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루야마 웬디
Wendy Maruyama마루야마 웬디 | |
---|---|
태어난 | 1952년(69세~70세) |
교육 | |
웹 사이트 | wendymaruyama |
웬디 마루야마(1952년생)는 캘리포니아 출신의 예술가, 가구 메이커, 교육자입니다.그녀는 콜로라도의 [1]라 군사정에서 태어났다.
마루야마는 포스트모던 미술 가구의 초기 시대에 영향을 미쳤다.그녀는 목공 [according to whom?]분야에서 남성적인 환경에 도전한다.그녀의 작품은 유머, 사회적 논평, 조각 형태, 그리고 색채를 사용하여 가구에 대한 받아들여진 개념에 도전합니다.개념적으로 그녀의 작품은 그녀의 일본계 미국인 유산, 페미니즘, 그리고 아프리카의 [2]야생동물 위험과 같은 사회적 관행을 다룬다. 페미니즘마루야마씨는 샌디에이고 주립대학 가구디자인부장을 25년간 [2]역임했다.
배경
마루야마 씨는 샌디에이고에 사는 일본계 미국인 3세입니다.그녀는 태어날 때부터 양쪽 귀가 들리지 않았고 9살 [1]때부터 보청기를 착용했다.그녀는 샌디에이고 주립 대학에서 목공학을 공부했고, 1975년에 석사 학위를 받았습니다.그 후 그녀는 버지니아 리치몬드에 있는 버지니아 커먼웰스 대학에서 목공학을 공부했다.1976년부터 1978년까지 보스턴 대학의 예술학 프로그램으로 전학하여 알폰스 마티아와 제레 오스굿의 지도를 받았다.1980년,[2][3][4] 그녀는 뉴욕에 있는 로체스터 공과대학의 미국 공예학교에서 MFA를 수료한 최초의 여성 중 한 명이자 청각장애 학생이었다.
직업
교육자
마루야마씨는 1980년부터 1985년까지 테네시주 스미스빌의 애팔래치아 공예센터에서 교편을 잡았으며 1982년부터 1985년까지 목공예 가구 디자인 프로그램 책임자를 지냈다.그리고 나서 그녀는 1985년부터 1989년까지 캘리포니아 오클랜드에 있는 캘리포니아 예술 공예 대학에서 목공과 가구 디자인 책임자로 일했습니다.그 후, 1989년부터 [2]2014년까지 샌디에이고 주립 대학에서 목공 및 가구 디자인 부장을 역임했습니다.
마루야마 씨는 경력 초기에 1970년 캘리포니아 노스리지 캘리포니아 주립대학에서 교편을 잡았습니다.1970년부터 현재까지 노스캐롤라이나주 펜랜드의 펜랜드 공예학교와 콜로라도주 스노우매스 빌리지의 앤더슨 랜치 아트센터 등 공예학교에서 워크샵을 가르쳤다.공식적으로 은퇴했지만, 마루야마씨는 이전 제자들의 멘토로서 계속 활동해,[citation needed] 2017년 여름 앤더슨 랜치 아트 센터에서 워크샵을 지도할 예정이다.
예술가.
1970년대 그녀의 초기 작품들은 눈에 보이는 가구 제작 기술, 복합 굽힘 적층, 복잡한 나무 알갱이와 활자의 축하를 사용한 매우 전형적인 당시 스타일이었다.로잔 소머슨, 게일 프레델과 함께 마루야마 씨는 스튜디오 가구 분야에 뛰어든 최초의 여성 중 한 명이었다.이들은 남성 지배적인 분야에서 느끼는 소외감에 복잡한 조이너리, 구부러진 적층, 기술적 [5]공정을 이용한 작업을 통해 대응했다.마루야마씨는 이러한 고도의 기술 가구에 제약을 느껴, 로체스터 [2]공과대학에서 공부하는 동안, 보다 표현력 있는 작품을 만들기 시작했다.
