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도 피어스

Waldo Peirce
월도 피어스
Waldo, Hayford, and Respective Wives.jpg
1930년대 그의 형과 그들의 아내들과 함께 피어스
태어난(1884-12-17) 1884년 12월 17일
미국 메인 주 뱅고
죽은1970년 3월 8일 (1970-03-08) (85세)
미국 매사추세츠 주, 뉴베리포트
로 알려져 있다페인팅
배우자도로시 라이스
아이비 트라우트맨
알지라 보엠
엘렌 앙투아네트 라슨[1]
1930년대에 그려진 키웨스트의 '슬러피'에 인접한 실버 슬리퍼 댄스 홀
1938년 월도 피어스가 뉴욕 트로이 우체국을 위해 그린 미술 벽화 '허드슨 강의 전설' 섹션

월도 피어스(1884년 12월 17일~1970년 3월 8일)는 오랫동안 보헤미안한 국외 [2]거주자의 삶을 즐긴 미국 화가였다.

피어스는 미술계에서 저명한 화가이자 잘 알려진 화려한 인물이었다.현대의 설명에서, 그는 라벨레지안, 거칠고, 재치있고, 건장하고, 거칠고, 야성적이고, 광기있고, 프로테아하고, 음탕하고,[3] 관능적인 사람으로 묘사되었다.그는 때때로 "미국의 르누아르"라고 불렸습니다.피어스는 평생 [citation needed]단 하루도 일하지 않았다고 말한 적이 있다.하지만 그는 50년 동안 매일 많은 시간을 정물화, 인물화, 풍경화뿐만 아니라 사랑하는 가족들의 수백 장의 그림들을 그리며 보냈다.수염과 수염을 기르고 커다란 여송연을 입에 끊임없이 물고 그는 만화가의 예술가상을 구석구석 꿰뚫어 보았다.피어스 자신은 한 가지에 대해 단호했다. "나는 화가이지 [citation needed]예술가가 아니다."라고 그는 주장했다.

전기

월도 피어스는 1884년 12월 17일 메인주 뱅고르에서 멜런 체임벌린 피어스와 안나 헤이포드 사이에서 태어났다.그의 아버지는 방고르 목재왕이었다.피어스는 오빠와 여동생, 남동생 등 3명의 형제가 있었다.그는 매사추세츠 앤도버에 있는 필립스 아카데미에 다녔고 1903년에 졸업했다.그 후 그는 하버드 대학에 다녔고, 그 자신의 설명에 따르면, 지역 당구장에서 보내는 많은 시간과 다른 사소한 일들 때문에 겨우 졸업했습니다.비록 피어스는 항상 1907년의 학번과 동일시 했지만, 그의 졸업의 정확한 연도는 분명하지 않고 1908년 또는 1909년에 졸업장을 받았을지도 모른다.페어스는 당시 몸집이 컸고 덩치 때문에 하버드 축구팀에 뽑혔다고 그는 말했다.그는 센터 포지션을 맡았다.하버드대를 졸업한 후, 피어스는 뉴욕시에 있는 미술 학생 연맹에서 미술을 공부했고, 후에 그가 파리에 있는 아카데미 줄리안과 스페인 예술가 이그나시오 줄로가와 함께 공부했던 유럽으로 여행했다.그는 처음에 인상주의에 초점을 맞췄다.

미국이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하기 2년 전인 1915년, 그는 프랑스 전장에서 복무했던 구급대인 미국 야전국에 입대했다.그는 나중에 베르뎅에서의 [4]용감함으로 프랑스 정부로부터 크로이게르 훈장을 받았다.1910년에서 1920년 사이, 10년 동안, 피어스는 미국으로 돌아가기 전에 프랑스와 파리에서 망명 생활을 했다.그리고 나서 그는 몇 년 더 유럽으로 돌아왔고, 2차 세계대전이 발발한 후에야 미국으로 영구적으로 돌아왔다.

