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 플랜 오렌지
War Plan Orange워 플랜 오렌지(War Plan Orange 또는 just Orange)는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사이의 해 동안 발생할 수 있는 일본과의 전쟁을 다루기 위한 미국 합동 육해공군 전쟁 계획의 연속이다. 잠수함, 항공지원, 항모 등 해상전에 대한 기술적 변화의 중요성을 예측하지 못했고, 미드웨이 전투가 중요했고, 미 해군이 잃어버린 영토를 되찾기 위해 '섬홉'을 했지만 플랜 오렌지의 예상대로 절정 '쇼다운' 전투는 없었다.
개발
1906년 초의 비공식 연구들은 지브롤터나 싱가포르를[1] 근거지로 하는 것에서부터 태평양으로의 "대서양 횡단 빠른 돌진"[2]에 이르기까지 많은 가능성을 다루었다.[3] 채택된 계획은 결국 레이몬드 P 장군에 의해 구상되었다. 1911년 로저즈.[4]
- 1919년 12월 19일 - 태평양 전략(JB 325, 직렬 28)
- 1923년 7월 7일 - 상황 추정, 오렌지 (JB 325, 시리얼 207)
- 1924년 8월 15일 - 합동 기본 전쟁 계획 - 주황색(JB 325, 직렬 228)
- 1929년 1월 10일 - 합동 육해군 기본계획 오렌지 수정(JB 325, 직렬 280)
- 1934년 6월 20일 - 주황색 전쟁 발생 시 할당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현재의 필리핀 군 및 해군력의 부족 (JB 325, 시리얼 533)
- 1935년 5월 8일 - 합동 육해군 기본계획 수정 - 오렌지(JB 325, 직렬 546)
- 1935년 5월 19일 - 합동 육해군 기본계획 수정 - 오렌지(JB 325, 직렬 570)
- 1936년 10월 14일 - 상황의 합동 오렌지 추정 수정(JB 325, 직렬 589)
- 1936년 12월 9일 - 합동 기본 계획 오렌지(JB 325, 직렬 594)의 변경
- 1938년 2월 19일 - 육해군 기본계획 오렌지(1938년) (JB 325, 시리얼 617 및 618년)
이 계획은 1924년부터 육해군 합동위원회에 의해 정식으로 채택되었다.[5] 동맹국들의 지원을 추정했던 레인보우 계획보다 앞서 오렌지는 미국이 홀로 일본과 싸울 것으로 추정했다.
전략
당초 구상한 대로 필리핀과 서태평양에 있는 다른 미군 전초기지에 대한 봉쇄를 예상한 것이다. 그들은 태평양 함대가 캘리포니아와 하와이의 기지에서 전력을 다하고 파나마 운하에 대한 공격을 경계하는 동안 그들 스스로 버틸 것으로 기대되었다. 동원(선박은 평시에 선원의 절반만 유지)한 뒤 괌과 필리핀의 미군을 구제하기 위해 서태평양으로 출항했다. 이후 함대는 일본 해군 연합 함대와 결전하기 위해 북한을 항해한 뒤 일본 본토를 봉쇄했다.
그것은 제2차 세계대전 전에 모든 주요 해군이 (300년 이상 그래왔듯이) 적대적인 지대함[6] 사이의 교전으로 전쟁이 결정되는 교리인 알프레드 테이어 마한의 이론과 일치했다.
태평양전쟁에서 미국이 뒤따른 전략은 1911년 당시 로저스의 개념인 마샬과 캐롤라인(전쟁 전 일본이 보유했던) 정복 운동, 필리핀 해방, 봉쇄와 별 차이가 없었다.[3] 마한의 "결정적인 전투"와 일본의 계획이 부재했다.
일본의 계획
일본 제국 해군은 미 태평양 함대가 태평양을 건너 항해할 수 있도록 하는 대항책을 개발해 잠수함이나 항공모함 공격을 이용해 약화시켰다. 이어 일본 함대는 일본이 열렬히 수용해 온 마하니아 교리와도 맥을 같이하는 일본 근방의 '결정적 전투지역'(칸타이 케센 참조)에서 약화된 미국 함대에 대해 함대 행동을 강요하려 할 것이다. '결정적 전투지역'에서 일본의 우위 제공에 필요하다고 여겨졌던 워싱턴 해군회의에서 일본이 70% 비율(10:10:7)을 요구한 근거였다(미국은 다른 극장에서 해군공약이 있었지만 일본은 그렇지 않은 점을 참작했다). 미국이 패리티에 해당하는 60%를 고집한 근거이기도 했다.[5]
결과
실제 사건들은 대체로 그 계획에 따랐다. 비록 항모전투와 비행기와 잠수함의 사용이 표면적인 행동을 무색하게 했지만, "낙하산" 캠페인은 예상한 대로 대부분 잘 진행되었다.[7]
'결정전의교리에 사로잡힌 일본 해군은 잠수함 방어에 대한 필수적인 필요성을 무시했다.[8] 독일과 미국 잠수함이 상대 상선의 상선 선적에 반대하는 캠페인은 대잠수함전 전략의 필요성을 입증했다. 연합군이 독일 U보트의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광범위한 조치를 취하는 동안, 일본은 미국의 잠수함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했고, 이것은 궁극적으로 일본의 산업생산을 방해하고 그녀의 해군을 마비시켰다. 일본은 또한 특히 스스로 반상거래 캠페인을 전개하는데 실패했는데, 상업적 침입자를 조직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연합군의 작전이 훨씬 더 복잡해지고 일본이 보유한 섬을 정복하고 점령하는 것이 더 어려워질 수 있었다.
