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찾기

Wayfinding
대학 도서관의 설계도

길찾기(또는 길찾기)는 사람(그리고 동물)이 물리적 공간에서 방향을 잡고 이곳저곳을 항해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한다.

기본 프로세스

길찾기의 기본 과정은 다음 4단계로 구성됩니다.

  1. 오리엔테이션은 근처에 있을 수 있는 물체와 원하는 목적지를 기준으로 자신의 위치를 결정하는 시도입니다.
  2. 경로 결정은 목적지까지의 방향 경로를 선택하는 것입니다.
  3. 루트 모니터링은 선택한 루트가 수신처를 향하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4. 행선지 인식은, 행선지가 [1]인식되는 경우입니다.

이력

역사적으로, 길찾기는 육지와 바다를 건너는 여행자들이 상대적으로 표시가 되어 있지 않고 종종 잘못 표시된 경로를 찾기 위해 사용하는 기술을 말한다.여기에는 사산, 지도 나침반, 천문학적 위치 결정, 그리고 최근에는 지구적 위치 [2]결정 이 포함되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습니다.

길찾기는 또한 폴리네시아 [3]원주민들이 사용했던 전통적인 항해 방법을 언급할 수 있다.고대 폴리네시아인들과 태평양 섬 사람들은 태평양의 섬들을 탐험하고 정착하기 위한 길찾기 방법을 익혔는데, 많은 사람들은 마셜 제도 스틱 차트와 같은 장치를 사용했다.이러한 기술들로, 그들 중 일부는 심지어 그들의 육지를 항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다도 항해할 수 있었다.오랜 시간 동안 바다에 나가는 것의 위험에도 불구하고, 길찾기는 [4]삶의 방식이었다.오늘날 폴리네시아 보이징 소사이어티는 전통적인 폴리네시아식 항해 방식을 시도하고 있다.

용어의 현대적 사용법

최근, 건축의 맥락에서 사용자 경험의 오리엔테이션과 구축 환경 내 경로 선택을 참조하기 위해 웨이파인딩이 사용되고 있습니다.케빈 A. 린치는 1960년 그의 책 "The Image of the City"에서 "길찾기"라는 용어를 사용했는데, 여기서 그는 길찾기를 "외부 [5]환경으로부터 확실한 감각적 신호를 일관되게 사용하고 정리하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1984년 환경심리학자인 Romedi Passini는 "건축에서의 길찾기"를 출판했고, 이 개념을 확장하여 간판과 다른 그래픽 커뮤니케이션, 구축된 환경의 시각적 단서, 청각 커뮤니케이션, 촉각적 요소, 특수 수요자를 [6]위한 준비물을 포함하도록 했다.

길찾기 개념은 1992년에 출판된 캐나다의 유명한 그래픽 디자이너 폴 아서와 로메디 파시니에 의해 더 확장되었다. "길찾기: 사람, 표지, 건축"이 책은 사람들이 복잡한 환경에서 길을 찾기 위해 어떻게 표지판과 다른 길찾기 신호를 사용하는지에 대한 실용적인 맥락으로 설정된 설명, 삽화, 목록으로 구성된 진정한 길찾기 성경 역할을 한다.기존 [7]정보에 대한 정보와 공공장소 화재와 같은 응급 상황에서 얼마나 효과가 있었는지 등 광범위한 참고 문헌 목록이 있습니다.

길찾기는 또한 오리엔테이션에 도움이 되는 건축 또는 디자인 요소들의 집합을 말합니다.오늘날, 덴마크 디자이너 Per Mollerup에 의해 만들어진 wayshowing이라는 용어는 [8]방법을 찾는 것을 돕는 행위를 포괄하는 데 사용됩니다.그는 길찾기와 길찾기의 차이를 설명하고 우리가 미지의 영역을 항해할 때 사용하는 9가지 길찾기 전략을 체계화한다.하지만, 웨이쇼잉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한 논란이 있고, 어떤 사람들은 이것이 이미 매우 [citation needed]오해 받고 있는 규율에 혼란을 가중시킬 뿐이라고 주장한다.

2010년 미국 병원협회는 Randy R에 의해 쓰여진 "건강 관리를 위한 길 찾기: 오늘의 시설을 위한 모범 사례"를 출판했습니다.쿠퍼.이 책은 특히 의료 서비스를 찾는 사람들을 위한 웨이파인딩을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다.

