벵거날프 철도

Wengernalp Railway

좌표:46°34′34″N 7°56′38″E/46.57611°N 7.94389°E/ 46.57611; 7.94389

벵거날프 철도
Mh kleine scheidegg sommer.jpeg
클라인 셰이덱 역
개요
네이티브 이름벵거날프반 WAB
상태일일 운영
소유자벵거날프반 AG
로캘버네즈 고원
터미그린델왈드, 라우터브룬넨
클라인 셰이덱
스테이션10
웹사이트와브
서비스
유형산악선 철도
서비스2
연산자와브
역사
열린1893
기술
선 길이19.11km(11.87mi)
트랙 수통과 루프가 있는 단일 트랙
캐릭터통근자(Wengen과 Lauterbrunnen 사이), 그러나 주로 관광 철도
랙 시스템슈트루브 / 폰
트랙 게이지800 mm (2ft 7+12 인치
전기화100%, 1500V DC, 오버헤드 와이어
최고 고도2,061m(6,762ft)
최대 경사250, 25%
경로도

elev (M)
elev (M)
또는 길이(m)
미터 단위로
또는 길이(m)
미터 단위로
0.796M
라우터브룬넨
즈웨일뤼츠치넨
653M
인터라켄 오스트
567M
위티마테
멕트리바흐
리비바흐
0,210 m
뷔름쇼프
그린델왈드 그룬드
943 M
크리첸바흐
로흐플루
그린델발트
1034M
0.027m
칠칠리
브렌드바흐
0.034m
언드라이 브렌드
브룬니바흐
0,077m
오브리 브렌드
rohr
0.248m
체르툰넬
1,184 M
벵발트
브란데그
1332 M
1275M
벵겐
알피글렌
1616M
올멘드 갤러리
슈뤼드마텐 갤러리
514m
1479M
올멘드
스트래틀리 갤러리
536m
갈바흐
반월트
살제그 갤러리
490m
1874M
벵거날프
위시바흐
살제그
1,995 M
클라인 셰이덱
2,061 M
융프라우조흐
3,454 M
벵거널프-반-게셀샤프트 지분, 18호 발행.1892년 2월
벵겐으로 통하는 선.배경에는 융프라우가 보인다.

벵거날프 철도(독일어:WAB(Wengernalpban, WAB)는 스위스에 있는 19.11km(11.87mi) 길이의 랙 철도 노선이다.라우터브룬넨에서 벵겐클라인 셰이데그를 거쳐 그린델왈드까지 운행하며, 세계에서 가장 긴 연속 랙 및 피니언 철도가 된다.[1]그 이름은 벵겐 위쪽에 있는 벵거날프의 고산지대 초원을 가리킨다.

이 노선은 보통 두 개의 구간으로 운행되며, 양쪽 방향의 열차가 클라인 셰이덱에서 종착한다.후자 역에서는 대부분의 승객들이 융프라우호흐에서 유럽에서 가장 높은 기차역으로의 여정의 연수를 위해 융프라우 철도로 갈아타게 된다.벵겐/뮌렌으로 가는 도로는 일반적으로 없고, 열차가 주된 출입구다.[2]

이 노선은 융프라우반베르그반 라우터브룬넨-무르렌, 하르드반, 퍼스트반 등을 소유한 지주회사인 융프라우반홀딩AG의 자회사 벵거날프반 AG가 소유하고 있다.그 지주회사를 통해 그것은 알리안츠 - 융프라우 유럽 마케팅 동맹의 일부분이며, 여기에는 별도로 소유한 베르너 오벌랜드-반시니지 플랫-반도 포함되어 있다.[3]

역사

클라인 셰이덱 바로 아래 그린델왈드를 내려다보십시오.
기차가 그린델왈드 그룬드에서 기다린다.

1875년, 벵거날프 노선이 나중에 취항한 노선의 첫 번째 철도계획이 작성되었지만, 높은 예상비용은 양도가 만료됨을 의미했다.15년 후인 1890년에 레오 헤어 베트릭스는 철도를 건설하고 운영하기 위해 새로운 80년의 양보를 얻었다.벵거날프반이 설립되었다.

1891년에 착공하여 이듬해 4월 18일 벵겐, 8월 10일 클라인 셰이덱에 첫 증기 기관차가 도착했다.라우터브룬넨에서 그린델왈드에 이르는 전 노선은 1893년 6월 20일에 여름 전용 서비스로 개통되었다.

