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프드 파티

Wafd Party
와프드 파티
حزب الوفد
역사지도자사드 자글룰 파샤
(1919–1927)
무스타파 엘 나하스
(1927–1952)
설립됨1919 (1919)
용해됨1952년 7월 23일 (1952-07-23)
성공자신와프당
(법적 후계자가 아님)[1]
본부카이로
이념이집트 민족주의
민족자유주의
정치적 입장중도우파
색상 녹색
파티 플래그
Wafd Flag.svg

와프드당('lit.탈권당'; 아랍어: حزببب,,,, bbb al-Wafd)은 이집트민족주의적 자유주의 정당이었다.제1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1930년대까지 한 기간 동안 이집트에서 가장 인기 있고 영향력 있는 정당이라고 한다.이 시기에는 1923년 헌법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국선 의회가 권력을 휘두르는 이집트를 왕조 통치에서 입헌 군주제로 옮기는 것을 지지하였다.[2]그 정당은 1952년 이집트 혁명 이후, 1952년에 해산되었다.

역사

상승하다

와프드당은 제1차 세계대전의 여파로 생겨난 이집트 민족주의 운동이었다.이집트 최초의 민족주의 집단은 아니지만 가장 오래 지속되는 영향을 미쳤다.그것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보다 현대적이고 강한 민족주의 와프드당으로 발전한 더 작고 덜 의미 있는 운동에 선행되고 영향을 받았다.이러한 초기 운동 중 하나는 1880년대 초 아흐메드 우라비가 주도한 우라비 반란이다.이 봉기는 이집트의 케디브와 유럽의 이집트 문제에 대한 간섭에 대항하여 싸웠다.와프드당의 미래 창시자 겸 지도자인 사드 자글룰은 오라비의 추종자였고, 반란에 가담했다.

실제 정당은 제1차 세계 대전 중에 결성되기 시작하여 1918년 11월에 창당되었다.원래 멤버들 중에는 지도자인 사드 자글룰을 포함한 이집트 지주 귀족과 법조계의 저명인사 7명이 포함되어 있었다.[3]이들은 이집트 주재 영국 총독인 레지날드 윙가테에게 자글룰을 대표로 내세웠고 파리강화회의에서 이집트를 대표해 줄 것을 요청했다.그들은 Wafd의 주요 목표는 영국군의 이집트 점령의 즉각적인 종식이지만, 세계 열강들에게 자신들의 주장을 변호하기 위해 파리 평화회의를 이용하려는 의도는 아니었다고 Wangate에게 말했다.자글룰은 이집트의 정치사회단체 대표들을 포함한 대표단을 만들었다.워낙 다양한 집단으로 가득 차 있었기 때문에 아직 진정으로 정당이 아니라 연정에 가깝다고 볼 수는 없었다.Wafd는 그들이 이집트를 통치하기를 원하는 방식을 요약한 헌법을 만들었다.

wafd는 런던에 가서 본국 정부와 대화해 달라는 요청을 거절당했고 파리 평화회의에 참석할 수도 없었다.Wafd는 메모를 게재하고 파리의 대표단이 진짜 이집트 대표단이 무엇을 원하는지 알 수 있도록 하는 연설을 함으로써 이에 맞섰다.자글룰은 이집트 대중들 사이에서 인기 있는 인물이 되었고, 이집트의 지속적인 영국 보호국 지위에 대중의 불만을 불러일으킬 수 있었다.영국 당국은 1919년 자글룰과 다른 지도자 3명을 체포해 몰타 섬으로 추방시켰다.[4]이러한 추방은 영국인들이 바라던 것과는 정반대의 효과를 초래했고, 비록 그것을 조용히 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소문이 퍼졌고 결국 법대생들의 파업으로 이어졌다.이 파업은 "사아드 만세"를 외치는 구호를 외치며 시위가 됐다.…독립 만세"이것은 1919년의 이집트 혁명을 시작했으며, 그 다음 날에는 더 많은 사람들이 파업하기 시작했고 정부와 법정은 완전히 문을 닫았다.영국인에 의해 점차 진압된 이집트에서 몇 차례의 폭동과 다른 소요가 일어났다.[5]그 후 영국은 와프드 지도부에 균열이 생기기를 바라며 사드 자글룰과 그의 추종자들을 석방했다.그러나 당은 더욱 통일되고 파업은 계속되었다.

Wafd는 이제 진정한 정당이 되어 국민의 폭넓은 지지를 받고 있었다.대표단은 우드로 윌슨 미국 대통령이 이집트의 영국 보호국을 지지한다는 소식을 듣고 파리로 향했다.비록 이 시점에서 영국이 여전히 지배권을 쥐고 있었지만, Wafd는 사실상 이집트 국민을 이끌고 있었다.1920년에 영국 보호국은 종식되었고 Wafd는 이집트를 지배하게 되었다.이 정당은 가말 압델 나세르의 등장으로 막을 내린 자유주의 시대의 대부분을 거치면서 빠르게 이 나라의 지배적인 정치 조직이 되었고 (왕의 행정권력에 종속된 역할에서) 집권당이었다.

