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리엄 길머

William Gilmer
윌리엄 위르트 길머
WIlliam Gilmer.jpg
제24대해군 원수
재직중
1919년 12월 21일 – 1920년 7월 7일
선행자윌리엄 A.호지먼
성공자이반 웨텐겔
괌 해군 제22대 주지사
재직중
1918년 11월 15일 – 1919년 11월 22일
선행자로이 캠벨 스미스
성공자윌리엄 A.호지먼
개인내역
태어난(1863-05-21)1863년 5월 21일
버지니아 주 채텀
죽은1955년 1월 8일 (1955-01-08) (91)
노스캐롤라이나 주 플레처
국적 미국
모교미국 해군사관학교
수상네이비 크로스
병역
얼리전스 미국
지점/서비스United States Navy Seal 미국 해군
순위US-O6 insignia.svg 선장
명령USS 사우스캐롤라이나

윌리엄 위르트 길머(William Wirt Gilmer, 1863년 5월 21일 ~ 1955년 1월 8일)는 의 22번째와 24번째 해군 주지사를 모두 역임한 미국 해군 함장이다.미국 해군 사관학교를 졸업한 그는 1차 세계대전 당시 사우스캐롤라이나호를 지휘했고, 해군 십자가를 받았다.주지사로서의 두 번의 임기 동안, 그는 괌 역사상 가장 논쟁이 많은 지도자 중 한 명임을 증명했다.그는 휘파람과 흡연을 금지하고 통행금지를 설정하는 등 섬 주민들의 일상생활을 대대적으로 통제했다.그는 차모로족이 열등하다고 믿고 섬에서 백인들과 비신인 사이의 결혼을 불법화하면서 저명한 미국인과 워싱턴 해군 지도자들과 갈등을 빚게 되었다.결국, 관련 섬 주민들은 해군 프랭클린 D차관보를 둔 조셉푸스 대니얼스 해군 장관의 주목을 받았다. 루즈벨트는 개인적으로 그 행동의 구속을 명령했다.길머는 연임하기 전에 잠깐 자리를 비웠다.

두 번째 임기 동안 그는 수많은 칙령을 내리며 결국 50개의 별도 명령을 내렸다.그는 부분적으로 어머니와 아버지의 이름을 모두 채택하는 스페인식 명명 관습을 없애기 위해 16세 이상의 모든 남성들에게 신분증을 휴대할 것을 요구했다.독재적이고 그의 권력을 남용하는 것으로 보여지는 해군은 1920년에 결국 그를 그 자리에서 물러나게 했다.알래스카의 많은 지리적 특징과 노스캐롤라이나의 한 학교는 주로 알래스카 섬의 일부를 탐험하기 위해 그가 참여한 탐험 동안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생활과 해군 경력

길머는 1885년 미국 해군 사관학교를 졸업했다.[1]닙시크호에 승선했다.[2]1906년에 그는 플로렌스 피터슨과 결혼했다.[3]

1914년 1월 2일 그는 USS 몬타나호의 지휘권을 받았다.[4]길머는 이어 캘리포니아주 마레아일랜드 해군 야드에서 12해군 구역을 지휘했으며 1917년 4월 미국이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하자 해군십자를 받은 사우스캐롤라이나 전함의 지휘를 맡았다.그는 임무를 사임한 후 대위[1] 계급으로 은퇴했다.[5]길머는 1955년 1월 8일에 세상을 떠났다.[1]

주지사

길머는 괌의 해군 주지사직을 두 번 역임했다.그의 첫 임기는 1918년 11월 15일부터 1919년 11월 22일까지 계속되었다.[6]그가 도착하기 한 달 전, 인플루엔자의 발생을 경험했고, 그가 지휘를 받자마자 검역구역을 설정했지만, 대유행병은 거의 천명이 사망하는 12월까지 계속되었다.[7]

길머 행정부는 그가 섬 주민들의 활동에 대해 다량의 통제권을 행사함으로써 매우 논란이 많은 것으로 증명되었다.는 술, 담배, 휘파람을 금지했다.[7]게다가, 그는 밤 10시 이후에 열린 파티는 금지한다.점점 커지는 쥐 문제를 줄이기 위한 노력으로 길머는 모든 주민들에게 매달 5마리의 쥐의 머리를 전달하거나 25센트의 세금을 정부에 부과하도록 강요했다.[7]

길머는 이 섬에서 미국의 저명한 가족들과 해군 관리들과 갈등을 빚게 되었다.그는 어떤 백인 미국인차모로필리핀인 배우자와 결혼하는 것을 금지하는 명령을 내렸으며,[7] 그러한 결혼은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새로운 계급을 만들었고, 군인들이 해군을 떠나 원주민 종교의 영향을 받게 했다고 주장했다.[8]42명의 저명한 구마인들로 구성된 위원회가 이 명령에 반대하는 청원서에 서명했고, 괌 입법부는 공식적으로 이 명령에 반대했다.[8]길머는 1919년 "미국의 한 남자가 다른 색의 여자와 결혼하면 즉시 아내 수준으로 침몰한다"[9]고 주장하면서 위원회에 대한 자신의 명령을 정당화하려 했다.이 섬의 우체국장 언더우드는 많은 미국인들이 이미 차모로스와 결혼했기 때문에 워싱턴 D.C.의 관리들에게 직접 편지를 써서 이 조치에 항의했다.는 결국 해군참모총장, 로버트 코온츠 전 괌 주지사와의 면담을 [8]얻었고, 프랭클린 D. 당시 해군 차관보였던 루즈벨트는 길머에게 친히 편지를 써서 법이 취소되도록 명령해 백인들이 다시 차모로스와 필리핀 사람과 결혼할 수 있게 했다.[7]그는 그 사건 직후 직위해제되었다.[8]