Lauterbrunnen과 Kleine Scheidegg 사이의 선의 전기화는 1909년 6월 3일에 1500 V DC를 사용하여 완료되었으며, 전동차는 안전을 위해 열차 하단에 배치되었다.그린델왈드와 클라인 셰이덱 사이의 구간은 1910년 6월 24일에 이어졌다.증기운전은 1912년에 중단되었다.

1910년 7월 7일, 라우터브룬넨에서 벵겐까지 더 길지만 덜 가파른 새로운 노선이 개통되었다.구 노선은 2009년 25%의 가파른 경사로와 일부 노선의 지질학적 안정성에 대한 우려로 해체·해체되면서 100년 가까이 더 유지됐다.[4]

1913년 라우터브룬넨에서 클라인 셰이데그까지의 겨울 운영이 시작되었고, 1925년 같은 구간에서 연중 운영이 이어졌다.그린델왈드클라인 셰이덱의 겨울 운영은 1934년에 시작되었고, 1960년에 연중 운영이 이어졌다.

1942년 철도의 본부가 취리히에서 인터라켄으로 이전하였다.1947년, 최초의 모터코치가 구입되었다.이듬해 클라인 셰이덱의 부분 지하 삼각형이 건설되었다.

1990년 작전의 라우터브룬넨 측에 눈사태 대피소가 건설되었고, 1995년 벵겐역을 다시 건설하여 화물 운송 터미널을 포함하였다.2005년에 벵거날프 역 플랫폼은 사용 가능한 길이 127m에서 181m까지 연장되었다.2011년에는 벵겐과 올멘드 사이에 새로운 더블 트랙 루프가 개설되어 라우터브룬넨과 클라인 셰이데그 사이에 클럭 페이스 시간표가 도입될 수 있게 되었다.

운영

그린델왈드 그룬드의 다이아몬드 교차점.건널목 건너편에 짧은 리겐바흐 구간이 있는 스트루브 랙이 선명하게 보인다.
클라인 셰이덱의 삼각 분기점, 부분적으로 산에 건설되었다.
32호 기관차가 낡은 원선이 새 노선에 접근하는 것을 볼 수 있게 한 채 벵겐으로 접근하는 화물열차를 밀고 있다.

이 라인은 800mm 게이지(게이지 2ft 7+12)까지 제작되며, 아놀드 파울리가 수정한 리그겐바흐시스템을 사용한다.현대 주식은 슈트루브 랙 시스템을 사용한다.

오늘날 대부분의 여객열차는 레일로 구성되어 있고, 동력차는 여전히 열차 하단에 위치하며, 따라서 열차 구성은 보통 로터브룬넨에서 그린델왈드까지 직접 이동하기 위해 클라인 셰이덱을 횡단하지 않는다.그러나 클라인 셰이덱의 산중턱에 특별히 세워진 삼각형 교차로는 필요할 경우 열차를 돌릴 수 있도록 해, 의 반대편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이 열차들 중 가장 가파른 구간에서 가장 최신 열차는 시속 28km에 이른다.

성수기에는 예정된 열차보다 짧은 간격으로 추가 열차를 투입할 수 있어 수요에 따라 용량을 최적화할 수 있다.이것은 매우 유연한 조직 절차와 열차 운행에 관한 엄청난 주의와 주의를 요구한다.대부분의 노선이 단선이기 때문에, 여분의 열차는 앞쪽에 대각선 흰색 선이 있는 녹색 원반을 표시하여 역무원과 운영자에게 같은 방향으로 열차가 뒤따르고 있음을 표시한다.

가장 붐비는 철도는 라우터브룬넨에서 벵겐까지 운행되는데, 이것은 또한 교통이 없는 벵겐으로 상품을 운송하는 데 사용되기 때문이다.

이 철도는 라우터브룬넨그린델왈드 그룬드에서 두 개의 워크샵을 운영하고 있다.

스테이션

이 노선은 다음과 같은 역을 제공한다.

시간표

그라인델왈드와 클라인셰이덱 사이에는 매시간 운행하는 10월 하순~12월 중순을 제외하고 아침~오후 30분 간격으로 열차가 운행되는 정기구간 시간표가 운영된다.여행 시간은 33분 상승, 39분 하강이다.