정부당

1922년 영국의 명목상의 퇴장과 1952년 민족주의 혁명 사이의 3십팔년 시대는 과 영국 레지던시, 그리고 와프드 지도부의 불안한 세력 균형이 형성되는 것을 보았는데,[6] 이 중 Wafd는 가장 힘이 없었다.[7]이 삼각형의 취약한 안정 속에서 wafd는 이집트의 뛰어난 정치조직이 되었는데, 현대 역사학자들이 '현장에서 처음', '최고의 조직력', '수적으로 가장 강한 조직력'으로 묘사하였다.[8]1924년 국회의원 선거에서 Wafd는 211석 중 179석을 얻었다.[7]1936년에는 89%의 투표와 157석의 의석을 얻었다.[7]

그러나, Wafd와 다른 두 권력 축인 왕과 레지던트 사이의 관계는, 이집트에 대한 영국의 개입에 반대하는 당의 들소리와 그 안에서 왕의 담합으로 인해 경색되었다.푸아드 1세의 와프드와의 관계는 "멋지다"고 묘사되었고,[6] 부친의 뒤를 이어 술탄국가의 뒤를 이은 푸아드의 아들 파루크가 1936년 영국군과 과도하게 중지된 조약에 서명한 이후 선출되지 않은 군주와 제1정당의 관계는 더욱 악화되었다.이는 주로 영국의 이집트 통제에 대한 대중의 분노에서 생겨난 당을 소외시켰고 완전한 이집트 독립을 위한 민족주의 투쟁과 가장 밀접하게 연관시켜 대중의 지지를 이끌었다.

사양

이집트에 대한 영국의 권한 종료로 인한 권력 공백도 새 정부가 채우지 못한 심각한 복지 제공 공백을 촉발시켰다.1930년대까지 이집트는 기독교 선교단체들의 최고 목적지가 되었고, 기독교 선교단체들은 이집트 중하류 계층에게 절실히 필요한 사회봉사를 후원하고 수행하였다.[9]서양의 산문주의 컨소시엄은 "이집트 아이들이 그들의 부모가 감당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나은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많은 희생을 치르도록" 후원자들에게 호소했다. 마찬가지로, 선교사들이 운영하는 병원의 확산은 정부가 제공하는 건강관리 서비스의 불충분함을 드러냈다.[10]

정부가 이집트 경제를 위협하는 노동분규를 해결하지 못해 사회적 불안이 가중되었다.대공황과 지역 면화 위기로 촉발된 전세계적인 불황의 두 가지 사건은 1920년대 후반과 그 후 20년 동안 이집트의 GDP 성장을 둔화시켰다.[11]이에 따른 노동시장의 불안은 광범위한 노조화를 위한 초기 시도의 동기를 부여했다.독보적인 권력에 대한 위협을 감지한 Wafd는 수많은 지역 노동 조정 위원회를 실행했는데,[12] 이는 국가 차원에서 노동법이 부족했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이가 없었다.Wafd는 국가노동위원회의 상설화를 보장받았지만,[13] 중요한 노동법이 제정되지 않았고, 통과되지 못한 노동법은 시행되지 않았으며, 정부의 격렬한 반노조 정책에 실질적인 변화를 줄 수 없었다.[14]

청년 동원 실패

1920년대에 당 지도부는 청년의 모집과 동원에 대해 매우 낮은 비중을 두었었다.[15]지배적인 의회 위치에 안주한 Wafd는 적어도 1930년대 중반까지 혁신적인 청년 조직 방식을 추구하지 않아 1928년 창시 이래 훨씬 더 효과적인 지역 선거 제도를 채용한 이집트 무슬림 형제단과 같은 미래의 경쟁자들에게 절망적으로 뒤쳐졌다.[16]

앵글로-이집트 조약에 반대하는 학생 시위와 정부의 반노동 정책에 앞서 철통같은 Wafd 연합의 균열이 드러나자 당 지도부는 '푸른 셔츠'라는 이름의 청년 단체를 만들었다.[17]그러나, 청년 운동의 풀뿌리적 성격을 이용하기보다는, 그 대신, 당은 "관념과 투쟁"이라는 모토 아래, 유니폼, 배지, 그리고 표준화된 경례를 회원들에게 제시하면서, 하향식 Wafd 서열에서 블루 셔츠를 그들 자신의 rung에 끼워 넣으려고 했다.[18]1937년 6월까지 Wafd는 블루 셔츠가 너무 과격해지는 것을 두려워했고, 그 후 그들의 특권을 더욱 제한했다.[19]청년 동원을 완전히 수용한 적이 없었던 1930년대 말까지 불안한 Wafd 지도부는 본질적으로 세대간 연합 건설에 대한 어떠한 노력도 포기했다.[20]

