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XDU
WXDU![]() | |
도시 | 더럼, NC |
---|---|
방송 영역 |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삼각지대 연구 |
빈도 | 88.7 MHz |
프로그래밍 | |
포맷 | 품종 |
소유권 | |
소유자 | 듀크 대학교 |
기술정보 | |
설비ID | 17695 |
클래스 | A |
힘 | 2,150와트, 방향 |
해트 | 77미터 |
송신기 좌표 | 36°02′08″N 79°04′48″W / 36.03556°N 79.08000°W |
링크 | |
웹캐스트 | 라이브로 듣다 |
웹사이트 | wxdu.org |
좌표: 36°00′33″N 78°55′03″W / 36.009087°N 78.917477°W
WXDU (88.7 FM)는 대학 라디오 형식을 방송하는 비상업적 캠퍼스 라디오 방송국이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 더럼에 면허가 있는 이 역은 리서치 트라이앵글 지역을 서비스한다. 그 역은 듀크 대학교가 소유하고 있다.[1][2]
역사
1950 – WDBS
듀크 대학의 학생 라디오는 1940년대 후반 학부 남자 학생 정부 협회가 '라디오 협의회'를 구성하여 캠퍼스 라디오 방송국의 설립 가능성을 검토하면서 시작되었다. 이들의 노력으로 1950년 방송사인 WDBS(Duke Broadcasting System)가 AM 주파수 560으로 방송됐다.
WDBS의 사무실과 스튜디오는 그레이 빌딩 지하에 위치해 있었다. 캐리어 커런트 AM을 활용해 대학 기숙사와 조합 건물로 방송했다. 통신사 전류로, 전선이 이 건물들에 배치되고, 건물들 중 한 곳의 콘센트에 연결된 라디오는 AM 560을 수신할 수 있다. 1950년대에는 이것이 최첨단 방송 방식이었다.
음악 쇼는 클래식과 재즈 쇼뿐만 아니라 당대의 히트곡들도 선보였다. WDBS 뉴스와 스포츠 부서는 1956년부터 1959년까지 "베스트 칼리지 뉴스 부서" 상을 수상하며 전국적으로 호평을 받았다. "굿모닝 아메리카"의 진행자였던 데이비드 하트만은 WDBS에서 첫선을 보였다.[citation needed]
WDBS는 1960년대 학생운동 기간에도 방송을 이어갔으며, 음악 프로그래밍은 학생들의 변화하는 취향을 반영해 변화시켰다. WDBS는 라디오 모스크바와 프로그램 교환을 시작한 최초의 방송국이었다. 매주, 두 방송국은 뉴스와 사설 논평의 완전한 번역과 함께 상대방의 쇼를 방송했다. 이 프로그램은 CIA의 많은 관심을 불러 일으켰고, 결국 중단되었다.
WDBS 스포츠 스태프들이 전국 챔피언 팀을 취재하는 동안, 뉴스부서는 캠퍼스 내 행사 소식을 전하느라 바빴다. 1967년에서 69년 사이의 세월은 듀크 캠퍼스의 떠들썩한 해였고, WDBS 뉴스팀은 메인 쿼드가 찢어질 때도 생방송 뉴스로 항상 그곳에 있었다.[citation needed] 1969년 학생 시위대가 앨런 빌딩과 대통령의 집을 모두 점거했을 때 WDBS 기자들은 안에서 현장의 유일한 생중계 보도를 내보내고 있었다. WDBS는 1968년 공화당 및 민주당 전당대회에 기자를 파견하기도 했다. 시카고 경찰이 민주당 전당대회장 밖에서 젊은 시위대와 충돌했을 때 생방송으로 보도되었다.[citation needed]
FM 라디오는 학생들이 스테레오 라디오의 장점에 끌리면서 1960년대 후반부터 인기를 얻기 시작했다. WDBS의 경영진은 현재 시대에 뒤떨어진 통신사 전류 시스템에 뒤처지는 것을 원하지 않았다. 1969년에 WDBS 매니저들과 대학 관계자들은 FM 주파수를 찾기 시작했다. WDBS는 대학으로부터 20만 달러를 대출받아 거의 파산상태에 이른 WSRC로부터 주파수 107.1을 구입했다. WDBS-FM은 1971년 5월 듀크의 새 라디오 방송국으로 계약했다. 그들은 스튜디오를 이스트 캠퍼스에 있는 한때 지어진 비빈스 빌딩으로 옮겼다.[citation needed]
WDBS는 대출금 상환을 위해 학생 교직원을 유지하면서 영리 목적의 상업방송국(Commercial, Incommercial)으로 운영하고자 했다. 그러나, 상업 라디오의 현실은 전학생 자원 봉사자들이 직원이 되기 위해 머물면서, 곧 완전히 전문직 직원이 필요하게 되었다. 1973년이 되자 학생역 대원들이 몇 명 남지 않았고, WDBS는 모든 실질적인 목적을 위해 더 이상 듀크 역이 아니었다.[original research?]