라우터브룬넨과 벵겐 사이에서는 1년 내내 30분 간격으로 초저녁까지 열차를 운행하고, 이어 시간당 운행도 한다.오전과 오후 동안 그들은 클라인 셰이덱을 계속하며, 서비스가 시간당으로 이루어지는 10월 말에서 12월 중순 사이에 다시 30분 동안 계속된다.여행 시간은 43분 상승, 50분 하강이다.

2011년 12월 이전에는 2시간마다 5대의 열차가 불규칙한 간격으로 운행되는 Lauterbrunnen - Wengen - Kleine Scheidegg 서비스가 형성되었다.여행 시간은 44분에서 51분, 54분에서 60분 사이에 다양했다.벵겐과 올멘드 사이의 새로운 루프 건설에 따라 각 방향의 열차는 2시간마다 5개에서 4개로 줄어들었지만, 출발과 여정 시간은 표준화되었다.

12월과 3월 사이, 그라인델왈드와 알피글렌 사이의 저녁 시간에는 추가 열차가 운행되어 승객들을 투광 조명인 아이거런 썰매 코스로 실어 나른다.

롤링 스톡

기관차

아니요. 클래스 빌더 완료된 날짜
31 그는 2/2 Stadler/SLM/BBC 1995
32 그는 2/2 Stadler/SLM/BBC 1995
51 그는 2/2 SLM/Aliots [de] 1909
52 그는 2/2 SLM/Alioth 1909
53 그는 2/2 SLM/Alioth 1909
54 그는 2/2 SLM/Alioth 1909
64 그는 2/2 SLM/BBC 1926
65 그는 2/2 SLM/MFO 1929

레일카

여전히 운행 중인 가장 초기 철도 차량 번호 101과 102(BDhe 4/4, SLM/BBC가 건설함 )는 1985년 102호를 개축한 1947년부터 현재까지이다.1954년부터 1964년 사이에 제작된 이 등급의 다른 14개 차종인 104호 및 106–118호 중 2000년 이후 10개 차종(104/7/9/10 제외)이 새로 단장되었다.114번은 1985년에 102번과 함께 리퍼브되었다가 2002년에 다시 작업으로 복귀하여 새로운 사양을 제시하였다.

1970년에 새로운 종류의 철도 차량 (BDhe 4/4)이 도입되었고, 119에서 124까지 번호가 매겨졌으며, SIG, SAAS, BBC의 컨소시엄에 의해 건설되었다.이것들은 1998년에 새로 단장되었다.영국 BBC의 전기 장비로 SLM(워크스 번호 5363–66 포함)이 제작한 BDhe 4/8 등급의 4개 차종, 131 ~ 134에 이르는 4개 차종이 추가되어 1988년에 도착했으며 Stadler가 2004년에 준공한 Bhe 4/8 등급의 "파노라마" 차량 4대가 새로 추가되었다.

트레일러카 운전

이 회사에 아직 등재된 가장 초기 코치는 1893년부터 3명의 데이트 코치와 1901년부터 단 하나의 사례다.이 모든 것들은 1995년 폰 회사에 의해 마지막으로 두 번 재건되었다.이후 예는 1959년부터 2003년까지로, 이들 중 몇몇은 다시 지어졌다.스톡의 구축은 SIG가, 브라운 보베리 / 아씨 브라운 보베리(Asea Brown Boveri)가, 이후 Stadler가 Steck가 전기장비를 갖추고(ABB가 전기장비로 SLM이 구축한 231번 제외)가 실시하였다.

이 노선은 또한 라우터브룬넨벵겐 사이의 서비스에 주로 사용되는 광범위한 상품 재고 수집과 함께 운영된다.

참고 항목

참조

  1. ^ "WAB - The world's longest cog railway". Jungfraubahnen Management AG. Retrieved 17 May 2017.
  2. ^ "Arrival by car". Jungfrauregion. 28 April 2016. Retrieved 1 April 2019. There is no road that goes to Wengen or Mürren
  3. ^ "Companies". Interlaken, Switzerland: Jungfraubahnen Management AG. Retrieved 17 May 2017.
  4. ^ "1893 - Eröffnung der WAB" [1893 - Opening of the WAB]. Jungfraubahn. Retrieved 29 May 2013.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공용 벵거널프 철도 관련 매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