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인 에스코퍼리
Wayne Escoffery웨인 에스코퍼리 | |
---|---|
![]() 2008년 웨인 에스코퍼리 | |
배경 정보 | |
태어난 | 영국 런던 | ) 1975년 2월 23일
장르 | 재즈 |
직업 | 뮤지션 |
계기 | 색소폰 |
관련 행위 | 톰 하렐, 밍거스 빅밴드 |
웹사이트 | wayneescoffery |
웨인 에스코퍼리(Wayne Escofery, 1975년 2월 23일 출생)는 미국의 재즈 색소폰 연주자다.
기록 수행 중
2000년부터는 칼 앨런, 에릭 리드, 밍거스 빅 밴드와 함께 뉴욕에서 활동하고 있다.랄프 피터슨, 벤 라일리, 론 카터, 루퍼스 리드, 빌 찰라프, 브루스 바스, 지미 콥, 에디 헨더슨과 함께 공연한 다른 음악가들이 있다.그는 메리 스털링스, 신시아 스콧, 낸시 뱅크스, 라베르네 버틀러, 캐롤린 레온하트를 포함한 성악가들과 함께 활동했다.에스코페리는 현재 데이비드 키코스키, 우고나 오케그워, 랄프 피터슨이 등장하는 자신의 4중주단과 함께 공연하는 것 외에도 벤 라일리의 몽크 레거시 셉테, 밍거스 밴드, 론 카터의 빅 밴드, 몬티 알렉산더, 아미나 피가로바 등 여러 사람들과 함께 공연하고 있다.현재 톰 하렐 퀸텟의 멤버로 2006년부터 활동하고 있다.그는 또한 하렐의 최근 음반 중 4개를 공동 제작했다.
전기
웨인과 그의 어머니 패트리샤 에스코페리는 미국으로 이민을 가서 1986년 코네티컷 주의 뉴헤이븐에 정착했다.[1]그는 예술 고등학교를 위한 ACES 교육 센터에 다녔다.[1]
11살 때, 에스코퍼리는 뉴 헤이븐 트리니티 보이즈 합창단에 가입했고 말콤 디킨슨으로부터 색소폰 수업을 받기 시작했다.열여섯 살에 합창단을 떠나 색소폰에 대한 보다 집중적인 연구를 시작했으며, 뉴욕시의 재즈모바일, 뉴헤이븐의 이웃 음악학교, 뉴헤이븐의 ACES 예술교육원에 다녔다.고등학교 3학년 때, 그는 코네티컷주 하트포드에 있는 Artists Collective, Inc.에 다녔다.그는 하르트 스쿨에서 알토 색소폰 연주자로 잘 알려진 재키 매클린을 만났다.
에스코페리는 하르트 학교에 다닐 수 있는 전액 장학금을 받았고, 그곳에서 그는 4년간 맥클린과 함께 공부했고, 1997년에 재즈 퍼포먼스 종합 학사에서 우등으로 학사 학위를 받았다.그 후 그는 매사추세츠 주 보스턴의 뉴잉글랜드 음악원에서 열린 테로니어스 몽크 재즈 공연 연구소에 다녔다.이 기간 동안 그는 허비 핸콕과 함께 순회 공연을 했고 여러 재즈 명창들과 함께 공연하고 공부했다.1999년 석사학위를 받고 뉴욕으로 건너가 프로 생활을 시작했다.
에스코퍼리는 2004년에 보컬 캐롤린 레온하트와 결혼했다.[2]2020년 현재, 그들은 더 이상 결혼하지 않는다.[3]그들은 함께 한 아이를 낳고, 많은 공연에 공동작업을 했으며, 여러 앨범에 함께 출연했다.
2014년 에스코페리는 테너 색소폰에서 떠오르는 스타로 제62회 연례 다운비트 비평가 여론조사에서 1위를 차지했고 2010년에는 더 밍거스 빅 밴드와 함께 그래미상을 수상했다.2016년 그는 예일 음악대학의 재즈 즉흥연주와 콤보강사로 임명되었다.
