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스 마운틴

Wills Mountain
윌스 마운틴
2WillsMtn. edited.jpg
펜실베이니아 윌스 마운틴
최고점
표고2,790피트(약 m)[1]
두각을 나타남1,620피트(약 m)[2]
좌표39°50.757˚N 78°40.925′w / 39.845950°N 78.682083°W / 39.845950; -78.682083좌표: 39°50.757′N 78°40.925′W / 39.845950°N 78.682083°W / 39.845950; -78.682083
지리
위치펜실베이니아 베드포드 카운티 / 미국 메릴랜드 알레가니 카운티
상위 범위앨러게니 산맥, 리지앤발리 애팔래치아 산맥의 일부
토포 지도USGS 현드먼(PA) 쿼드랑글
등반
가장 쉬운 경로지프 트레일

윌스 마운틴은 미국 펜실베이니아메릴랜드주 애팔래치아 산맥리지 밸리 생리적 지역에 있는 석영으로, 펜실베이니아주 베드포드 인근에서 메릴랜드주 컴벌랜드 인근까지 뻗어 있다. 윌스 산맥 안티클라인 내에 포함된 몇 개의 산등성이 중 최북단이다.

지리

공중에서 바라본 윌스 마운틴(가운데)
펜실베이니아 베드포드 남쪽 220번지에서 서쪽으로 바라본 윌스 마운틴.

펜실베이니아

윌스 마운틴의 펜실베니아 지역은 베드포드 카운티에 있으며, 높이가 2,782피트(848m)에 이른다. 펜실베이니아 애팔래치아 고원에는 높은 산이 있지만 윌스 마운틴은 리지(Ridge)와 밸리(Valley) 지역 중 가장 높다. 윌스 마운틴은 펜실베니아에서 가장 유명한 곳일 것이다.[citation needed] 산등성이는 베드포드 서쪽, 펜실베이니아 턴파이크 남쪽의 2,560피트(780m) 킨튼 노브 바로 북쪽에 있는 주니아타 강 근처에서 갑자기 시작된다. 킨튼 노브 남쪽에 있는 이 계곡은 밀건스 코브로 알려져 있는데, 이 계곡의 지질학적 예로는 균열이 뚫린 좋은 곳이다.

정상 등 윌즈 마운틴 일부 지역은 산으로의 접근이 제한된 펜실베이니아게임 랜드스 48번지에 위치해 있으며, 산등성이에는 지프 오솔길과 자갈길만 있다. 동쪽의 마틴 힐처럼 정상에는 타워나 송신기가 없다. 그러나 정상 접근은 어려워 1800ft(550m) 이상의 상승이 필요하다.

메릴랜드 주

메릴랜드주 컴벌랜드 서쪽 컴벌랜드 협곡국도헤이스택산(왼쪽)과 윌스산(오른쪽) 사이를 가로지르는 윌스 크릭을 따라 물이 갈라져 있다. 험준한 윌스 마운틴 앤티크라인을 통과하는 이 쉬운 통로는 현재 서부 메릴랜드 경전철(왼쪽), 대체 미국 40호(강변의 중앙, 왼쪽), CSX 철도(오른쪽)가 이용하고 있다.

윌즈 마운틴의 메릴랜드 지역은 워리어런 하구에서 서쪽으로 0.5마일(0.8km) 떨어진 컴벌랜드 서쪽 수격차인 컴벌랜드 협곡에서 산이 가파르게 솟아 있는 알레가니 카운티에 있다. 그 산에서 북쪽으로 펜실베니아까지 뻗어 있다. 메릴랜드에서 가장 높은 고도는 1,877피트(572m)이다.

헤이스택 산은 협곡 남쪽에 있다. 지질학적으로 두 산은 등가인데, 둘 다 윌스산 안티클라인의 중심 능선이다. 컴벌랜드 협곡은 포토맥 강의 지류인 윌스 크릭에 의해 수백만년에 걸쳐 석영으로 덮인 산등성이에 조각되었다.

컴벌랜드 협곡은 컴벌랜드에서 애팔래치아 고원과 그 너머 오하이오계곡에 이르는 서쪽 관문 역할을 한다. 올드 내셔널 로드는 현재 얼터너티브 US 40으로, 이전볼티모어와 오하이오 철도의 간선인 볼티모어와 오하이오 철도의 간선, 현재 CSX 시스템의 일부인 볼티모어/워싱턴피츠버그와 그리고 현재 서부 메릴랜드 경관의 증기기관 및 디젤 기관차에서 사용되는 예전 서부 메릴랜드 철도의 노선과 함께 협곡을 통과한다.IC 철도그레이트 알레게니 통로 자전거 길.

컴벌랜드 협곡에 있는 윌스 산의 남쪽 끝에서 두드러진 암석 아웃크로핑은 러버즈 리프로 알려져 있다.

지질학

2016년 윌스 산의 모습

윌스 산은 침식에 강한 실루리아 투스카로라 쿼츠아이트로 덮여 있다. 이 산은 펜실베이니아 남부와 메릴랜드, 웨스트 버지니아를 거쳐 버지니아까지 이어지는 지질 구조인 윌스 마운틴 앤티클라인 중심에 서 있다.반선에서는 투스카로라와 여러 바위 이 위로 굽어 있는데, 침식에 강한 투스카로라가 산의 리지톱을 가리고, 더 쉽게 침식된 실루리아 리메스톤과 셰일즈를 산비탈에서 침식한다.[3]

참고 항목

참조

  1. ^ 2,780에서 2,800피트 사이의 정상 고도.
  2. ^ 키 콜 고도 39°56.39˚N 78°39.1˚W / 39.93983°N 78.6517°W / 39.93983; -78.6517.
  3. ^ Van Diver, Bradford B. (1990). Roadside Geology of Pennsylvania. Missoula, Montana: Mountain Press. pp. viii+ 352.

외부 링크