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지니아 더글러스

Virginia Douglas

버지니아 1세 더글러스(1927-01-28) 1927년 1월 28일 – (2017-12-08) 2017년 12월 8일)[1]캐나다의 심리학자였다.그녀는 캐나다 몬트리올에 있는 맥길 대학교의 교수로,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 연구에 기여한 것으로 유명하다.

버지니아 1세더글러스
태어난(1927-01-28)1927년 1월 28일
온타리오 주 런던
죽은2017년 12월 8일(2017-12-08) (90세)
핼리팩스, 노바스코샤
국적캐나다인
직업에메리타 교수
로 알려져 있다.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에 관한 연구
학력
모교미시간 대학교 퀸즈 대학교
학술사업
규율심리학
기관맥길 대학교

전기

더글라스는 온타리오 런던에서 스코틀랜드 가정에서 태어났다.[2]그녀는 1948년 퀸즈 대학에서 미술학사 학위를 마쳤다.[2]그 후 더글라스는 미시건 대학에 다녔고, 그곳에서 사회과목과 심리학과 두 개의 석사 학위를 마쳤다.[2]그녀는 1958년 미시건 대학에서 심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2]

더글라스는 1958년 맥길 대학교의 교수진에 합류했다.그녀는 이 프로그램을 과학-실무자 모델에 기초한 박사 과정 말기 프로그램에서 박사 과정으로 확장하는데 영향력 있는 역할을 했다.더글라스는 2015년 은퇴할 때까지 맥길에서 머물렀다.[2]

더글라스는 1971년 캐나다 심리학회(CPA) 회장을 지냈다.그녀는 2004년에 캐나다 심리학에 평생 기여한 공로로 공인회계사 금상을 받았다.[3]

더글라스는 2017년 12월 8일 노바스코샤 핼리팩스의 자택에서 90세의 나이로 별세했다.[1]

리서치

대학원 시절 더글라스의 연구 관심사는 성인의 방어 메커니즘에 초점을 맞췄다.그러나 맥길대 교수직을 맡기 위해 몬트리올으로 옮긴 뒤 몬트리올 아동병원에서 임상 워크숍을 마쳐야 했다.이 워크숍의 영향을 받아, 그녀의 연구 관심사는 ADHD 연구로 옮겨갔는데, 그 당시에는 이를 하이퍼키네시스라고 불렀다.[4]

1971년, 캐나다 심리학 협회에 대한 대통령 연설에서, 더글라스는 지속적인 주의력과 충동 조절의 결손이 과잉행동보다는 과민증을 가진 아이들의 어려움을 설명하기 쉽다는 그녀의 이론을 제시했다.더글라스는 몬트리올 아동병원에서의 그녀의 연구에 근거하여, 이 장애를 가진 아이들은 심지어 산만함이 존재하지 않는 조건에서도 나타날 수 있는 지속적인 주의력 결핍을 경험했다고 주장했다.더글러스의 연구와 아이디어는 이듬해 정론지 '그만, 보고 들어라'에 실렸다. 과잉행동적이고 정상적인 어린이들의 지속적인 주의와 충동 조절의 문제.[5]이 논문은 이 분야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었고 초키네시스 연구의 초점을 과잉행동에서 주의력 문제로 옮겼다.[6]

더글라스의 1972년 기사 Stop, look and listen: ADHD는 과잉행동장애와 정상 아동들에게 지속적인 관심과 충동조절의 문제를 과민증이라고 불렀다.주의력 문제가 아닌 과잉활동이 이 장애의 주요 원인이라고 널리 믿어졌다.더글라스의 연구 결과, 과잉활동이 있거나 없는 주의력결핍장애(ADD)는 정신장애 진단 및 통계 매뉴얼(DSM-III) 제3판에 수록됐다.[7]

더글라스의 ADHD 연구는 학습, 인식, 인지, 기억, 신경정신학 분야로 확대되었다.더글라스는 '멈추고, 보고, 듣고'[5]라는 논문에 이어 ADHD와 관련된 인지결손과 운동결손에 대해 설명하는 자율규제 3가지 모델을 제안했다.세 가지 요소는 주의력, 억제력, 전략적 또는 조직적 요소였다.[8]더글라스는 이러한 요소들 중 어느 하나에서든 결손이 ADHD를 앓고 있는 사람들이 겪는 어려움에 기여할 수 있다는 이론을 세웠다.