길머는 1919년 12월 21일부터 1920년 7월 7일까지 잠시 돌아왔다.[6]1920년 3월, 길머는 16세 이상의 모든 남성에게 정부가 발급한 신원확인 서류인 세둘라 개인 정보를 얻도록 요구하기 시작했다.이 문서들은 세금 납부, 토지 양도, 출생 증명서, 그리고 법원 시스템의 어떤 일에도 정부와 교류하기 위해 사용되었다.이와 동시에 이 문서들은 괌의 스페인식 명명 관습을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 사람이 아버지의 성을 사용하고, 어머니의 처녀 성을 따르는 것으로서, 아버지의 이름을 백성들에게 성으로 사용하는 서양식 관습을 강요하기 위한 것이었다.[10]

그는 두 임기 내내 50개 이상의 명령을 내렸고, 그 중 많은 명령들이 나중에 독재자로 간주되었으며, 사형제 사용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시켰는데, 이것은 이전에 미국이 그 섬을 점령한 동안 한 밖에 사용되지 않았다.[11]

결국 길머는 그의 명령 중 많은 부분이 권력 남용과 해군에 당혹스러운 것으로 보여져 공직에서 물러났다.[12]그의 직위에서 물러난 후, 길머는 해군 위원회를 사임했다.[5]

레거시

노스캐롤라이나주 플레처에서는 7일제 재림교회가 관리하는 교단교단(Parochial 초등학교)에 그의 이름을 따서 길머선장학교(Captain Gilmer School)의 이름이 붙여졌다.[13]이 학교의 명칭은 1950년 길머가 교실 증축과 욕실 2개 공사에 2천 달러를 준 후 "길머 학교 선장"으로 변경되었다.[14]길머는 1935년 재림교회로 세례를 받고 인근 헨더슨빌 교회에 다녔다.[15]

크루조프 섬의 서쪽 해안에 있는 길머 만은 소위로 있던 1897년에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6]닻으로, 그는 탐험대에서 활동했고, 그 기간 동안 파르토프섬의 길모어 코브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7]

참조

  1. ^ a b c "William Wirt Gilmer". Military Times. Gannett Government Media. 20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January 2011. Retrieved 27 January 2011.
  2. ^ "Army and Navy Notes" (PDF). The New York Times. New York City. The New York Times Company. 30 October 1887. Retrieved 10 February 2011.
  3. ^ "Items of Social Interest" (PDF). New York Tribune. New York City. 25 February 1906. p. 5. Retrieved 1 February 2011.
  4. ^ NavSource 온라인:크루저 포토 아카이브
  5. ^ a b "Gilmer to Leave Navy: Former Governor of Guam, Who Barred Whistling, to Resign" (PDF). The New York Times. New York City. The New York Times Company. 25 August 1920. Retrieved 10 February 2011.
  6. ^ a b "Naval Era Governors of Guam". Guampedia. Guam: University of Guam. 10 August 20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October 2010. Retrieved 1 February 2011.
  7. ^ a b c d e Cunningham, Lawrence; Janice Beaty (2001). A History of Guam. Hawaii: Bess Press. p. 206. ISBN 1-57306-068-2. Retrieved 1 February 2011.
  8. ^ a b c d Rogers, Robert (1995). Destiny's Landfall: A History of Guam.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p. 145. ISBN 9780824816780. Retrieved 17 February 2011.
  9. ^ Hattori, Anne Perez (2004). Colonial Dis-ease: US Navy Health Policies and the Chamorros of Guam, 1898-1941.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p. 22. ISBN 9780824828080. Retrieved 17 February 2011.
  10. ^ Punzalan, Bernard (4 August 2010). "Chamorro Roots Genealogy Project". Guampedia. Guam: University of Gua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February 2011. Retrieved 1 February 2011.
  11. ^ "America on Guam — 1898-1950". War in the Pacific: Administrative History. Washington, D.C.: National Park Service. 8 May 200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February 2011. Retrieved 1 February 2011.
  12. ^ Bevacqua, Michael Lujan (30 April 2010). "American-Style Colonialism". Guampedia. Guam: University of Gua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February 2011. Retrieved 1 February 2011.
  13. ^ "Private Education is Part of Good Life, Too". Times-News. Hendersonville, North Carolina. The New York Times Company. 28 February 1972. p. 47. Retrieved 14 February 2011.
  14. ^ "About Us". Captain Gilmer School. North Carolina: Seventh-day Adventist Church. 20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February 2011. Retrieved 15 February 2011.
  15. ^ https://documents.adventistarchives.org/Periodicals/SUW/SUW19550202-V49-05.pdf
  16. ^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1906). "Geographic Dictionary of Alaska". Bulletin. Washington, D.C.: United State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97–299): 274. Retrieved 17 February 2011.
  17. ^ Baker, Marcus (1906). Geographic Dictionary of Alaska. Washington, D.C.: United States Government Printing Office. p. 274. Retrieved 17 February 2011. Gilm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