마루야마씨는 가구 제작의 예술을 믿으며, 「가구는 시대를 표현할 수 있는 전형적인 물건이라고 생각한다.가구는 [2]어떤 분위기를 조성하고 우리 삶의 공통 이상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그녀는 초기 경력에서 1년에 15~20개의 가구를 생산했다.그녀는 전임 교직과 다른 [3]책임감을 유지하면서 매년 약 6~8개의 작품을 계속 제작했다.1980년대는 색채 표면, 각진 형태, 그리고 여러 매체를 이용한 형태와 미학의 실험의 시대였다.1980년대 후반, 마루야마씨는 핵실험에 대한 반대로서 「백인기」, 「포스트 핵 원시기」라고 표현하고 있다.이 작품들은 그녀가 핵 [2]대학살 이후에 존재할 것이라고 상상한 창백하고 하얀 가구들로 구성되었다.
그녀의 1982년 작품인 미키 맥킨토시 체어는 만화 캐릭터 미키 마우스에게 유머러스하게 경의를 표하지만, 또한 유명한 스코틀랜드 디자이너 찰스 레니 맥킨토시와 마가렛 맥도날드 맥킨토시에게도 말한다.마루야마의 의자는 20세기 [2]듀오의 상징인 키 큰 등을 가진 맥킨토시 의자를 시각적으로 암시한다.
그녀의 작품은 빅토리아와 앨버트 박물관, 휴스턴,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미술관, 댈러스 미술관, 퀸 빅토리아 박물관과 미술관, 론스턴, 호주, 보스턴, 필라델피아 미술관, 신미술관의 영구 소장품이다.아롤리나, 매사추세츠 주 풀러 공예관, 캘리포니아 주 밍게이 국제박물관, 캘리포니아 [6]주 오클랜드 [clarification needed]미술관.
마루야마씨는, 2017년에 건물을 매각해 [7]개보수할 때까지, 샌디에이고의 Barrio Logan의 Glashaus에 수년간 스튜디오 공간을 가지고 있었다.
마루야마씨는 가구협회의 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2009년,[8] 그녀는 그녀의 경력에 대한 뛰어난 예술적 업적으로 미국 공예 협회의 펠로우 대학에 입회했습니다.
와일드라이프 프로젝트
"와일드라이프 프로젝트"라는 제목의 마루야마의 시리즈는 그녀가 동물을 밀렵하는 것의 위험에 대해 더 많이 배우기 위해 야생동물 옹호자들과 만났던 케냐 여행에서 영감을 얻었다.이 작품은 연간 100억 달러 규모의 상아 산업을 위해 코끼리와 코뿔소를 부당하게 도살하는 것에 관심을 끌고 있다.마루야마씨는 코끼리의 독특한 사회적 성격과 [9][10][11]인간과의 유사성에 특별한 관심을 두고 있다.
이 시리즈는 마루야마씨가 2013년 워싱턴 스탠우드에 있는 필척 글래스 스쿨의 레지던트 아티스트로 있을 때 시작되었다.이 기간 동안 그녀는 날아간 유리 송곳니를 만들어 2015년 작품 Sarcophagus의 일부가 되었다.WildLife는 페인트칠된 나무 조각으로 만들어진 실물 크기의 코끼리 머리 6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각각의 코끼리는 12피트까지 자라며 사냥 트로피를 닮았다.이 쇼에는 또한 향을 피우는 불교 스타일의 종묘와 청동종이 포함되어 있다.코끼리가 얼마나 자주 [10][11][12]상아 때문에 죽임을 당하는지를 나타내기 위해 15분마다 종이 울린다.
이 작품은 2015년부터 미국을 여행하고 있으며 크라이슬러 미술관, 샌프란시스코 공예 디자인 박물관, 목재 예술 센터, 펜랜드 공예학교, 오션사이드 미술관 등에서 전시되고 있다.이 전시회는 휴스턴 컨템포러리 크래프트 센터에 의해 조직되고 엘리자베스 코졸로프스키가 큐레이터를 맡는다.그것은 윈드게이트 자선 [10][11][13][14][15]재단의 기부를 통해 가능해졌다.