영국군 주둔지

Wafd에 대한 대중의 환멸에 기여한 가장 큰 요인은 1936년의 영-이집트 조약에 따른 파루크 정부의 보이콧에 대한 당의 실패였다.1930년대 중반의 앵글로-이집트 위기 동안 당이 뒤따른 정책들은 많은 이집트 민족주의자들 -이전까지 Wafd에 대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단일 지지 집단 -을 소외시켰고, 작지만 강력한 숙식주의자 소수파와 거대하지만 무성하게 저항하는 다수당 사이의 당을 단절시켰다.Wafd가 영국군의 주둔을 더욱 적극적으로 반대하지 못한 것은 "공민적으로 합법화된 지도자나 정당이 없는 좌파 이집트 정치"[21]이다.

해체

한때 Wafd가 지휘했던 광범위한 대중적 지지가 붕괴된 것은 역사적으로 혁명 이전 시대의 이집트 정치에서 세 가지 뚜렷한 추세가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다.이 정당은 다른 모든 이집트 정당들과 함께 1952년 자유관료혁명 이후 1953년 1월 가말 압델 나세르에 의해 금지되었다.

선거사

하원 선거

선거 당 대표 좌석 +/– 포지션
1923–1924 사드 자글룰
188 / 215
Increase 188 Increase첫 번째
1925
86 / 215
Decrease 102 Steady첫 번째
1926
150 / 215
Increase 64 Steady첫 번째
1929
무스타파 엘 나하스
198 / 236
Increase 48 Steady첫 번째
1936
169 / 232
Decrease 29 Steady첫 번째
1942
240 / 264
Increase 71 Steady첫 번째
1945
29 / 264
Decrease 211 Decrease3번째
1950
225 / 319
Increase 196 Increase첫 번째

참조

  1. ^ "Brotherhood to run in Egypt polls". Al Jazeera English. 9 Oct 2010. Retrieved 28 June 2011.
  2. ^ 이집트 브링크 위의 오스만, 타렉 오스만 (Yale University Press, 2010), 페이지 26
  3. ^ Cleveland, William L.; Bunton, Martin (2013). A history of the modern Middle East (Fifth ed.). Boulder, CO: Westview Press. p. 180. ISBN 9780813348339.
  4. ^ Cleveland, William L.; Bunton, Martin (2013). A history of the modern Middle East (Fifth ed.). Boulder, CO: Westview Press. p. 181. ISBN 9780813348339.
  5. ^ Kitchen, James E. (2015). "Violence in Defence of Empire: The British Army and the 1919 Egyptian Revolution". Journal of Modern European History / Zeitschrift für moderne europäische Geschichte / Revue d'histoire européenne contemporaine. 13 (2): 249–267. doi:10.17104/1611-8944-2015-2-249. ISSN 1611-8944. JSTOR 26266181. S2CID 159888450.
  6. ^ a b H.A.R. 기브 "이집트의 상황"국제문제연구소(Royal Institute of International Affairs, 1931–1939), 제15권, 제3권(1936년 5월–6월), 페이지 354
  7. ^ a b c 자유헌법주의와 정당정치의 시대Wafd의 흥망성쇠, 1924-39
  8. ^ 기브, 1936, 페이지 355
  9. ^ 카터, B.L. "어둠 속에 앉아 있는 이집트인들에게 복음을 전파하는 것에 대하여:1930년대 이집트 선교사들의 정치적 문제."중동학, 제20권, 제4권(1984년 10월), 페이지 18~36.
  10. ^ 카터, B.L. "어둠 속에 앉아 있는 이집트인들에게 복음을 전파하는 것에 대하여:1930년대 이집트 선교사들의 정치적 문제."중동학, 제20권, 제4권(1984년 10월), 페이지 18
  11. ^ 뎁, 마리우스"이집트의 라벨과 정치, 1919-1939."국제 중동학 학술지 제10권 제2호(1979년 5월), 페이지 187-203.
  12. ^ 1979년 뎁, 페이지 188
  13. ^ 1979년 뎁, 페이지 199
  14. ^ 1979년 뎁, 페이지 203
  15. ^ 얀코프스키, 제임스 P. "이집트 블루 셔츠와 이집트 와프드, 1935–1938." 중동학, 제6권, 제1권(1970년 1월), 제77-95권
  16. ^ 문슨, 지아드."이슬람 동원:사회운동 이론과 이집트 무슬림 형제단."사회학 분기별, 제42권, 제4호(2001년 가을), 페이지 501
  17. ^ 얀코프스키, 1970, 페이지 79
  18. ^ 얀코프스키, 1970, 페이지 82
  19. ^ 얀코프스키, 1970, 페이지 85
  20. ^ 얀코프스키, 1970, 페이지 87
  21. ^ 문슨, 2001, 페이지 495

참고 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