초기에는 WDBS가 트라이앵글에서 상당한 추종자들을 끌어들였다.[citation needed] 동남부 최초의 자유형 앨범 록 스테이션 중 하나였으며, 매일 클래식과 재즈 음악의 블록을 포함하도록 프로그래밍을 확대하면서 평판이 높아졌다. 초기 WDBS는 확실히 "대체" 라디오를 정의했다.[citation needed]
그러나 WDBS는 큰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었다. 지금 그것을 관리하고 있는 이전의 학생들은 이전의 사업 경험이 없었고, 순식간에 WDBS는 트럭 적재물로 인해 돈을 잃고 있었다. 대학은 단지 운영비를 충당하기 위해 역세권을 계속 대출했다. 그 동안 듀크 학생들은 그들만의 라디오 방송국이 없었다. 1974년 가을, WDBS와 대학의 도움으로 한 무리의 학생들이 구식 운송 회사 전류 시스템을 부활시켰고, 비빈스 빌딩 옆 낡은 교실을 그들의 스튜디오로 바꾸었다. WDUR는 오전 1600시에 방송을 통해 서명했다.
1974년 – WDUR/WDUK
WDUR는 이전 변속기 시스템으로부터 지속적인 문제를 받았다. 그 역의 적은 예산 때문에 그들은 새로운 장비를 살 수 없었고, 낡은 시스템은 악화될 수 있었다. 몇몇 기숙사만이 허용 가능한 신호를 받을 수 있었다. 스테이션 엔지니어들은 오래된 송전선을 수리하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했지만, 너무 오래지 않아 다시 꺼지게 했다.
WDUR의 운명은 이 방송국이 공식적으로 학생 활동이 된 1975-76 학년 동안 밝아졌고, 연합 듀크 대학 학생(ASDU)으로부터 자금을 받기 시작했다. 수신이 개선되었고, 역은 CI로 직통 노선을 설정했다. 역은 성장했고, 타이트한 탑 40 포맷으로 발전했다. '듀크 라디오 16'은 부르는 대로 프로그레시브 록과 재즈 쇼, 그리고 밤에는 자동으로 싱글을 연주하는 '오토'라는 이름의 쥬크박스를 추가해 24시간 방송한다. 오토는 정기적으로 방송국을 식별하기 위해 테이프로 녹음된 메시지를 삽입하곤 했다. 이러한 종류의 운영은 WDUR의 현재 통신사 상태 때문에 합법적이었다.; 일반 방송국은 법에 따라 자동으로 운영될 수 없었다.
1977년 여름, 지역 상업 방송국은 WDUR의 통화 문자에 대해 FCC에 청원했다. 통신사 현재 방송국은 면허가 없고 실제로 자체 통화 편지를 작성하기 때문에 FCC는 상용 방송국의 요청을 승인했다. 듀크 역은 WDK가 되었다.