행정명령 9066
마루야마 웬디: 행정명령 9066은 Franklin D를 조사하는 마루야마의 일련의 작품입니다. 루스벨트의 1942년 행정명령 9066호는 일본계 미국인 120,000명을 억류하는 것을 승인했다.마루야마의 친인척도 이 [16]시대에 수감된 사람들 중 한 명이었다.이들 작품에는 행정명령 9066호, 태그 프로젝트 및 역사적 유물 선정이 포함됩니다.그것들은 샌프란시스코의 공예 및 디자인 박물관, 샌디에이고 주립 대학의 유니버시티 아트 갤러리, SUNY 구매의 [4]리차드 앤 돌리 마스 갤러리에 전시되어 있다.이 작품들은 현재 정치적 [17]혼란기에도 여전히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
행정명령 9066은 이들 수용소 내에서 공통되는 주제를 암시하는 일련의 벽걸이 캐비닛입니다.이 작품들에는 도로시 랑게와 미야타케 도요가 철조망, 타르 종이, 가정용품과 함께 찍은 다큐멘터리 사진이 포함되어 있다.이 작품들은 또한 수용소 내 가족들이 이주할 때 사용했던 여행가방과 [4]수용소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재료로 만든 물품 등 수용소 내 수용자들이 소유하거나 만든 실제 물건들도 전시하고 있다.태그 프로젝트는 일본인 인턴들이 이주할 때 강제로 착용한 종이 태그의 12만 개 복제품으로 구성되어 있다.태그는 각 캠프를 나타내는 묶음으로 묶인 후 천장에 매달았다.이들의 목적은 일본인 억류자들의 [4]굴욕감을 불러일으키고 난민들의 엄청난 양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이 프로젝트의 제작에는 수백 명의 지역 사회 구성원의 도움을 받아 태그에 일본인 죄수의 이름을 모두 손으로 썼다.
수상과 우수성
전람
웬디 마루야마는 뉴욕, 샌프란시스코, 애리조나, 스코츠데일, 인디애나주 인디애나폴리스, 사바나 조지아, 뉴욕주 에스햄튼에서 개인전을 열었다.그녀는 도쿄, 서울,[6] 런던에서도 전시회를 열었다.
그녀의 전시는 다음과 같다.
- 1984년 "물적 증거"[2]
- 1989년 《크래프트 투데이 USA》[2]
- 1990 - 뉴욕 스나이더맨 갤러리, 솔로 전시회.
- 1995년 - '웬디 마루야마:심플한 쾌락과 면죄부" 피터 조셉 갤러리, 뉴욕.
- 1997년 일본 누노 주식회사 '하코'
- 1998년 - '웬디 마루야마:New Work", AZ Scottsdale, Joanne Rapp Gallery.
- 1999 - 뉴욕, 존 엘더 갤러리, 개인전.
- 2000 - 사바나 예술 디자인 대학, 사바나, 조지아 주 사바나.
- 2002년 - 인디애나폴리스 헤론 예술학교 '인사이드 스토리'
- 2003 - 뉴욕주 이스트햄튼 프리탐 앤 임즈 갤러리 'Turning Japanese'
- 2005년 - 뉴욕주 이스트햄튼 프리탐 앤 임즈 갤러리 '기모노스의 남자'
- 2009 - "이그제큐티브 오더 9066", Richard and Dolly Maas Gallery, SUNY 구매, 뉴욕.
- 2012 - "거울, 거울", 벨벳 다빈치 갤러리
- 2012년 - '웬디 마루야마:행정명령 9066" (매주 보스턴, 예술 공예 협회)
- 2013년 - '웬디 마루야마:행정명령 9066인치, 아칸소 아트센터, 리틀록, AR
- 2014 - 새너제이 현대미술대학, 캘리포니아[19] 새너제이 '행정명령 9066'
- 2016 - "행정명령 9066과 태그 프로젝트", 보이시 미술관, 아이디
- 2016년 -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20] 일본국립박물관 '모든 사람에 대한 지침: 행정명령 9066에 대한 반성'
- 2016년 - '웬디 마루야마:The WildLIFE Project" (엔씨[21] 펜랜드 공예학교 갤러리),
- 2017년 - '웬디 마루야마:The WildLIFE Project" (캘리포니아 오션사이드[22], 오션사이드 미술관)
- 2018년 - '웬디 마루야마:행정명령 9066인치, 리버사이드 미술관, 캘리포니아[23] 주 리버사이드
레퍼런스
- ^ a b "Oral history interview with Wendy Maruyama, 2010 March 5-6". Smithsonian Archives of American Art. Retrieved December 3, 2017.
