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나 네시치
Vojna Nešić보이나 네시치 | |
---|---|
Војна Нешић | |
2005년 보이나 네시치 | |
태어난 | |
국적 | 세르비아어 |
직업 | 작곡가, 교수 |
올리베라 보이나 네시치(Olivera Vojna Neshich, 1947년 10월 6일생)는 세르비아의 작곡가 겸 코소보[a] 북부에 있는 프리슈티나 예술대학의 교수다.
교육
베오그라드 음악학부(1983년)를 졸업하고 사라예보 대학 음악학원(1991년)에서 대학원 공부를 마쳤다.
교수경력
그녀는 1994년부터 프리스티나 예술대학에서 조화와 작곡을 가르치고 있다.[1][2]
소속
네시치 여사는 폰다지오네 아드킨스 치티: 돈 인 뮤직아(Fondazione Adkins Chiti: Donne in Musica)의 섹션인 음악계 여성 협회 창립 멤버 겸 회장(세르비안: 제네 우지치)을 맡아 여성 음악가들의 홍보를 위해 헌신해 왔다.[3]네시치는 협회의 회장으로서 매년 세르비아의 여러 도시(크라구예바크, 크루셰바크 베오그라드, 즈베찬)에서 열리는 평화와 정의를 위한 청소년 프로젝트에서 국제 콩쿠르 '돈 인 뮤직아'의 예술감독을 맡아왔다.[4][5][6]
게다가, 그녀는 크라구제박의 왕립 문화원장을 맡아왔다.[7]
인식
- 보즈나 네시치는 발칸 반도의 유일한 작곡가로 17세기부터 20세기까지 독일 여성 작곡가들의 백과사전 피아노 음악에 두 곡이 실렸다.[8]
- 1981년 및 1982년 "목란작" 수상자 베오그라드
- 1989년 미국 마이애미 교향시 "Alkar"에 대한 공로상
- 1989년 미국 현악관현악단 "에센스" 국제 콩쿠르 "뉴 뮤직" 결승 진출자
- 1989년 첫 여성, 페루자(이탈리아) 코르치아노 국제대회 우승자, 데이비드 휘트웰 쥬리 회장
- 1990년 페루자 코르치아노 국제 쥬리 멤버(조르지오 페라리, 안드레아 프란체스키엘리와 함께하는 윈드 오케스트라 작곡 이탈리아 국제 콩쿠르)
- 1991년 윈드오케스트라 코르시아노-페루지아를 위한 "임프레션스"의 세계 초연
- 1991년 CSUN(California State University Northridge, Los Angeles) 초청 강사
- 1993년 알래스카 주, 페어뱅크스의 클라리넷을 위한 "아라베스크"의 세계 초연 (리처드 누네메이커, 휴스턴 심포니트의 클라리넷 멤버)
- 1994년 런던 맥밀런 뉴 그로브 사전 전기(GB)
- 1996년 "여름의 끝자락", 페어뱅크스, 알래스카 및 인디애나 대학교의 세계 초연
- 1999년 국제 콩쿠르 "산타 세실리아", 알바 아드리아티카, 볼로냐의 결승전 "Concerto in Thera Kyr Stefan in i 10 strumenti"
- 1999년 "소나타"는 플룻으로, 런던 (GB)에서 세계 초연되었고 모니카 리몬젤리는
- 2001년 ICLA Foundation New York의 "Grand Prize 2001-Acomplished Musician"
- 2002년 하이델베르크(독일), 토카타(피아노), 게르트루드 핀케스(Gertrud Fernkeees)
- 2003년 전 피아노 작품들은 "Klaviermusik von Komponistinnen"에서 출판되었다. 17 bis zum 21. 21.Jahrundert, "Staccato Verlag", 음악학자 Barbara Heller 및 독일 Isolde Weirfuller-Backes의 판.
- Voyna Nesic의 월드 초연작: LA, Northridge 1991(미국), Fairbanks(미국) 1993, 1997, Indiana 1997(미국), Mannheim 1985(독일), 런던 1999(GB), 볼로냐 1999(이탈리아)뮌헨 2000(독일);
- 회원: 국제 기구 "Frau und Music" Kasel (독일), IAWM Abilene (미국), 세르비아 작곡가 연합; 로마 "Donne in Musica" 명예 위원회;
- 1993년 KRAGujevac, YU의 실내 합창단 "KIR STEFAN SRBIN" 창립자 겸 예술 감독
- 2003년 크라구제박 왕립 문화원 원장
- 2003년 "정의와 평화를 위한 청소년"의 창시자인 크라구제박.
- 2003년 세르비아의 "Women in Music" 국제 협회 설립자 겸 회장
- 2005년 크라구제박 국립박물관 이사회 의장
- 세르비아 베오그라드 11000번지, 미샤르스카 12-14 SOKOJ에서 승인된 작품.
참고 항목
참고 및 참조
주의:
a | ^ 코소보는 코소보 공화국과 세르비아 공화국 사이의 영토 분쟁의 대상이다.코소보 공화국은 2008년 2월 17일 일방적으로 독립을 선언했다.세르비아는 계속해서 세르비아를 자국의 영토의 일부라고 주장하고 있다.양국 정부는 2013년 브뤼셀 협정의 일환으로 2013년부터 관계를 정상화하기 시작했다.코소보는 현재 193개 유엔 회원국 중 97개국에 의해 독립국가로 인정받고 있다.총 112개의 유엔 회원국들이 어느 시점에 코소보를 인정했고, 그 중 15개 주는 나중에 코소보를 승인했다. |
참조:
- ^ 2010년 5월 8일, 2010년 06-06년 회수된 웨이백 머신에서 보관된 프리슈티나 대학의 전체 교수 목록
- ^ 2009년 11월 5일, 2008년 10월 10일 회수된 웨이백머신에 보관된 프리스티나 예술대학의 교수진 목록.
- ^ "Donne in musica" (in Itali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09-13. Retrieved 2010-06-06.
- ^ "News from foundation" (PDF). Fondazione Adkins Chiti: Donne in musica. June 2007.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1-07-20. Retrieved 2010-06-06.
- ^ "U Kruševcu večeras počinje festival "Donne in musica" - Kad dame komponuju i sviraju klasiku". Glas javnosti. 2007-05-18. Retrieved 2010-06-06.
- ^ 크라구예박 나 인터네투[영구적 데드링크]
-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28, 2007. Retrieved 2013-08-18.
{{cite web}}
: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 ^ 데드 링크 날짜=2016년 11월][영구적 데드링크]
외부 링크
- 전기[데드링크]
- 폰다지오네 아드킨스 치티 도네 음악 웹사이트 전기
- 세르비아 음악계의 여성 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