의 분배를 실천하고 있다. 그러나 매년 12월 26일부터 30일까지 빈타르의 마을 축제인 시와워 페스티벌이 열린다.

빈타르의 사람들은 농사, 낚시, 목축에 종사한다. 이 마을은 일반적으로 시골이지만 스페인풍의 이목구비가 강한 아름다운 여성들로 지방 전역에서 유명하다. 그래서 그 마을에는 "아름다운 사람들의 집"이라는 단점이 있다. 빈타르는 국가문화예술위원회가 등재한 4개의 중요 문화재가 있는 곳이기도 하다. 빈타르 댐, 구시가지 건물, 산 니콜라스 데 톨렌티노 교구 교회, 가발돈 건물 등이 그것이다.

빈타르의 시군은 2016년부터 현재까지 라리사 카다보나 포론다 시장이 위원장을 맡고 있다.

지리

산을 배경으로 한 빈타르 마을.

빈타르는 산으로 둘러싸인 평지에 위치해 있다. 빈타르는 포위되어 다음과 접해 있다.

그 도시는 그 지역의 6번째 주요 하천 제도로 간주된다. 그것의 주류는 칼링가와 아파야오 국경의 서부 코딜레라 경사면에 있다. 동쪽으로 흘러나와 일로코스 노르트 평지의 대부분을 관개한 뒤 중국해로 빠져나간다. 빈타르는 일로코스 노르테에서 가장 넓은 토지 면적을 가지고 있다.

기후

Bintar, Ilocos Norte에 대한 기후 데이터
2월 3월 4월 5월 줄리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연도
평균 높은 °C(°F) 26
(79)
28
(82)
30
(86)
32
(90)
31
(88)
31
(88)
30
(86)
30
(86)
30
(86)
29
(84)
28
(82)
26
(79)
29
(85)
평균 낮은 °C(°F) 20
(68)
20
(68)
21
(70)
23
(73)
25
(77)
25
(77)
25
(77)
25
(77)
24
(75)
23
(73)
22
(72)
21
(70)
23
(73)
평균 강수량 mm(인치) 55
(2.2)
41
(1.6)
37
(1.5)
41
(1.6)
184
(7.2)
215
(8.5)
261
(10.3)
256
(10.1)
245
(9.6)
216
(8.5)
142
(5.6)
129
(5.1)
1,822
(71.8)
평균 비 오는 날 14.1 11.1 11.8 12.5 21.8 25.2 25.5 24.9 23.8 18.2 16.4 17.0 222.3
출처: 기상(모델링/계산된 데이터, 로컬에서 측정되지 않음)[6]

빈타르는 두 종류의 기후로 나뉜다.

  • 90% 또는 서양 부분: 두 개의 뚜렷한 계절, 12월부터 5월까지 건조하고 6월부터 11월까지 습윤. 최대 강우 기간은 6월부터 9월까지입니다.
  • 10% 또는 동부 지역: 단기간 건기가 1개월에서 3개월밖에 지속되지 않는 짧은 최대 강우 기간 없음.

바랑게이

빈타르는 정치적으로 33개의 바랑게이로 세분된다. [7]

  • 1- 압키르
  • 2-알레조 말라시그
  • 3-알셈
  • 4-바고
  • 5- 불불랄라
  • 6- 카방가란
  • 7-카바요
  • 8- 카비소콜란
  • 가나암 9
  • 컬럼비아 10
  • 다구판 11
  • 12- 디필라트
  • 에스페란자 13
  • 에스테르 14
  • 15-이식 이식
  • 루브낙 16
  • 마반바나그 17
  • 말람파 18길
  • 마나랑 19
  • 3월 20일
  • 나모록 21
  • 파파로록 22
  • 파루트 23
  • 24-페드로F. 알비아르
  • 25- 살살라마구이
  • 산호세26길
  • 27- 산니콜라스
  • 산페드로28번길
  • 산라몽 29
  • 30- 산 로크(포블라시온)
  • 산타마리아로31번길
  • 32- 탐다간
  • 비사야 33년

하위 구분

포블라시온

포블라시온은 빈타르의 가장 중심적인 하위 부문이다. 포블라시온은 다음과 같은 5개의 바랑게이로 구성되어 있다.