  • 주의: 노력적인 주의
  • 억제: 충동적이고 부적절한 반응의 제어
  • 전략적(조직적): 인지 처리를 안내하고 직접 수행하는 프로세스

더글라스는 ADHD를 가진 특정 개인의 증상 관련 행동의 기초가 되는 세 가지 구성요소 중 어떤 것이 올바른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예를 들어, 근본적인 문제가 주의력 결핍(예: 인지 처리의 노력적인 측면)이나 억제 통제(예: 전불능적 대응을 억제할 수 없는 경우)인 경우 수행 실패는 집행상의 문제(예: 작동 기억력)로 잘못 귀속될 수 있다.[8]더글라스는 또한 세 가지 자율규제 요소에서 특정 결손을 식별하기 위해 엄격한 실험실 기반 조치의 사용을 추진했다.[8]

더글라스의 후기 연구는 약리치료에 초점을 맞췄고, 보다 구체적으로 메틸페니데이트가 ADHD 아동들의 업무수행, 충동성, 인지훈련, 강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했다.[9]

수상

  • 2004 - 평생 캐나다 심리학에[3]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은 CPA 금메달
  • 1996 - 주의력결핍장애[2](CHADD) 분야 우수 전문성 인정 아동 및 성인 대상
  • 1990 - 아동 임상심리학 저공헌상[10] 미국심리학회 부문
  • 1980 - 직업으로서의 심리학에 대한 탁월한 공헌에 대한 CPA상(이 상의 첫 번째 수상자)[3]
  • 1977년 - 캐나다 실버 주빌리[1] 메달

선택한 작품

  • 더글러스, V. I. (2005)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아동의 인지결손 : 장기적 후속조치.캐나다 심리학, 46, 23-31. doi:10.1037/h0085821
  • 더글러스, V. I. (1999년)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의 인지 통제 과정.H. C.에서.Quay, & A. E. Hogan (Eds.), 파괴적 행동 장애 핸드북 (pp. 105–138)뉴욕: 플레넘.
  • Berman, T, Douglas, V.I., & Barr, R.G. (1998년)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에서 메틸페니데이트가 복잡한 인지 처리에 미치는 영향비정상심리학 저널 108, 90-105. doi:10.1037/0021-843X.108.1.90
  • 더글러스, V. I., 패리, P., 마톤, P., & 가슨, C. (1976년)과민성 아동을 위한 인지 훈련 프로그램의 평가.비정상적 아동심리학 저널 4, 389-410. doi:10.1007/BF00922535
  • 더글러스, V. I. (1972)멈춰, 보고, 들어!과잉행동적이고 정상적인 어린이들의 지속적인 주의와 충동 조절의 문제.캐나다 행동 과학 저널 4, 259-282. doi:10.1037/h0082313

참조

  1. ^ a b c "Remembering the life of Virginia Douglas 1927 - 2017". Montreal Gazette. Retrieved 2019-11-30.{{cite web}}: CS1 maint : url-status (링크)
  2. ^ a b c d e f Bazar, Jennifer; Giri, Prapti (2017). Rutherford, Alexandra (ed.). "Virginia Douglas". Psychology's Feminist Voices. Retrieved 2019-11-30.{{cite web}}: CS1 maint : url-status (링크)
  3. ^ a b c "CPA Award Descriptions and Past Recipients". Canadi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9. Retrieved 2019-11-29.{{cite web}}: CS1 maint : url-status (링크)
  4. ^ Douglas, Virginia I. (1984), "This Week's Citation Classic" (PDF), Current Contents (published 1984-10-29) (1): 16
  5. ^ a b Douglas, Virginia I. (Oct 1972). "Stop, look and listen: The problem of sustained attention and impulse control in hyperactive and normal children". Canadian Journal of Behavioural Science. Canada: University of Toronto Press. 4 (4): 259–282. doi:10.1037/h0082313. ISSN 1879-2669.
  6. ^ Barkley, Russell A.; Murphy, Kevin R. (3 Nov 2005). Attention-Deficit Hyperactive Disorder (Third ed.). US: The Guilford Press. p. 13. ISBN 978-1593852276.
  7. ^ "The History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The Center of Attention for ADD". Retrieved May 29, 2019.
  8. ^ a b c Douglas, Virginia I. (Feb 2005). "Cognitive Deficits in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Long-Term Follow-Up". Canadian Psychology. Canada: Canadian Psychological Association. 46 (1): 23–31. doi:10.1037/h0085821. ISSN 1878-7304.
  9. ^ 스미스, 매튜(2014년)하이퍼액티브: 논란의 여지가 있는 ADHD의 역사.리액션 북스, 리인트판.ISBN 978-1780233352.
  10. ^ "SCCAP Award Winners: Section 1 of Division 12 – SCCAP Division 53". Society of Clinical Child and Adolescent Psychology. Retrieved 2019-11-30.{{cite web}}: CS1 maint : url-status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