- ^ a b c d e f g h i j Cooke, Jr., Edward S.; Ward, Gerald W. R. & L'Ecuyer, Kelly H. (2003). The Maker's Hand: American Studio Furniture, 1940-1990. Boston, Massachusetts: Museum of Fine Arts, Boston. pp. 130. ISBN 0878466630.
- ^ a b Kruppenbacher, Frank A. (Spring–Summer 2003). "Wendy Maruyama". Focus. National Technical Institute for the Deaf.
- ^ a b c d "Wendy Maruyama: Executive Order 9066 The Furniture Society". furnsoc.org. Retrieved March 11, 2017.
- ^ Cooke Jr., Edward S. (2000). Women Furniture Makers: From Decorative Designers to Studio Makers.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ISBN 0300087349.
- ^ a b "Wendy Maruyama The Furniture Society". furnsoc.org. Retrieved March 6, 2017.
- ^ Schimitschek, Martina. "Fall arts: Through her art, Wendy Maruyama raises awareness". The San Diego Union-Tribune. Retrieved December 3, 2017.
- ^ "NewsCenter SDSU American Craft Council Recognizes Wendy Maruyama". Retrieved March 13, 2017.
- ^ Schwartz, Chip (March 3, 2016). "Wendy Maruyama Gives Voices to Earth's Silent Giants". Knight Foundation.
- ^ a b c Stapley-Brown, Victoria (February 7, 2017). "Artist's Portrait of Elephants Killed by Poachers Brings Attention to the Cost of the Ivory Trade". The Art Newspaper.
- ^ a b c "Chrysler Museum of Art". Chrysler Museum of Art. Retrieved March 11, 2017.
- ^ "Chrysler Museum of Art". Chrysler Museum of Art. Retrieved March 11, 2017.
- ^ "Chrysler Museum Explores Impact of Illegal Ivory Trade with 'The wildLIFE Project'". Hyperallergic. September 12, 2016. Retrieved March 11, 2017.
- ^ "Wendy Maruyama: The wildLIFE Project The Center for Art in Wood". centerforartinwood.org. Retrieved March 11, 2017.
- ^ "2016 Exhibition: Wendy Maruyama The wildLIFE Project - Penland Gallery ". Penland Gallery . Retrieved March 11, 2017.
- ^ "Artist Hangs ID Tags to Tell Internment Story - Voice of San Diego". Voice of San Diego. February 10, 2012. Retrieved December 3, 2017.
- ^ Vankin, Deborah (February 16, 2017). "Roosevelt's signed Executive Order 9066 on Japanese American internment to go on view in L.A." Los Angeles Times. ISSN 0458-3035. Retrieved December 3, 2017.
- ^ a b c d "Wendy Maruyama School of Art + Design". art.sdsu.edu. Retrieved March 6, 2017.
- ^ "Wendy Maruyama's 'Executive Order 9066: The Tag Project' Comes to San Jose". www.rafu.com. March 14, 2014. Retrieved December 3, 2017.
- ^ "About Instructions to All Persons Japanese American National Museum". www.janm.org. Retrieved December 3, 2017.
- ^ "2016 Exhibition: Wendy Maruyama The wildLIFE Project - Penland Gallery ". Penland Gallery . Retrieved December 3, 2017.
- ^ "Wendy Maruyama The WildLIFE Project – OMA Online". oma-online.org. Retrieved December 3, 2017.
- ^ "RAM :: Wendy Maruyama: E.O. 9066". www.riversideartmuseum.org. Retrieved December 3,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