샌프란시스코 드 영 박물관에 전시된 조지 벨로우즈의 1920년 피어스 초상화

1938년, 그는 뉴욕 트로이의 미국 우체국을 위해 두 개의 벽화, "허드슨 전설"과 "립 윙클"을 그리는 것을 재무부 미술부의 의뢰를 받았다.

1960년 르하이대는 프랜시스 퀴크[5]큐레이션한 전시회에 레이먼드 갈루치의 도자기, 찰스 워드의 그림과 함께 그의 그림을 전시했다.

존 리드 장난

1910년, 피어스는 크렘린 궁전에 매장된 미국 공산주의자 리드에 대한 그의 장난이 알려지고 유포되었을 때 약간의 지역 악명을 누렸다.두 사람은 보스턴에서 영국으로 가는 소 화물선의 항로를 예약했지만 배가 보스턴 항구를 떠날 때, 피어스는 그 숙박 시설이 그의 취향에 [citation needed]맞지 않는다고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그는 아무에게도 말 없이 배 뒤쪽에서 뛰어내려 해안으로 몇 마일을 헤엄쳐 돌아왔다.그리고 나서 리드는 사라진 여행 동반자의 연루 혐의로 선장에 의해 체포되었고 선박에 던져졌다.화물선이 결국 영국에 도착했을 때, 피어스는 그의 친구 리드를 맞이하기 위해 선착장에서 기다리고 있었다.해안으로 헤엄쳐 돌아온 후, 또는 다른 설명에 따르면, 바닷가재 보트에 태워진 후, 그는 영국으로 더 빠른 배를 탔습니다.이후의 설명에서, 피어스의 존 리드 이야기는 완전히 진실성이 전혀 알려지지 않을 정도로 진화하고 변화하고 있는 것처럼 보였다.이 이야기에 대한 또 다른 장식은 며칠 [4]전 피어스가 하버드에서 열린 수영 대회에서 수영했다는 것이다.

어니스트 헤밍웨이와의 우정

피어스는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오랜 친구였다.1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피어스는 유럽의 헤밍웨이와 친구가 되었고 두 사람은 함께 다양한 대륙의 지역, 특히 스페인을 여행했다.1937년 피어스가 그린 헤밍웨이의 초상화가 타임지 10월 18일자 표지에 실렸다.피어스는 한때 "미국 화가의 어니스트 헤밍웨이"라고 불렸다.이에 대해 그는 "그들은 결코 어니스트 헤밍웨이를 미국 [citation needed]작가들의 월도 페이스라고 부르지 않을 것이다"라고 답했다.헤밍웨이와의 우정은 1961년 헤밍웨이의 조기 사망으로 끝이 났다.

사생활

피어스는 네 번 결혼했고 다섯 명의 자녀를 두었다.

그의 첫 번째 결혼은 예술가이자 미국 오토바이 면허증을 받은 최초의 여성이었던 도로시 라이스와 결혼했습니다.그녀의 아버지는 뉴욕 변호사이자 법학 교수이자 포럼 매거진의 창간인이었던 아이작 라이스였다.도로시는 로버트 헨리, 윌리엄 메리트 체이스, 슬론, 조지 벨로우스지도 하에 미술 학생 연맹에서 조각과 그림을 공부했다.그녀는 동료인 조지 비들을 통해 피어스를 만났고 1938년 자서전 '퀴리어와 퀴리어'에서 "나는 월도의 키를 물었다. 그는 6피트 2인치였다.이것은 위엄 있는 높이처럼 보였다.난 조지에게 월도를 제작하라고 했고, 그는 그렇게 했다.우리는 합법화하기 위해 마드리드의 독일 감리교 교회에서 필리핀인 미국인 부소독과 결혼했습니다.라이스는 1917년에 이혼 소송을 제기했다.그녀는 재혼했고 남편 할 심스와 함께 세계적인 브리지 플레이어가 되었다.예술가인 것 외에도 도로시 라이스는 작가였고 발렌타인 윌리엄스와 함께 추리소설 '안개'를 출판했다.그녀는 여전히 국제 정치 뉴스 [3]특파원으로 일하던 중 1960년 카이로에서 사망했다.