이 모든 일이 일어나고 있는 동안 WDBS는 엄청난 부채를 계속 쌓아가며 이 과정에서 행정부의 많은 호응을 잃었다. 1978년까지 이 부채는 40만 달러가 넘는다고 한다.[citation needed]
프로그레시브 록은 WDUK 프로그래밍의 절반을 차지할 정도로 성장했지만, 계속해서 약한 수신으로 인해 경영진은 대안을 모색하게 되었다. 이 결정은 FM으로 갈 가능성을 연구하기 위해 내려졌다. 1980년 FM 방송국(88.7)의 공개 주파수가 발견되었고 WDBS는 교외에서 이동 중이어서 WDK가 더 큰 스튜디오로 이동할 수 있게 되었다.[citation needed]
FM 방송국을 방송하는 것은 사소한 일이 아니다: 무엇보다도 WDUK는 거액의 자금 지원, 대학 지원, FCC 면허 및 송신기를 설치할 장소가 필요할 것이다. 송신기를 어디에 둘지에 대한 결정은 중추적인 것이었다. 88.5와 88.9의 가까운 역 때문에, 88.7의 새로운 역은 매우 높은 전력 수준에서 운영될 수 없을 것이다. 송신기를 캠퍼스에 설치하면 몇 백 와트의 전력으로 작동할 수 있고, 거의 백 평방 마일에 이를 수 있었다. 송신기를 NC 힐즈버러에 있는 듀크 포레스트의 위치에 놓으면 1,000와트 이상에서 작동할 수 있고, 300 평방 마일 이상에 도달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연구들이 캠퍼스에서의 접수가 한계로 판명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기 때문에 후자의 선택은 도박이 될 것이다.
더 넓은 커버리지 영역의 제안에 이끌려 경영진은 송신기를 힐즈버러에 두기로 결정했고 FCC 신청서가 준비되었다(장기적인 과정). WDUK는 계속 운영되었고, 이때쯤에는 프로그레시브 록이 방송국의 프로그래밍을 완전히 장악하고 있었다. 그러나 재앙은 닥쳤다; 1982년 1월에 마침내 WDBS가 떠나고 WDK가 새로운 스튜디오를 짓기 시작할 준비를 하고 있을 때, 32년 된 이 전송 시스템은 죽었다. 1982년 봄 학기 전체가 낡은 송신기를 수리하는 데 쓰였다.[citation needed]
1983 – WXDU
WDUK는 마침내 82-83 학년에 방송되었다. 새 스튜디오에 위치한 이 방송국은 FM이 될 것을 기대하며 진행형 형식을 미세하게 조정했다. 알고 보니 FCC는 대학의 FM 방송국 신청에 대해 놀라울 정도로 신속하게 조치를 취했고, 1982년 12월 1일 대학은 요청이 승인되었다는 통보를 받았다. WDUK라는 호출자가 있는 상업방송국이 이미 존재했기 때문에, 방송국의 명칭은 WXDU로 변경되었다.
98%의 투표율로 총학생회는 새 FM방송국 건설에 7만6000달러의 활동비를 배분하는 국민투표를 승인했다. 1940년대 후반 WDBS를 창설한 학생 '라디오 협의회'의 원회원 중 한 명인 윌리엄 그리피스 부사장이 추가 자금을 지원했다. 공사가 진행되면서 WDUK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듀크-인디아나 NCAA 축구 챔피언결정전 생중계를 제공하는 방송국이 되어 계속해서 주목을 받았다.
1983년 10월, 데이비드 보위의 "Station to Station"이라는 곡으로 WXDU가 방송을 통해 계약을 맺고 듀크 라디오의 새로운 시대가 시작되었다.[3]
알고 보니 캠퍼스 내 취재는 정말 미미했다. 1984년, 본 방송국은 본 방송국의 유효 복사 전력을 1600와트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안테나 변경에 대한 FCC의 신청을 받아 승인을 받았다. 이것은 커버리지를 개선했지만, WXDU는 여전히 캠퍼스에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었다. 경영진은 1986-87 학년 동안 FM 방송 번역기를 캠퍼스에 설치할 가능성을 연구했다. 통역사가 88.7로 방송국의 주 신호를 집어들어 다른 주파수로 바꾼 뒤 낮은 전력 수준으로 재전송한다. 하지만 통역사가 캠퍼스에 위치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전력 수준은 이 역을 전혀 받을 수 없는 사람들에게 훌륭한 서비스를 제공하기에 충분할 것이다.[citation needed]
주파수 90.7은 번역기로 선택되었고, FCC 신청서는 1987년 6월에 제출되었다. 1와트 번역기 W214 신청서1987년 9월 웨스트캠퍼스 종탑에서 송신하는 AF(90.7MHz)가 허가되었고, 1988년 초 번역기가 방송되었다. 1990년대 초 노스캐롤라이나 중앙대학교가 90.7FM에 WNCU 건설 면허를 받았을 때 W214원이었다.AF는 W278AB로 103.5로 전환했다. 2000년대 초반에 라이선스 운영을 중단했다.