미국의 전쟁 기획자들은 잠수함과 해군 항공의 기술 발전이 마한의 교리를 쓸모없게 만들었고 일본으로부터의 선제 공격을 예상하지 못했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했다. 특히 그들은 항공기가 효과적으로 전함을 침몰시킬 수 있을 것인지, 일본이 1941년 12월 7일 진주만에서 실제로 일어났던 미국 전함 전력(전투선)을 일거에 무력화시킬 것인지 아직 알지 못했다.
이 공격 이후 미국의 계획은 바뀌었다. 미드웨이와 같은 일본의 대패 후에도 일단 항공모함의 효력이 알려지자 미국인들은 육지에 근거한 에어커버를 결코 크게 벗어나지 않는 체계적인 '섬호핑' 진격을 선호했다.[9] 한편, 미국의 첫 잠수함인 거전함이 1941년 12월 31일쯤 일본 앞바다에 도착하는 등 전쟁 초기부터 봉쇄가 가해졌다.[10]
오렌지에서는 고속, 장거리, 중어뢰 무장을 갖춘 함대 잠수함의 사양 등 여러 가지 요건이 성장했다.[11] 이들은 1932년 잠수함 돌핀에서[12] 결합되었다(1941년 8월경만 거부되어 가토 계급과 함께 돌아왔다.[13] 이 정도 크기의 잠수함에 대한 수요는 또한 랄프 W. 크리스티 사령관의[14] 지도 아래 악명 높은 문제성 마크 14 어뢰(그리고 똑같이 악명 높은 마크 6호 공격기)의 개발을 촉진시켰다.[15] 해군도 강력하고 소형 디젤엔진을 개발하기 위해 '수십만 달러'를 썼는데, 그 중에서도 철도에서 유용하다는 것이 입증된 골치 아픈 후벤-오웬스-렌츠클러(HOR)가 그것이다.[15]
참고 항목
참조
- ^ 홀윗, 조엘 I. "Execute Against Japan", 박사 논문, 오하이오 주립대, 2005년, 페이지 131.
- ^ 밀러, 워 플랜 오렌지
- ^ a b 홀위트 131쪽
- ^ 홀윗, 131쪽, 블라호스, 마이클 청검(뉴포트, RI: Navil War College Press, 1980), 페이지 163.
- ^ a b Miller, Edward S. (1991). War Plan Orange: The U.S. Strategy to Defeat Japan, 1897–1945. Annapolis, MD: 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Press. ISBN 0-87021-759-3.
- ^ 마한, 알프레드 테이어. 시파워가 역사에 미친 영향, 1660–1783. 보스턴: 리틀, 브라운, 저작권 1918, 1949년 재판 인쇄.
- ^ 밀러, 페이지 323-346; 블라호스, 마이클 청검(Naval War College Monograph 시리즈, Newport, RI: Naval War College Press, 1980), 페이지 113-121.
- ^ Parillo, Mark (1993). The Japanese Merchant Marine in World War 2. Annapolis, MD: 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Press. ISBN 1-55750-677-9.
- ^ Willmott, H.P. (1983). The Barrier and the Javelin: Japanese and Allied Pacific Strategies, February to June 1942. Annapolis, MD: 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Press. ISBN 0-87021-092-0.
- ^ 블레어, 클레이 주니어 사일런트 빅토리(New York: Bantam, 1976), 페이지 107 & 110.
- ^ 홀윗, 130페이지와 132-3페이지.
- ^ 렌튼, H. T. 아메리칸 잠수함 (뉴욕: 더블데이, 1973), 페이지 35.
- ^ 렌튼, 페이지 61-63. 살몬스와 탐보르스는 약간 작았고, 카찰로트와 포르피스는 태평양에 비해 정말 너무 작고, 함대 작전에도 너무 느렸다. 렌튼, 페이지 37-39, 45-47, 55, 58; 블레어, 페이지 60.
- ^ 홀윗, 페이지 147fn52.
- ^ a b 블레어, 페이지 61.
추가 읽기
- Miller, Edward S. (1991). War Plan Orange: The U.S. Strategy to Defeat Japan, 1897–1945. Annapolis, MD: 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Press. ISBN 1-59114-500-7.
- Morton, Louis (1953). The Fall of the Philippines. U.S. Army in World War II: The War in the Pacific. Washington, D.C.: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pp. 61–70. CMH Pub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