위키피디아에 따르면,[unreliable source?] 아이비 트라우트만은 "1902년에서 1945년 사이에 적어도 21편의 브로드웨이 작품에 출연한 여배우로, 그들 중 많은 수가 장기 흥행작 중 하나인 조지 애플리, 조지 S. 카우프먼과 존 P. 마르칸드공동 집필한 보스턴 상류 사회에 대한 풍자 작품, 384편을 상영했다.두 사람은 1920년에 결혼하여 파리로 이사했다.그녀의 전 신문팔이인 짐 포레스트에 따르면, 아이비는 파리에 있는 동안 작가 제임스 조이스와 친한 친구가 되었다고 한다."아마 그녀의 보물로 가득 찬 집에서 가장 큰 보물은 조이스의 율리시스 초판본이었을 것이다.."[3]

알지라 핸드포스 보엠은 세계 최초로 맨해튼 다이아몬드 지구에 11층짜리 초고층 빌딩을 지은 고공 개발자인 빈 출신의 어거스트 에이브러햄 보엠의 손녀였다.14 Maiden Lane 또는 "The Diamond Exchange"로 알려진 그것은 여전히 그곳에 있다.그녀는 맨하탄의 미술 학생 연맹에서 공부했고 나중에 파리에서 공부했습니다.월도 피어스 전문가인 뱅고르의 윌리엄 갤러거 박사는 하버드 리뷰에 알지라가 월도를 "뉴욕의 마티스 쇼에서" 만났다고 쓰고 있다.파리에서 그녀는 부부의 쌍둥이 아들 마이클과 멜렌을 출산했다.그 후 그들은 딸 안나를 낳았다.멜런 체임벌린 퍼스는 런던에 사는 활발한 시인이자 극작가이다.그의 아내는 버밍엄 식스, 게리 콘론, 길퍼드 포의 인권운동가 변호사 개러스 피어스다.1993년 영화 '아버지의 이름으로'에서 가레스 역을 맡은 에마 톰슨은 오스카상 후보에 올랐고, 다니엘 데이 루이스도 콘론 역으로 후보에 올랐다.

1938년 알지라와 월도 모두 부부 팀으로 Works Progress Administration에 합류했다.엘스워스 시청은 알지라 벽화 엘스워스, 목재항으로 장식되어 있다.2차 세계 대전 동안 알지라는 미국 적십자 자동차 군단의 육군 대위였다.전쟁이 끝났을 때, 그녀와 월도는 이혼했다.그 후 그녀는 뉴멕시코로 이사하여 United Mine Workers의 조직자로 일했다.

Alzira의 재능, 추진력, 그리고 그녀가 Waldo와 함께 가진 자녀들은 그의 예술에 깊은 영향을 끼쳤다.월도가 키웨스트에서 헤밍웨이를 그리고 있을 때, 혹은 슬러피 조에서 춤을 추는 선원들이 있을 때, 알지라는 그의 곁에서 문자 그대로 그리고 비유적으로도 그림을 그리고 있었다.그녀는 [3]세대를 초월하여 그림을 그렸다.