그 후 5년 동안 WXDU는 그것이 연주한 진보적인 음악, 그리고 그것이 장려한 지역 음악계로 국가적인 명성을 발전시켰다.
1992-93 학년 동안 WXDU는 학생 정부의 감독을 떠나 듀크 대학 연합에 가입했다. 이 조치로 역은 새롭고 흥미로운 방식으로 성장할 수 있게 되었다. 예를 들어, WXDU는 현재 커피하우스 캠퍼스에서 콘서트를 후원할 수 있으며, 케이블 13이나 메이저 어트랙션과 같은 다른 유니온 그룹들과 자원을 풀링할 수 있다. 이 조치는 또한 WXDU에 절실히 필요한 재정적 지원을 가져왔고, 방송국이 황폐화된 스튜디오 장비와 가구를 재정비할 수 있게 했다.[citation needed]
그 이후 몇 년 동안 WXDU는 연합의 지원으로 번창해 왔다. 이 방송국은 위대한 음악으로 전국적인 명성을 유지해 왔으며, 1990년대 후반/2000년대 초반 (12년)에는 방송국의 국가/블루그래스/포크 프로그래밍이 지역 및 국가 차원에서 모두 주목받았다.[citation needed]
1996년 허리케인 프랜 때, WXDU 타워가 무너졌고 그 후 2년 동안 그 방송국은 매우 제한된 신호로 사실상 비행을 중단했다. 일련의 혜택과 듀크 유니온의 관대함을 통해 WXDU는 I-85의 남쪽인 86번 고속도로 바로 동쪽에 있는 새 타워를 평균 77m, 즉 253피트 이상의 높이에서 2150와트의 유효 복사 전력(ERP)으로 올릴 수 있었다. 이 신호는 또한 방향이며(아래 FCC 엔지니어링 데이터 참조), 북동쪽으로 최대 전력을 공급하고 다른 방향으로 낮은 전력을 공급한다. 남동쪽(더럼과 채플힐 사이)으로 가장 낮으며, 여기서 null은 풀 파워값의 1/3 또는 약 716와트다.
2018년, WXDU는 새로운 루벤슈타인 아트 센터의 새로운 맞춤형 스튜디오 공간으로 이전했다.[4][5]
관리
WXDU는 라디오 방송국의 모든 측면을 감독하는 이사회에 의해 운영되고 관리된다. 매년 WXDU는 선거를 치르는데 DJ 커뮤니티는 그들의 대표를 선출하는데 발언권이 있다. 이사회 내의 역할은 총지배인, 학생에게만 자격이 되는 직책, 프로그래밍 감독, 음악 감독, 비뮤지컬 프로그래밍 감독, 프로모션 디렉터, DJ 대표가 참여한다.[6]
스페셜티 쇼
WXDU는 특정 DJ들이 관리하는 다양한 스페셜티 쇼를 방송한다. 이러한 쇼들은 다양한 음악 장르에 대해 배울 수 있는 기회로서 매주 구식, 신식, 모든 WXDU DJ들에게 개방된다.[7]
- 혼키 통크 닫기
- Out That a minute
- 몬도문도
- 펑크 디스코 댄스 프라이데이
- 누가 뻐꾸기를 잡았나?!
- 모멸과 좌절
참조
- ^ "WXDU Facility Record". United States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audio division.
- ^ "WXDU Station Information Profile". Arbitron.
- ^ Mercola, Jack. "Tuning Over the Decades".
- ^ "WXDU 88.7 FM Studio". Retrieved 27 August 2019.
- ^ "'The Ruby' opens its doors: Sights at the new arts center". Duke Chronicle. Retrieved 27 August 2019.
- ^ "Wikiality-Wxdu". Wikiality-Wxdu. Retrieved 2017-04-11.
- ^ "Schedule wxdu.org". www.wxdu.org. Retrieved 2017-04-10.
외부 링크
- 공식 웹사이트
- RDU 전파의 WXDU 프로필
- WDBS 기억하기
- FCC 엔지니어링 데이터
- WXDU의 MySpace 페이지
- FCC FM 방송국 데이터베이스의 WXDU
- 무선 로케이터의 WXDU
- 닐슨 오디오의 FM 스테이션 데이터베이스의 WXD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