  • 1- 산로크
  • 2- 산 니콜라스
  • 3- 산페드로
  • 4- 산타 마리아
  • 5- 산라몽

메트로 포블라시온

메트로 포블라시온은 다음과 같은 5개의 바랑게이로 구성되어 있다.

  • 6-파루트
  • 7- 알레조 말라시그
  • 마가이 8
  • 9- 루브낙
  • 파파로록 10

팔라스 계곡

빈타르의 북동쪽에 위치한다. 팔라스 계곡은 4개의 바랑게이로 이루어져 있다.

  • 11- 불불랄라
  • 나모록 12
  • 마반바나그 13
  • 에스테르 14

강 북쪽 (아미안 티 카라얀)

강 북쪽 또는 "아미안 티 카라얀"은 포블라시온에서 비슬락 강 북쪽에 위치해 있다. 북쪽을 뜻하는 일로카노어 '아미안'을 따서 그렇게 부른다. Amian ti Karayan은 다음과 같은 8개의 바랑게이로 구성되어 있다.

  • - 살살라마구이 16
  • P.F. 알비아르
  • 압키르 18
  • 컬럼비아 19
  • 카비수쿨란 20
  • 말람파 21
  • 마나랑 22
  • 알셈 24

하류수롱계곡

  • 비사야 15년
  • 23- 디필라트
  • 25- 탐다간
  • 가나암로26번길
  • 에스페란자 27
  • 바고 28
  • 29/30- 산호세/Sto.토마스

어퍼 수롱 계곡

어퍼 수롱 계곡은 4개의 바랑게이로 이루어져 있다.

  • 다구판 31
  • 카방가란 32호
  • 카바요 33
  • 34-이식 이식

바긴수소 산

바강게이 14-에스테르에 위치한 명소 중 가장 유명한 명소로는 마사사다 산("통과 가능한 계곡'이라는 뜻의 일로카노 산)으로도 알려져 있다.

인구통계학

빈타르의 인구조사
연도Pop.±% p.a.
1903 9,435
1918 11,686+1.44%
1939 14,153+0.92%
1948 14,882+0.56%
1960 17,359+1.29%
1970 19,455+1.15%
1975 21,655+2.17%
1980 23,356+1.52%
연도Pop.±% p.a.
1990 27,084+1.49%
1995 27,460+0.26%
2000 29,031+1.20%
2007 29,405+0.18%
2010 31,448+2.47%
2015 32,220+0.46%
2020 33,339+0.67%
출처: 필리핀 통계청

2020년 인구조사에서 빈타르의 인구는 33,339명으로, 밀도는 평방킬로미터당 54명 또는 평방마일당 140명이었다.

이코노미


교통

빈타르는 라오아그시티라오아그 국제공항을 통해 항공편을 통해 도달할 수 있으며, 그 후 세발자전거나 다른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 마닐라에서 버스로 10~12시간 정도 걸려 빈타르 중심부에 도착할 예정이다. 파리나스와 마리아 데 레온은 빈타르로 매일 여행을 가는 주요 기업들이다.

축제

시와우어 페스티벌은 빈타르의 연례 축제다. 이 마을의 축제는 빈타르의 하늘을 찌르는 독수리의 브라미니 연종의 지역 이름을 시와이어에게 기념하기 위해 기념되고 있다. 축제는 또한 1909년 바카라 마을에서 분리되었을 때 자치체의 기초가 된 빈타르 데이가 12월 4일에 시작된다.

국새

방패는 일로코스 노르트 지방의 국새에서 따온 것이다.

