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곡은 프랑스 칼레드가 3년 동안 차트에 오르지 못한 후 컴백한 곡으로 여겨집니다. 2012년 7월에 발매된 이 곡은 공식 프랑스 싱글 차트에 30위로 진입했으며 이후 4위로 정점을 찍었습니다. 프랑스에서의 성공 외에도 벨기에와 슬로바키아 전역에서 큰 인기를 끌면서 10위권에 진입했습니다. 2013년, 이 싱글은 벨기에 연예 협회로부터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습니다.[2] 이 곡은 네덜란드, 루마니아, 스웨덴, 스위스에서도 차트에 올랐고 캐나다에서도 라디오 방송을 받았습니다. "C'est La Vie"는 유럽 시장에서 100만 부 이상, 중동과 북아프리카에서 180만 부 이상, 전 세계적으로 400만 부 이상 판매되었습니다.[3][4] 이 앨범은 공식 프랑스 앨범 차트인 SNEP에서 5위에 올랐습니다.[5]
2013년, 미국 가수 마크 앤서니는 칼레드의 노래를 그의 스튜디오 앨범 3.0의 "Vivir Mi Vida" (라이브 마이 라이프)라는 제목의 살사 곡으로 커버했습니다.[19] 이 버전은 세르지오 조지(Sergio George)에 의해 제작되었으며 플로리다 마이애미의 히트 팩토리 크리에이티브(The Hit Factory Criteria)에서 녹음되었습니다.[20] 앤서니는 2013 라틴빌보드뮤직 어워드에서 라이브 공연을 했습니다.[21] 엘라스틱 피플의 카를로스 페레즈가 감독한 뮤직비디오는 2013년 9월 10일에 공개되었습니다. "Vivir Mi Vida"는 2013년 라틴 그래미 어워드 올해의 레코드부문에서 수상했으며 빌보드 라틴 송 톱 5 내에서 51주로 두 번째로 긴 기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22] Khaled 오리지널 버전의 인스트루멘탈을 사용하여 "Pop" 버전도 제작되었으며 앨범에 수록되어 있습니다.[23]
2017년 앤서니의 전 부인 제니퍼 로페즈는 고인이 된 어머니와 전 시어머니에 대한 추모의 의미로 그녀의 "Spotify Session"에서 이 노래를 커버했습니다. 2021년 5월 현재 앤서니 버전의 뮤직비디오는 유튜브에서 10억 뷰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했습니다.[24]
이스라엘 가수 가드 엘바즈는 "C'est lavie"를 기반으로 하고 "Hashem Mellech" (히브리어 ה의 מלך로)라고 부르는 새로운 버전의 노래를 만들었습니다.
2013년 1월 가드 엘바즈와 그의 가수 아버지 베니 엘바즈의 듀엣으로 발매된 이스라엘 버전에는 히브리어와 프랑스어 가사가 포함되어 있지만 히브리어 가사는 칼레드의 모든 프랑스어 가사와 관련이 없으며 종교적인 내용에 더 적합합니다.[48] 코러스는 문구를 반복합니다(괄호 및 이탤릭체로 번역).
2016년, 엘바즈는 하시딕 래퍼 니심(니심 바룩 블랙, 본명 다미안 자몰 블랙, 이슬람에서 기독교로, 결국 유대교로 개종)과 협력하여 엘바즈의 오리지널 버전과 구별하기 위해 "Hassem Melche 2.0"이라는 제목의 랩 인퓨즈드 버전을 만들었습니다. 니심의 랩은 주로 영어이며, 오리지널 "1.0" 곡의 요소들을 감싸며 노래를 지배한다고 합니다.[52]
여전히 이중언어 노래인 "Hasshem Mellech"는 이제 히브리어와 영어 가사를 대신 사용했습니다. 엘바즈의 원래 프랑스어 가사는 새로운 버전에서 영어를 선호하여 삭제되었지만 그의 히브리어 가사는 새로운 버전에서 유지되었습니다. 니심의 랩 부분은 모두 영어였습니다. 두 번째 버전의 인기는 첫 번째 버전의 인기를 훨씬 뛰어넘었습니다.
Daniel Finkelman은 뉴욕의 스카이라인과 거리 풍경을 배경으로 한 세련되고 활기찬 다인종 댄스 비디오를 만들었습니다. 뉴욕을 주제로 한 뮤직비디오에는 엘바즈와 니심이 춤을 추고 뉴욕 스카이라인이 변화하는 가운데 뉴욕 시내 거리와 고층 빌딩 옥상에서 즐겁게 춤을 추며 종교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모습이 담겨 있어 청취자들이 더 나은 내일을 믿게끔 독려하고 있습니다.
2017년 네덜란드의 래퍼 알리 B는 칼레드 곡을 주로 각색한 싱글 "Voy a Bailar"를 발매했지만, 마크 앤서니의 라틴어 "Vivir Mi Vida" 커버를 각색했습니다. 알리비는 네덜란드어로 랩 가사를 붙였습니다. 이 발매에는 Boef, Rolf Sanchez, RedOne의 추가 보컬이 참여했습니다.
이 노래는 다수 이슬람 국가인 인도네시아에서 인기를 얻었습니다. 2017년 초 그곳의 정치 캠페인에서 "Kobarkan Semangat Jakarta"라는 주제가를 개발했습니다.[57] "C'est lavie"와 "Hashem Malach"를 바탕으로, 어느 작품에도 귀속되지 않아 논란을 일으켰습니다. 이것은 칼레드 프랑스어 버전과 놀랍게도 엘바즈 히브리어 버전인 "하셈 멜렉"을 인도네시아 트위터에서 유행시켰습니다.[58]
^Steve Sullivan (17 May 2017). Encyclopedia of Great Popular Song Recordings.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p. 693. ISBN978-1-4422-5449-7.
^Andrew Hammond (22 May 2017). Pop Culture in North Africa and the Middle East: Entertainment and Society around the World. ABC-CLIO. p. 40. ISBN978-1-4408-338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