보는 반면 여행 건축, 미술, 디자인, 신호 체계 설계, 심리학, 환경 연구, 가장 최근의 정의는 폴 Symonds 처분 관행을 건너는 데 적용된다.[9]그 인지, 사회적, 신체적 과정과, 다음 또는을 통해 경로를 발견하는 것을 찾는 경험으로 여행을 정의합니다.지정된 공간"입니다.Wayfinding은 인지적 과정일 뿐만 아니라 구체적이고 사회문화적인 활동이며, 길찾기는 거의 전적으로 다른 사람과 함께, 주변, 과거의 사회적 환경에서 이루어지며, 우리가 길을 찾으려고 하는 경로를 관리하고 통제하는 이해관계자들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그 길은 종종 경치 좋은 고속도로를 보는 것과 같은 즐거움을 위해 택할 수도 있고, 우리의 행동편향을 보여주는 일련의 동굴을 통해 길을 찾으려고 하는 것과 같은 신체적 도전으로 택할 수도 있다.길찾기는 종종 사람들에게 길을 물어보는 것과 군중들의 추종과 같은 여러 가지 기술을 수반하는 복잡한 관행이며, 따라서 심리학과 사회문화 과정을 결합한 관행이다.

건설된 환경 외에도, 길찾기의 개념은 최근 경력 개발의 개념과 경력 정체성의 맥락에서 의미를 창출하려는 개인의 시도에 적용되고 있다.이는 2017년 8월 말 NPR 팟캐스트 You 2.0: Silicon Valley Can Help You Get Stuck에서 [10]다루어졌습니다.길찾기 개념은 또한 정보 아키텍처와 유사하며, 둘 다 정보 [11]환경에서 정보 추구 행동을 사용한다.

길찾기 이론

린치의 "The Image of the City"[5]에서 그는 길찾기 시스템을 구축하는 틀로서 도시의 모델을 만들었다.5가지 요소는 사람들이 멘탈 맵을 통해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 사용하는 것을 발견했습니다.다음과 같은 것이 있습니다.

  • 경로 – 이동에 사용되는 도로
  • 가장자리 – 경계와 연속성을 정의하는 도로
  • 지역 – 유사한 특성을 공유하는 지역
  • 노드 – 정사각형 또는 교차로와 같은 도로의 강한 교차점
  • 랜드마크 – 포인트 참조에 사용되는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실체(일반적으로 물리적 객체)

위에서 언급한 Mollerup의 9가지 길찾기 전략을 확장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트랙 추종: 도로의 방향 표시에 의존합니다.
  • 다음 경로: 주어진 규칙(예: 여행 시작 전 미리 계획된 경로)을 따릅니다.
  • 교육받은 탐색: 과거의 경험을 활용하여 어디로 가야 하는지에 대한 논리적 결론을 도출합니다.
  • 추론: 사물의 위치에 대한 규범과 기대를 적용한다.
  • 스크리닝: 도움이 되는 단서를 찾기 위해 체계적으로 지역을 검색한다.하지만 실제로는 아무것도 없을 수 있다.
  • 목표: 인지할 수 있는 대상을 찾아 특정 방향으로 이동한다.
  • 지도 읽기: 휴대용 또는 고정 지도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 나침반: 태양의 위치나 랜드마크와 같은 비유적인 나침반을 사용하여 자신을 탐색합니다.
  • 소셜 내비게이션: 다른 사람의 행동을 보고 배우는 것

인지 과정을 더 나아가서, 디자이너들이 사람들이 길을 어떻게 가고 그 요소들을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배울 때, 그것을 이해하는 것은 더 나은 길찾기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된다.

Chris Girling은 순환 모델을 사용하여 우리의 의사결정과 행동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설명합니다."우리의 뇌는 끊임없이 정보를 감지하고, 움직임을 조정하고, 환경을 기억하고, 다음 단계를 계획합니다."[12]이 모델은 우리의 인식이 우리가 찾는 어떤 정보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예를 들어, 일부 간판이 너무 작아서 읽을 수 없거나 심지어 너무 높은 곳에 있다.우리가 원하는 정보를 찾으면, 우리는 이전의 경험에 따라 결정을 내린다.마지막으로 이동하며, 이동 중에 올바른 결정을 내렸는지 확인하기 위한 추가 정보를 찾습니다.어떤 사람들은 그 여정을 잘 알고 있고 다른 사람들은 처음이기 때문에 이것의 인지 부하는 사람마다 다를 것이다.이러한 이해는 디자이너가 각 상황에 맞는 다양한 길찾기 시스템을 연구하고 테스트하면서 사용자에 대한 공감을 발전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건축, 간판, 도시계획의 길찾기

승객들이 뉴어크 공항의 표지판을 지나가고 있다.관광량이 많은 대규모 시설은 길찾기와 표지판에 상당한 투자를 할 수 있다.