음반 목록
리더로서
- 타임즈 변화 (Nagel Heyer, 2001)
- 직감 (Nagel Heyer, 2004)
- 존경 (Savant, 2007)
- 희망과 꿈 (Savant, 2008)
- 업타운 (Posi-Tone, 2009)
- 하나뿐인 아들 (Sunnyside, 2012년)
- 소방관서 라이브 12 (Sunnyside, 2014)
- Live at Smalls(Smalls)라이브, 2015)
- 소용돌이 (Sunnyside, 2018)
- 보잘것없는 전사(스모크 세션스, 2020)
사이드맨으로
톰 하렐과 함께
- Light On (HighNote, 2007)
- 프라나 댄스 (HighNote, 2009)
- 로만 나이트(HighNote, 2010)
- 태양의 시간 (HighNote, 2011)
- 5번 (HighNote, 2012)
- 꿈의 색상(HighNote, 2013)
- 첫인상(HighNote, 2015)
블랙 아트 재즈 콜렉티브와 함께
- 사이드 도어 재즈 클럽 발표 (Sunnyside, 2016)
- 자랑의 갑옷 (HighNote, 2018)
- 상승(고주, 2020)
다른 사람들과 함께
- 몬티 알렉산더, 와레이카 힐: 라스타-몽크 진동 (MACD, 2019)
- Nancie Banks, Out of It (GFI, 2001)
- 노아 배어맨, 플레이데이 (Posi-Tone, 2009)
- 팻 비안치, 백홈(Dudlin, 2010)
- 팻 비안치, 할 말 있어 The Music of Steve Wonder (Savant, 2021년)
- Steve Davis, 상관 관계(Smoke Sessions, 2019)
- 아미나 피가로바, 블루 위스퍼 (In+Out, 2015)
- 아미나 피가로바, 태양의 길 (AmFi, 2018)
- 존 해셀백 3세, 입구 (Haselcastle, 2021년)
- 프랭크 레이시, 밍거스 싱스 (Sunnyside, 2015)
- 캐롤린 레온하트, 새 8일 (Sunnyside, 2004)
- 캐롤린 레온하트, 만약 꿈이 실현된다면 (Nagel Heyer, 2007)
- 캐롤린 레온하트, 어제의 조수 (Savant, 2010)
- 조 로크, 포스 오브 포스 (오리진, 2008)
- 밍구스 빅 밴드, 투나잇 앳 노우...사랑의 세가지 또는 네가지 색조 (Dreyfus, 2002)
- 밍구스 빅 밴드, I Am 3 (Sue Mingus Music, 2005)
- 밍구스 빅 밴드, 라이브 앳 재즈 스탠다드 (Sue Mingus Music, 2010)
- 로니 플랙시코, 리듬 앤 소울 (Sirocco Music, 2003)
- 에릭 리드, 행복 (Nagel Heyer, 2001)
- Ben Riley, Memory of T (Concord Jazz, 2006)
- 벤 라일리, Grown People Music (Sunnyside, 2012)
- Avi Rothbard, Twin Song (MidLantic, 2005년)
- Avi Rothbard, Standard Solo And Duetches (Rothbard Music/RM Records, 2016)
- Randy Sandke, Jazz for Juniors (Arbors, 2009)
- 조리스 티페, 인 더 스피릿 오브 라시드 알리 (재즈 부족, 2018)
- 츠루가 아키코, NYC 세레나데(Mojo [jp, 2008)
참조
- ^ a b McNally, Owen (2012-03-29). "Wayne Escoffery Honored In New Haven". courant.com. The Hartford Courant. Retrieved 2019-10-01.
{{cite web}}
: CS1 maint : url-status (링크) - ^ Wayne Escoffery (2008-09-15). "Public Service: Locating Wayne Escoffery's Missing Horn". All About Jazz. Retrieved 2008-12-18.
- ^ Leonhart, Carolyn (14 April 2020). JAZZIZ Daily Brunch: Carolyn Leonhart. JAZZIZ (YouTube interview). Brian Zimmerman (interviewer). Retrieved 22 May 2020.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