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리엄 리 데이비슨
William Lee Davidson윌리엄 리 데이비슨, 시니어 | |
---|---|
![]() 윌리엄 리 데이비슨, 시니어 또는 주니어의 초상화 가능성.[1] | |
태어난 | 1746 펜실베이니아 주 랭커스터 카운티 |
죽은 | 1781년 2월 1일 (34-35세) 노스캐롤라이나 주 메클렌버그 군 |
매장지 | |
얼리전스 | 미국 |
서비스/지점 | 대륙군 노스캐롤라이나 민병대 |
근속년수 | 1775–1781 |
순위 | 대령, 준장 (프로 템포어) |
구성 단위 | 로완 카운티 연대, 3, 4, 5, 7 노스캐롤라이나 연대 |
전투/와이어 | 미국 독립 전쟁 |
서명 | ![]() |
윌리엄 리 데이비슨 (1746–1781)은 미국 독립 전쟁 당시 노스캐롤라이나 민병대와 대륙군의 장교였다. 그는 펜실베니아에서 태어나 1750년 가족과 함께 노스캐롤라이나주 로완 카운티로 이사했다. 그는 코완의 포드 전투에서 전사했다.
기원과 교육
윌리엄 리 데이비슨은 1746년 펜실베니아주 랭커스터 카운티에서 태어났다.[2] 그의 아버지 조지 데이비슨은 1750년 가족과 함께 노스캐롤라이나의 로완 카운티로 이사했다. 막내아들 윌리엄은 샬롯에 있는 퀸즈 박물관(나머지 리버티 홀)에서 교육을 받았다.[3][4]
병역
서비스 기록:[5]
- 민병대 제1연대 로완군 연대장(1775~1776)
- 로완군 제1연대 소령(1776년)
- 제4차 노스캐롤라이나 연대장 (노스캐롤라이나 대륙선) (1776~1777)
- 노스캐롤라이나 제5연대 대령 (노스캐롤라이나 대륙선) (1777년)
- 노스캐롤라이나 제7연대(노스캐롤라이나 대륙선) 대령(1777-1778)
- 노스캐롤라이나 제3연대 대령 (노스캐롤라이나 대륙선) (1778년)
- 제1차 노스캐롤라이나 연대장(노스캐롤라이나 대륙선) (1779~1780)
- 노스캐롤라이나 민병대의 솔즈베리 지구 여단 상공의 준장(Pro Tempore) (1780년 9월 ~ 1781년 2월)
1775년 12월 스노우 캠페인 기간 중 그리피스 러더포드(하위 준장)의 로완 군 연대의 부관(부관)으로 개전 초기부터 전장에 활약한 그는 1776년 노스캐롤라이나 선 제4연대 소령으로 진급했다. 그는 노스캐롤라이나 선과 함께 북쪽으로 진군하여 게르만타운 전투에 참가하였고, 그 후 중위로 진급하였다. 노스캐롤라이나 선 제5연대 대령. 워싱턴과의 밸리 포게르에서 '라이트 호스 해리' 리, 대니얼 모건 등 그는 콘티넨탈 라인에서 대부분의 영향력 있는 군 지휘관과 친구가 되었다.
명령도 없이 남겨진 그는 영국군이 카타우바 강을 건너는 것을 막기 위한 목적으로 퇴각 명령을 받았었다. 그리피스 러더포드는 데이빗슨을 2인자로 임명했다. 1780년 7월 21일 콜슨 밀 전투에서 중상을 입은 그는 러더포드가 포로로 잡힌 캄덴 전투에 참가하지 않았다. 데이빗슨은 준장으로 승진하여 러더포드의 솔즈베리지구 민병여단을 지휘하게 되었다. 그는 1780년 9월 말 콘월리스 경이 샬롯에 입성하는 것에 저항하는 데 참여하였다.
윌리엄 리 데이비슨 준장은 당시 부름대로 나타나엘 그린 장군이 샬럿타운에 도착한 다음날인 1780년 12월 3일까지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에 있었다. 캠던 전투에서 미군이 패배한 후 또는 대부분의 퇴역군인들이 연금 기록에서 부르는 대로 껌 늪지대에서 미군이 패배한 후, 대륙 의회는 마침내 조지 워싱턴 장군이 게이츠 장군을 그의 최고 장교로 교체하는 것을 허용하기로 동의했다.
워싱턴 장군은 즉시 나타나엘 그린 장군을 선발했다. 그린 장군은 1780년 12월 2일 펜실베이니아 주 필라델피아에서 긴 여정을 마치고 샬럿타운에 늦게 도착해 휴식을 취했다. 공식적으로 지휘의 변경식은 1780년 12월 3일 게이츠 장군과 그린 장군 사이에 행해졌다; 그리고 가능한 한 빨리 나타나엘 그린 장군은 현장에 새로 온 장교들을 만나기 위해 그 직장에 도착했다. 윌리엄 리 데이비슨 장군과 나타나엘 그린 장군은 이전에 만난 적이 있었다. 그들은 둘 다 펜실베니아에서 영국의 콘월리스 장군에게 대항하는 브랜디와인 전투에 참가하고 있었다.