현대의 길찾기는 사람들이 왜 길을 잃었는지, 그들이 표지판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시스템이 어떻게 개선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통합하기 시작했다.

도시 계획.

도시 길찾기 계획의 한 예는 읽기 쉬운 런던 길찾기 시스템이다.

네이처지에 실린 한 연구는 그리드 계획 도시에서 자라는 것이 미래의 공간 탐색 기술을 [13]방해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2011년 테네시주 내슈빌은 관광객들[14]도심을 항해할 수 있도록 길찾기 표지판과 교통안내 프로그램을 도입했다.

실내 길찾기

Indoor navigation and wayfinding by Favendo on the cruise ship MSC Bellissima.jpg

병원과 같은 공공 건물에서 실내 길찾기는 일반적으로 키오스크, 실내 지도 및 건물 [15]안내소의 도움을 받습니다.실내 [16]길찾기는 사무실 건물에서도 마찬가지로 중요하다.

방문객의 일반적인 어휘 밖의 영역을 포함하는 이러한 공간은 공통적인 언어 독립적 [17]기호 집합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디지털 정보 키오스크 [18]시스템과 마찬가지로 핸드헬드 모바일 기기에 실내 지도를 제공하는 것이 보편화되고 있습니다.

기타 자주 사용되는 길찾기 보조 도구로는 컬러[19] 코딩과 간판 클러스터링이 있습니다.이것은 정보를 계층으로 정렬하여 정보 [20]과부하 문제를 방지하는 데 사용됩니다.최근의 많은 공항 터미널에는 승객이 필요한 방향 흐름을 [21]따라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천장 설계와 바닥 패턴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990년 미국 장애인법(American with Disabilities Act of 1990, [22]ADA)은 공간을 보편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사용자의 길찾기를 개선하는 데 획기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간판

표지판은 길찾기의 가장 시각적인 부분이다.좋은 길찾기 시스템은 잘 설계된 표지판이 필요하지만, 사용자의 언어와 잘 어울리고 잘 배치되어야 합니다.

사용자를 탐색하고 적절한 [23]정보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되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4가지 유형의 기호가 있습니다.다음과 같은 것이 있습니다.

  • 정보:무료 와이파이, 오픈 시간 등 사용자가 있는 장소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방향:이름에서 알 수 있듯, 어떤 목적으로든 어떤 방향으로 가야 하는지 알려주는 화살표가 사용자에게 표시됩니다.대부분의 경우 사용자가 루트에 대해 결정해야 하는 교차로에서 발생합니다.
  • 식별:사용자가 현재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건물, 공원 등의 입구에 식별 표지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그것들은 목적지에 도착하는 것을 상징한다.
  • 법령 준수:이것들은 사람들에게 주어진 영역에서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무엇을 할 수 없는지를 알려주고 안전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가장 자주 부정적으로 표현된다.예를 들면, 「금연」이나 「제한 구역」등이 있습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추가 정보

  • Chris Calori (2007), 간판과 길찾기 디자인: 환경 그래픽 디자인 시스템 작성에 대한 완전한 가이드, John Wiley & Sons, ISBN0-465-06710-7
  • Cooper, Randy (2010). Wayfinding for Health Care: Best Practices for Today's Facilities. American Hospital Association. ISBN 978-1-55648-369-1.
  • 환경 그래픽스: 헌트 설계의 프로젝트와 프로세스.
  • 데이비드 깁슨(2009년),길찾기 핸드북: 공공장소를 위한 정보설계,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ISBN 978-1-56898-769-9
  • Michael Bierut (2015), 물건을 팔기 위해 그래픽 디자인을 사용하는 방법, 사물을 더 좋게 보이게 하는 방법, 사람들을 웃게 하는 방법, 사람들을 울게 하는 방법, 그리고 (Every Once When the World, Thames & Hudson)
  • 풀린, 리처드그래픽 디자인 + 아키텍처 20세기 역사지Rockport Publishers, 2012.
  • Per Mollerop (2005), Wayshowing : 환경 간판 원칙과 실천요강 가이드, Lars Muller 출판물
  • Paul Arthur와 Romedi Passini "길찾기: 사람, 간판, 건축",(1992년 초판, 맥그로 힐, 2002년 SEGD 한정 기념판으로 재발행).ISBN 978-0075510161, ISBN 0075510162
  • 우에벨레, 안드레아스간판 시스템과 정보 그래픽스.템스 & 허드슨, 2007년
  • Meno Hubregtse (2020), Wayfinding, Consumption, and Air Terminal Design, Routledge, ISBN 9780367352561

