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브멘티온
Webmention상태 | W3C 권장 사항 |
---|---|
초간출판 | 2017년 1월 12일 ( |
조직 |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 |
편집자 | 애런 파레키 |
기준 표준 | HTTP, URI |
관련규격 | 마이크로포맷, h-엔트리 |
도메인 | 소셜 웹, 통신 프로토콜 |
웹사이트 | www |
웹멘션은[1] 웹 사이트가 URL에 연결되면 이를 알리고, 웹 페이지가 URL에 연결하면 알림을 요청하는 간단한 프로토콜을 설명하는 W3C 권장사항이다. Webmention은 원래 IndieWebCamp 커뮤니티에서[2] 개발되었으며, 2016년 1월 12일 W3C 워킹 드래프트로 발행되었다.[3] 2017년 1월 12일 현재 W3C 권고안이다.[4] 웹멘션은 작가들이 자신의 기사에 누가 연결되고, 언급하고, 논평하고 있는지를 추적할 수 있게 해준다. 다른 사이트의 이러한 의견을 통합함으로써 사이트 자체는 연합된 주석 기능을 제공한다.
Webmention은 핑백과 유사하게 4종류의 링크백 중 하나이지만, 대신 HTTP와 xww-urlencoded 콘텐츠만을 사용하여 핑백이 의존하는 XML-RPC 프로토콜보다 단순하도록 설계되었다.[2] 이전의 링크백 프로토콜을 넘어, Webmention은 링크의 원본인 페이지가 삭제되거나 새로운 링크나 기존 링크의 제거로 업데이트되는 경우에 대한 프로토콜 상세정보도 지정한다.
참고 항목
- Webmention을 모델로 한 XML-RPC 기반 프로토콜인 Pingback.
- Refback(리프백)은 유사한 프로토콜이지만 링크를 시작하는 사이트가 Pingback 요청을 보낼 수 없으므로 Pingback보다 쉽다.
- 트랙백(Trackback), 프로토콜은 유사하지만 스팸이 더 많이 발생함.
참조
- ^ Parecki, Aaron, ed. (January 12, 2017). "Webmention". W3C. Retrieved October 26, 2017.
- ^ a b "Webmention". IndieWebCamp. Retrieved October 26, 2017.
- ^ "First Public Working Drafts: Webmention; Social Web Protocols". W3C News. January 12, 2016.
- ^ "Webmention is a W3C Recommendation". W3C News. January 12,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