그린은 데이빗슨이 노스캐롤라이나 서부의 민병대에 매우 존경받고 있으며, 데이비드슨 장군이 관할권을 완전히 장악하고 있는 솔즈베리 군구라고 불리는 지역 민병대에 호의적이라는 것을 인정했다. 그린은 워싱턴 장군이 승인한 '날아다니는 군대'를 창설할 기회를 활용하고 싶었다. 데이빗슨은 이 지역 민병대를 '날아다니는 군대'로 일으켜 세울 수 있는 현장의 대표적인 패트리엇 지휘관이 될 예정이었다. 이전에 전투에 참전하여 함께 밸리 포게르에 진을 친 적이 있는 그들은 이미 신뢰의 끈을 가지고 있었다.
죽음
데이비드슨은 1781년 2월 1일 노스캐롤라이나 주 메클렌부르크 카운티에서 열린 코완의 포드 전투에서 콘월리스의 노스캐롤라이나 재입국을 반대하다가 사망했다. 영국과 독일의 주요 요소들이 가까운 둑에 도착하자 데이빗슨 장군은 부하들을 집결시키려 하고 있었다. 그는 약혼이 시작되자 몇 분 만에 살해되었다.[6] 데이비드슨의 시신은 전투가 끝난 후 그날 저녁 동료 장교들에 의해 수습되었고, 샬롯 북쪽의 비티즈 포드 로드에 위치한 호프웰 장로교회에 안장되었다.[7][8][9][10][11][12]
네임스케이크
- 노스캐롤라이나주 데이비드슨 카운티와 테네시주 데이비드슨 카운티.[13]
- 노스캐롤라이나의 데이비드슨 마을.
- 노스캐롤라이나에 있는 데이비드슨 칼리지. 그의 칼은 한때 복도 중 하나에 걸려 있었다.[3]
의회는 그를 위한 기념비에 500달러를 투표했지만, 그것은 세워지지 않았다.[3]
참조
- ^ 여기에 귀속된 사진은 Brig가 아니다. 알려진 이미지가 없는 윌리엄 리 데이비슨 장군 — 이것은 데이비드슨 칼리지 설립을 위해 땅을 기부한 그의 아들 윌리엄 리 데이비슨 주니어의 사진이다. 초상화의 추가 소싱이 모색되고 있다.
- ^ "Descendants of William Lee Davidson Sr. and Mary Brevard". Rootsweb.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15, 2017. Retrieved July 28, 2013.
- ^ a b c Wilson, J. G.; Fiske, J., eds. (1900). . Appletons' Cyclopædia of American Biography. New York: D. Appleton.
- ^ Lathan, S. Robert (July 29, 2012). "We Are Family". Davidson Journa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25, 2015. Retrieved November 8, 2018.
- ^ Lewis, J.D. "The American Revolution in North Carolina, William Lee Davids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27, 2019. Retrieved March 8, 2019.
- ^ Stonestreet, O.C. IV (2012). The Battle of Cowan's Ford: General Davidson's Stand on the Catawba River and its place in North Carolina History. Createspace Publishing. pp. 10–11. ISBN 978-1468077308.
- ^ William S. Powell, ed. (1991). Dictionary of North Carolina Biography. Vol. 2. Chapel Hill: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pp. 27–28.
- ^ Charles B. Baxley (February 2006). Battle of Cowan's Ford. Vol. 3. SCAR. p. 3.
- ^ Chalmers Davidson (1951). Piedmont Partisan: The Life and Times of Brigadier General William Lee Davidson. Davidson, North Carolina: Davidson College. OCLC 3674972.
- ^ O'Kelley, Patrick (March 29, 2005). Nothing but Blood and Slaughter: The Revolutionary War in the Carolinas (1781). Vol. 3. Booklocker.com. ASIN B00XWXFY7Q.
- ^ "Muster Roll of 5th NC Division at Valley Forg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7-09-23. Retrieved 2007-03-05.
- ^ "Sons of the American Revolution - Battle of Cowan's For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7-09-27. Retrieved 2007-02-25.
- ^ Gannett, Henry (1905). The Origin of Certain Place Names in the United States. Govt. Print. Off. pp. 101.
외부 링크
- Davidson, Chalmers G. (1986). "William Lee Davidson". NCPedia. Retrieved August 25, 2021.
- "William Lee Davidson". Davidson Encyclopedia. Retrieved August 25, 2021.
- Ramsay, David (1789). The History of the American Revolution. Vol. 2. R. Aitken [et] Son. Retrieved August 25, 2021.
- 코완스 포드 전투[데드링크]
- 데이비드슨 장군의 죽음[데드링크]
- 흉터[데드링크]
- 호프웰 장로교회: 데이비드슨 장군의 지갑[데드링크]
- Davidson College: 대학 이름 석방을 위한 졸업생들의 미국 혁명 전쟁 "월렛"
- Schlosser, Jim (July 3, 2001). "HOME AT LAST\ REVOLUTIONARY WAR OFFICER'S WALLET BACK IN N.C." Greensboro News and Record. Retrieved August 25, 2021.
- "General William Lee Davidson Biography". Davidson College Archives and Special Colle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