문자 V는 자치체의 이름인 빈타르를 의미한다.

독수리는 노인들이 흔히 시와워라고 부르는 토종 매를 나타내며 그 뒤에 빈타르의 사람들이 언급된다.

지자체의 주요 농업을 대표하는 방패 왼쪽에 조경, 쟁기, 쌀줄기, 양파, 마늘, 망고, 가지, 담배잎 등이 있다.

방패 오른쪽에 있는 댐, 관문 밸브, 물과 어류는 빈타르-라오아그-바카라 관개 시스템을 나타낸다. 이 댐은 또한 이 마을로 유명한 휴양지인 시와워스를 상징한다. 이 물고기는 이 지역의 주요 소득 창출 상품 중 하나를 상징한다.

참조

  1. ^ 빈타르 현 (DILG)
  2. ^ "2015 Census of Population, Report No. 3 – Population, Land Area, and Population Density" (PDF).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Quezon City, Philippines. August 2016. ISSN 0117-1453.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May 25, 2021. Retrieved July 16, 2021.
  3. ^ a b c Census of Population (2020). "Region I (Ilocos Region)". Total Population by Province, City, Municipality and Barangay. PSA. Retrieved 8 July 2021.
  4. ^ https://psa.gov.ph/sites/default/files/City%20and%20Municipal-level%20Small%20Area%20Poverty%20Estimates_%202009%2C%202012%20and%202015_0.xlsx; 발행일: 2019년 7월 10일; 출판사: 필리핀 통계청.
  5. ^ a b c https://www.bulatlat.com/2012/10/02/ilocanos-remember-dark-days-of-martial-law-vow-to-continue-fight/
  6. ^ "Vintar: Average Temperatures and Rainfall". Meteoblue. Retrieved 4 March 2020.
  7. ^ "Province: Ilocos Norte". PSGC Interactive. Quezon City, Philippines: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Retrieved 12 November 2016.
  8. ^ Census of Population (2015). "Region I (Ilocos Region)". Total Population by Province, City, Municipality and Barangay. PSA. Retrieved 20 June 2016.
  9. ^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2010). "Region I (Ilocos Region)". Total Population by Province, City, Municipality and Barangay. NSO. Retrieved 29 June 2016.
  10. ^ Censuses of Population (1903–2007). "Region I (Ilocos Region)". Table 1. Population Enumerated in Various Censuses by Province/Highly Urbanized City: 1903 to 2007. NSO.
  11. ^ "Province of Ilocos Norte". Municipality Population Data. Local Water Utilities Administration Research Division. Retrieved 17 December 2016.
  12. ^ "Poverty incidence (PI):".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Retrieved 28 December 2020.
  13. ^ https://psa.gov.ph/sites/default/files/NSCB_LocalPovertyPhilippines_0.pdf; 발행일: 2005년 11월 29일; 출판사: 필리핀 통계청.
  14. ^ https://psa.gov.ph/sites/default/files/2003%20SAE%20of%20poverty%20%28Full%20Report%29_1.pdf; 발행일: 2009년 3월 23일; 출판사: 필리핀 통계청.
  15. ^ https://psa.gov.ph/sites/default/files/2006%20and%202009%20City%20and%20Municipal%20Level%20Poverty%20Estimates_0_1.pdf; 발행일: 2012년 8월 3일; 출판사: 필리핀 통계청.
  16. ^ https://psa.gov.ph/sites/default/files/2012%20Municipal%20and%20City%20Level%20Poverty%20Estima7tes%20Publication%20%281%29.pdf; 발행일: 2016년 5월 31일; 출판사: 필리핀 통계청.
  17. ^ https://psa.gov.ph/sites/default/files/City%20and%20Municipal-level%20Small%20Area%20Poverty%20Estimates_%202009%2C%202012%20and%202015_0.xlsx; 발행일: 2019년 7월 10일; 출판사: 필리핀 통계청.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