레퍼런스

  1. ^ Lidwell, William; Holden, Kritina; Butler, Jill (2010). "Wayfinding". The Pocket Universal Principles of Design: 125 Ways to Enhance Usability, Influence Perception, Increase Appeal, Make Better Design Decisions, and Teach through Design. Rockport Publishers. p. 260. ISBN 9781610580656 – via Google Books.
  2. ^ O'Connor, M.R. (April 30, 2019). "GPS gives directions, but what does it take away?". Popular Science. Retrieved January 25, 2021.
  3. ^ "Modern Wayfinding". Polynesian Voyaging Society. Retrieved January 25, 2021.
  4. ^ Lin, Daniel (March 3, 2014). "Hōkūle'a: The Art of Wayfinding (Interview With a Master Navigator)". National Geographic. Retrieved January 25, 2021.
  5. ^ a b Lynch, Kevin (1960). The Image of the City. Cambridge, Massachusetts: The M.I.T. Press. ISBN 0-262-62001-4.
  6. ^ Yanling, Wang (2005-01-01). "Creating positive wayfinding experience". Iowa State University Digital Repository. Retrieved January 25, 2021.
  7. ^ 1992년에 출판된 McGraw Hill은 SEGD에 의해 2002년에 한정 기념판으로 재발행되었습니다.ISBN 978-0075510161
  8. ^ Borosky, Michael (June 7, 2016). "'Wayknowing' Is the Smart Future of Wayfinding". Ad Age. Retrieved January 25, 2021.
  9. ^ Symonds, Paul; Brown, David H. K.; Lo Iacono, Valeria (2017). "Wayfinding as an Embodied Sociocultural Experience". Sociological Research Online. 22 (1): 5. doi:10.5153/sro.4185. hdl:10369/8378.
  10. ^ "You 2.0: How Silicon Valley Can Help You Get Unstuck". NPR. August 28, 2017. Retrieved January 25, 2021.
  11. ^ Clark-Madison, Mike (January 31, 2020). "The World of Wayfinding in Austin". The Austin Chronicle. Retrieved January 25, 2021.
  12. ^ Girling, Chris (2016-11-07). "Science & Psychology of Wayfinding". CCD Design. Retrieved 2019-11-16.
  13. ^ Coutrot, Antoine; et al. (2022-03-21). "Entropy of city street networks linked to future spatial navigation ability". Nature. doi:10.1038/s41586-022-04486-7. PMID 35355009. Retrieved 2022-04-05.
  14. ^ "Nashville Unveils Innovative Wayfinding Program" (PDF). nashville.gov (Press release). August 2, 2011. Retrieved January 25, 2021.
  15. ^ Raven, A., Laberge, J., Ganton, J., Johnson, M. (2014). "Wayfinding in a Hospital: Electronic Kiosks Point the Way". User Experience Magazine. 14 (3).{{cite journal}}: CS1 maint: 작성자 파라미터 사용(링크)
  16. ^ Davies, Helen (October 7, 2020). "33 Cool Laser Cutting And Engraving Ideas To Spark Inspiration". frontsigns.com. Retrieved January 25, 2021.
  17. ^ Goodwin, Kim (2011). Designing for the Digital Age: How to Create Human-Centered Products and Services. John Wiley & Sons. p. 582. ISBN 9781118079881.
  18. ^ Wright, Bianca (February 25, 2016). "Best apps for navigating inside buildings". Tech Advisor. Retrieved January 25, 2021.
  19. ^ Symonds, Paul (2017-04-24). "Using Colours in Wayfinding and Navigation". travelwayfinding.com.
  20. ^ "Clustering and Signage in Wayfinding". travelwayfinding.com. 2018-04-27.
  21. ^ Hubregtse, Menno (2020). Wayfinding, Consumption, and Air Terminal Design. Routledge. p. 1906. ISBN 9781000029680 – via Google Books.
  22. ^ Sisson, Patrick (July 23, 2015). "The ADA at 25". Curbed. Retrieved January 25, 2021.
  23. ^ Peate, Stephen (8 June 2018). "The Wonders of Wayfinding Design". Fabrik Brands. Retrieved 16 November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