엘렌 앙투아네트 라르센은 왈도의 네 번째 부인이었고, 그들은 그가 죽을 때까지 24년 동안 결혼생활을 유지했습니다.월도의 손자인 윌 피어스는 "나는 카린 이모와 이야기했다"고 쓰고 있다."그녀의 어머니는 1920년 미니애폴리스에서 태어나 2001년에 세상을 떠난 엘렌 라슨입니다.그녀는 뉴욕에서 미술을 공부했다. 그림을 그렸다.엘렌의 친구는 월도의 모델이었고, 그녀와 월도는 엘렌이 테이블을 기다리는 유명한 카페나 레스토랑에 갔습니다.전쟁 중이었죠.로맨스는 거기서 시작되었다.그녀는 메인에서 조용한 삶을 원했지만 맨해튼에서 여장을 했다.그들이 결혼한 후, 그녀는 월도의 아이들처럼 그의 모델을 했다.우리 가족은 그 일을 피할 수 없었어!그녀의 그림 스타일은 때때로 월도와 비슷했다.때로는 상당히 [3]달랐습니다.

피어스는 그의 아이들에게 헌신했고 그들을 수백 번 그렸다.어니스트 헤밍웨이는 1930년대 중반에 쓴 편지에서 피어스가 플로리다 키웨스트에 있는 자신의 집을 방문했을 때 "월도는 훈련되지 않은 하이에나처럼 여기 있고 소처럼 길들여져 있다.아이들을 위해서만 살며 그가 그들을 입힐수록 그들은 예의 바르고 잘 훈련받아야 한다. 하지만 그들은 절대 복종하지 않고, 모든 것을 파괴하고, 말을 걸어도 대답도 하지 않는다. 그는 원숭이 하이에나가 한 무더기 있는 늙은 암탉 같다.그가 여기 있는 동안 배를 타고 나갈지 의심스럽다.애들을 두고 갈 순 없어간호사와 가정부도 있지만 한쪽은 수염에 불을 지르고 다른 한쪽은 캔버스에 으깬 감자를 문질러 그림을 그리려고 할 때만 그는 정말 행복해한다.그것은 아버지로서의 [6]자긍심을 나타냅니다.

페어스의 형 헤이포드는 비잔틴 미술의 유명한 권위자였고 그의 세 번째 부인 알지라 페어스(1908–2010)도 화가로서 약간의 명성을 누렸다.그의 조카 헤이포드 피어스는 공상 과학 소설과 추리 소설 작가였다.영국의 저명한 변호사 개러스 피어스는 그의 아들 빌과 결혼했다.

죽음과 유산

메인주 시어스포트에 거주하는 피어스는 1970년 3월 8일 매사추세츠주 뉴베리포트에서 뇌혈전증으로 [2]사망했다.향년 85세.그는 네 번째 부인인 엘렌 앙투아네트 라르센과 세 명의 아들과 두 명의 딸이 죽었다.그는 메인주 페노브스코트 카운티 뱅고르에 있는 마운트 호프 묘지에 묻혔다.

피어스의 그림은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휘트니 박물관, 펜실베니아 미술 아카데미, 브루클린 박물관을 포함한 몇몇 유명한 박물관들에 의해 인수되고 전시되었다.

추가 정보

  • 헐릭, 다이애나 에머리, 로버트 F.브라운. 월도 피어스: 새로운 평가, 1884~1970(메인주 오로노:메인 대학교, 1984년), 78pp.
  • 바르가, 마짓Waldo Peirce(뉴욕:히페리온 프레스, 1941), 76쪽.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결혼 목록, 아트 매거진, 제20권, 제6호, 1948년 페이지 51
  2. ^ a b "Waldo Peirce, Painter, Is Dead. Toured Spain With Hemingway". The New York Times. March 9, 1970.
  3. ^ a b c d e Sargent, Colin W. (September 2018). "So Much More Than Waldo's Wives" (PDF). Portland Monthly: 51–64. Retrieved November 25, 2020.
  4. ^ a b Gallagher, William (January 2002). "Waldo Peirce – Brief life of a vibrant artist: 1884-1970". Harvard Magazine. Harvard Magazine Inc. Retrieved 2012-06-15.
  5. ^ "Brown and White". Brown and White Lehigh University Newspaper. February 12, 1960.
  6. ^ 1981년 2월 15일자 뉴욕타임즈에 인용된 헤밍웨이 일병(초)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